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WAP에서 넘어옴)

1 사례

cfile26.uf.2007D5345047FCD429E55D.gif
네이트 검색

image.jpg
2016년 1월 15일에 촬영됨.프리존▶◀ 죽기 전까지 관리 및 업데이트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던 모양이다

2 개요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또는 WAP)은 휴대 전화 등의 장비에서 인터넷을 하는 것과 같은, 무선 통신을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국제 표준이다. WAP은 매우 작은 이동 장비에 웹 브라우저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그러나, 독점과 갈라파고스화의 주범으로 많은 사용자에게 돈먹는 괴물 쯤으로 취급되어 왔다.

3 사양

WAP에서 사용되는 주 언어는 WML(무선 마크업 언어)이며, 이 언어는 휴대 전화와 같은 소형 이동 장비에 맞게 XML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WAP의 공식 조직은 WAP 포럼으로, 이 곳에서는 OMA(오픈 모바일 동맹) 기구로 통합되어, 무선데이터 서비스의 개발 전 분야를 다루고 있다.

3.1 버전

WAP의 최신 버전은 2.0으로서, XML을 사용한 WAP을 리엔지니어링한 것이다. 이 차세대 WAP이 향후 모든 소형장치를 으로부터 WAP으로 대체할 수도 있을 거라 예견하는 전문가들도 있다. 어느 나라는 이미 그렇게 됐지만(...) 그럼 이건 다른 건가? 이는 XHTML의 부분집합으로 아직 확정되지는 않았다.

3.2 WAP 푸시

WAP 푸시는 WAP 1.2 부터 사용된 기술로서 WAP 콘텐츠를 서로 다른 회사의 휴대 전화에 푸시되게 하는 사양이다. WAP 푸시는 보통 WAP 주소로의 링크를 포함한 메시지로 인코딩되어[1], WAP 베어러나 SMS 베어러를 통해 전달된다. WAP 푸시를 받게 되면 자동적으로 WAP 콘텐츠에 접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WAP 푸시는 수신자에게 WAP 주소를 전달함으로써 단말기를 통해 보거나, 저장할 수 있게 된다. WAP 푸시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쉽게 모바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가끔 사기에도 이용된다.

WAP 푸시, WAP 서버로부터 단말기로 메시지를 밀어넣는 방식. 한국의 이동통신 서비스에서는 선물보내기[2]에서 사용한다.

3.2.1 WAP PUSH 서비스

WAP의 Push Access 프로토콜은 무선망의 푸시 서비스 제공자와 푸시 게이트간의 통신 방법을 규정을 한 것으로, Push OTA라고 한다. WAP 푸시 서비스의 두 가지 프로토콜은 '서비스 인디케이션(Service Indication, SI)'과 '서비스 로딩(Service Loading, SL)'이 있다. SI는 해당 WML페이지로 연결되는 URL 을 가진 메시지가 왔다고 알리는 신호를 전달하고, SL은 브라우저가 곧장 해당 페이지로 연결되도록 하는 프로토콜이다.

3.2.2 PAP(Push Acess Protocol)

PAP는 일반적으로 웹서버와 PPG(Push Proxy Gateway)간의 통신 프로토콜이다.

3.2.3 푸시 메시지의 구조

예제

<?xml version="1.0"?>

<!DOCTYPE pap PUBLIC "-//WAPFORUM//DTD PAP 1.0//EN" "http://www.wapforum.org/DTD/pap_1.0.dtd">
<pap>
<push-message push-id="anyone@anyone.or.kr">
<address address-value="WAPPUSH=127.0.0.1/TYPE=USER@127.0.0.1" />
</push-message>
</pap>
--asdlfkjiurwghasf
Content-Type: text/vnd.wap.si

<?xml version="1.0"?>
<!DOCTYPE si PUBLIC "-//WAPFORUM//DTD SI 1.0//EN" "http://www.wapforum.org/DTD/si.dtd">
<si>
<indication si-id="anyone@anyone.or.kr" href="http://www.anyone.or.kr/wml/pap/message.wml">
You're go new message.
</indication>
</si>

4 이통사별 서비스 명칭

5 만악의 근원

1990년대 PC통신의 뒤를 잇는 2000년대의 돈 먹는 하마.

