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의 역대 황제 | |||||
초대 태조 홍무제 주원장 | ← | 2대 혜종 건문제 주윤문 | → | 3대 성조 영락제 주체 |
묘호 | 없음[1] / 혜종(惠宗)[2] | |
시호 | 혜황제(惠皇帝)[3] → 사천장도성의연공관문양무극인독효양황제 (嗣天章道誠懿淵功觀文揚武克仁篤孝讓皇帝)[4] / 공민혜황제(恭閔惠皇帝)[5] | |
능호[6] | 없음[7] | |
연호 | 건문(建文)[8] | |
성 | 주(朱) | |
휘 | 윤문(允炆) | |
생몰기간 | 1377년 12월 5일 ~ 1402년? | |
재위기간 | 1398년 6월 30일 ~ 1402년 7월 13일 |
역대제왕묘 배향자 |
명의 2대 황제. 이름은 주윤문. 명나라에서 오랫 동안 묘호는 없고 시호는 혜황제(惠皇帝), 약칭 혜제로 돼 있었다.[9] 연호 건문은 1399년부터 1402년까지 사용됐는데, 사실상 건문제를 쫓아내고 즉위한 영락제가 이 연호를 무효화하여 이 시기의 연도를 이전의 연호인 홍무(洪武)로 표기하도록 했고[10] 그 다음 해인 1403년부터 영락의 연호를 쓰게 하였다. 건문이라는 연호는 훗날 만력제 때인 1595년(만력 23년)에 복구된다.
훗날 남명의 홍광제 때 추존, 묘호를 혜종(惠宗), 시호를 사천장도성의연공관문양무극인독효양황제(嗣天章道誠懿淵功觀文揚武克仁篤孝讓皇帝)[11]로 올렸다. 청나라는 남명 정권을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당연히 남명 정권에서 정한 묘호와 시호 또한 인정하지 않고, 계속 남명 이전에 쓰였던 '혜제'나 '건문제'로 불렀다. 그러다가 건륭제 때 건문제가 명나라 때 받은 시호 앞에 딱 두 글자를 추가하여 공민혜황제(恭閔惠皇帝)로 높였고[12] 묘호를 따로 올리지는 않았다.
주원장의 장손. 아버지 의문태자 주표[13]가 일찍 죽어 황태손이 되어 제위에 오르게 된다.
주원장은 공신들을 숙청하고 전한의 유방처럼 자신의 일족을 차례대로 번왕에 봉했다. 건문제는 신하들의 간언에 따라 지방에서 각자 큰 세력을 구축하고 있던 일족들의 영지를 삭감해 중앙에 편입시켰다. 정책 자체로는 적절하다고 볼 수 있으나, 문제는 건문제 스스로도 어리고 문약하며 주변 신하들 역시 정치적 역량이 뛰어난 자는 모두 숙청당한 마당이라 이들 모두 번왕들의 반발을 두려워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정식으로 번왕들의 힘을 약화시키는 정책을 실시하지는 못하고, 불시에 번왕들을 습격해서 한 명씩 잡아가두고 번왕에 대한 처분을 사후에 발표하는 식으로 반발할 틈을 주지 않는 방법을 사용했다. 이런 방식으로 번왕들을 잇따라 투옥하고 평민으로 격하시키거나 추방했고, 황제의 처단이 두려워 스스로 목숨을 끊은 왕도 있었다. 이런 방법은 당장 한 사람 한 사람의 번왕을 처리하는데는 효과적일 수 있었지만 중앙 정부의 신뢰도를 추락시켰고 반란의 좋은 명분이 되었다.
게다가 이런 식으로 습격하려면 마땅히 가장 세력이 큰 연의 왕인 주체부터 제일 먼저 처리해야 했지만, 연왕의 세력이 큰 것이 두렵다는 이유로 우선 세력과 능력이 약한 왕들부터 처리하는 무능함을 보였다. 다른 왕들이 기습당하는 것을 본 연왕은 곧 자기 차례가 온다는 것을 알아차리고 반란을 준비하게 되었으므로 기습으로 반발할 틈을 주지 않은 것도 의미가 없어졌다. 또한 당시 수도인 남경에는 연왕의 아들들이 체류하고 있다가 서둘러 연경으로 돌아가려고 하고 있었는데, 연왕을 기습하려면 연왕이 방심하게 만들어야 한다면서 아들들을 인질로 잡지 않고 무사히 돌아가도록 방치하는 실책을 저질렀다.
결국 전부터 황제의 꿈을 가진 연왕이자 숙부인 주체가 황제 주변에 있는 간신들한테서 미숙한 황제를 구출하는 것이 숙부인 자신의 도리라고 선언하면서 반란을 일으켰다. 이를 정난의 변이라 한다.