잠깐 사이에 기둥뿌리 뽑아가는 돈 먹는 괴물이자, WIPI와 함께 대한민국 휴대폰 시장 갈라파고스화의 주범으로 꼽혀 왔다. WIPI가 해외 휴대폰 도입을 막는 방패라면 WAP은 도입을 막는 목적이며, 통신사들이 안주하여 발전까지 저해하게 만든 주범. 2G 통신의 개막으로 휴대전화로 데이터를 주고받게 되면서 휴대전화의 기능들은 급속한 발전을 이루어 동영상 감상, 게임, 벨소리 등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정작 대부분 사용자들은 이런 컨텐츠들을 이용하기 매우 꺼려했는데, 이동통신사들이 거의 모든 컨텐츠 이용을 WAP 안에서만 내려받을 수 있도록 막아놓고 컨텐츠를 독점하여 질 낮은 컨텐츠에 비싼 정보이용료를 물렸고, 구매한 컨텐츠를 내려받는데도 상당한 가격의 데이터통화료를 물렸기 때문이다.
요금제도 있었지만 거의 있으나마나 였다.[3]그나마 유명한게 KT의 요금제(2005-)와 SKT의 팅 프리존요금제(2009-2015).[4]
이통사별 데이터통화료는 조금씩 다르지만 대체로 패킷(0.5KB)당 텍스트는 4.55원, 게임을 포함한 소용량 멀티미디어는 1.75원, 동영상과 원음 벨소리 등 대용량 멀티미디어는 0.9KB이며 이 살인적인 요금 때문에 자살한 사례도 있다.[5] 하지만 아이폰이 출시되자 상당수의 WAP 서비스는 위협을 받게 되었고 결국엔 거의 다 망했어요...

6 기타

  • 구글은 데스크톱과 모바일 검색의 최강자였고, Gmail이나 지도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었으며 SK텔레콤 피처폰에서도 접속이 가능했었다. 하지만 현제 SK텔레콤 피처폰에서 구글을 접속하면 데스크톱 페이지로만 접속할 수 있고 모바일 페이지로는 접속할 수가 없다.[6]
  • 최근에는 위 스크린샷과 같이 심하게 축소되었다. 하지만 아직 프리존에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가 있다. 아마 SKT에서 프리존을 별도로 취급하는 모양이지만 프리존도 망했다(...)
  • KBS 2TV에서 방영된 스펀지에서 실험맨이 WAP으로 검색하는 장면[7]이 나오기도 했다.

7 현재 상황

피처폰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스마트폰의 출현으로 완전히 망했다. 2016년 4분기에 들어서 통신사 자체의 컬러링, 벨소리, 위치[8], 오픈넷[9] 등 대부분의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이젠 WINC 서비스도 올해 말에 종료될 예정이다.#

8 종료된 서비스

8.1 SK텔레콤

추가 바람.

9 같이 보기

  1. 예를들면 "1. 연결" 이런 식으로, 가끔 터치폰에서는 누를 수 없는 키로 링크가 걸려오는 경우가 있다(...)
  2. 벨소리, 그림, 사기, 광고(...) 등
  3. 홍보도 하지않았고 아는사람만 가입하는 요금제 였다.2009년에 SKT의 프리존광고가 나오긴 했지만...
  4. 이것말고 2005년 당시의 데이터 요금제는 여기(SKT기준)를 참조할것.
  5. NATE ⓜ Browser에서 WAP 1.0으로 설정하면 텍스트 모드로 변경할 수 있었다.
  6. 모바일로 접속을 시도해도 데스크톱으로 이동한다.
  7. 피처폰용 지도서비스로 추정
  8. KT는 2015년 11월 30일에 종료됨.
  9. SKT는 2016년 6월30일 종료예정이였다가 9월 30일에 종료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