건문제의 군대는 초반엔 매우 유리하여 세력으로는 연왕의 군대를 압도했으나, 연왕은 탁월한 군사적 능력과 결단력으로 최단 시간 내에 전력으로 남경으로 직행하여 함락시킨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몇몇 전투에서 패하더라도 위축되지 않고 전략적 목표를 하나하나 달성해 나가고 있었다. 반면 건문제와 그 친위세력들은 군사적으로 무능해서 어떤 작전으로 연왕을 요격할 것인지 결정하지 못하고 우왕좌왕하고 있었기 때문에 방대한 군사력을 효율적으로 동원하지 못했다. 특히 건문제 자신의 연왕에 대한 우유부단한 태도 때문에[14] 결정적인 타격을 입히는 데 실패했으며 나아가 연왕이 세력을 회복하는 여유를 허용해 버려 점차 수세에 몰렸다.
결국 결정적인 영락제의 남경 진격에서 사전에 내통한 궁정의 환관들[15]이 성문을 열어 수도 남경이 함락되었고 건문제는 불타는 궁궐 속에서 행방불명 되었다. 일설에는 그 때 자살했다고 전해지고 또는 난전 중에 불에 타죽었다고 한다. 불을 끈 후 그의 아내 효민양황후 마씨의 시체는 환관에 의해 확인되었으나, 그의 시체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여러가지 떡밥이 나돌게 되었다. 민간 전설 중에는 주원장이 건문제에게 상자 하나를 전해주면서 위기에 처했을 때 열어보라고 했는데, 그 안에서 주원장이 탁발승 때 쓰던 목탁과 바리떼가 나와서 중으로 변장을 하고 도망쳤다는 이야기도 있다. 그 외에도 건문제가 실은 살아서 도망쳤다는 전설은 많이 있지만, 살았건 죽었건 간에 역사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으니 생사여부는 도저히 알길이 없다. 그런데 남경에서 1978년, 명시대의 황궁 자리 근처에서 건물을 신축하려고 공사하던중에 지하통로를 발견했다. 때문에 건문제가 여기를 통해 도망쳤을 것이라는 이야기가 설득력을 얻고 있으나 진실은 저 너머에.
참고로 건문제와 효민양황후 마씨 사이에서는 2남이 있었다. 당시 6살이던 장남 화간태자 주문규(朱文奎)는 건문제와 함께 실종되었고[16] 1살이던 차남 윤회왕 주문규(朱文圭)는 영락제가 아기까지 차마 죽일 수는 없어 살려주긴 했지만 이후 56년 동안 유폐되었다.[17] 그는 1457년 그의 칠촌 조카 천순제에 의해 풀려났으나, 갓난아기 때부터 유폐되어 평생을 유폐당해서 그런지 바깥세상에 적응하지 못하고 자유의 몸이 된지 얼마 안되어 죽었다.
여튼 그의 행방은 명나라가 망할 때는 물론 오늘날인 지금까지도 풀리지 않는 미스터리가 되었고 겁을 먹은 영락제는 생전에 만약 혜제(건문제)가 살아있다면 지방의 군대를 이끌고 다시 반격할지 모른다는 두려움에 심복들을 곳곳에 파견해 건문제를 찾게끔 하니 그 중 하나가 바로 정화의 대원정이라는 설이 있다.[18] 또 영락제가 장삼풍을 초빙한것도 실은 건문제를 찾으려고 했기 때문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여담이지만 일본 무로마치 막부 3대 쇼군인 아시카가 요시미츠를 '일본국왕'에 책봉한 황제는 바로 건문제다. 흔히 영락제로 알려져 있는데 사실 요시미츠가 일본국왕에 책봉된 것은 1401년으로 건문제의 재위기다.
이 사람을 주인공으로 만들어낸 무협소설이 '황제의 검'이다.
한백무림서에서도 죽었다고 알려진 것과 다르게 생존해 있다. 천잠비룡포에 어떻게 된 것인지 나오는데 그 당시 환관이 미리 준비해 둔 승복을 입고 도주했으나 왼손 손등과 오른발 발등, 등, 오른팔, 양 허벅지에 화상을 입었다. 그리고 자신이 황제로 있을 당시 호위를 맡고 있던 무명[19]이 궁무예에게 공격받고 사망하는 것을 본 후 시신이 떨어진 곳과 자신의 아버지인 주원장의 묘에 합장한 후 떠나려고 했으나 결국 자신을 위해 목숨도 바치고자 했던 무명을 위해 눈물을 흘리며 다시 길을 떠나는 것으로 나온다.- ↑ 명나라(남명 제외)와 청나라 기준으로는 묘호가 없다.
- ↑ 남명 홍광제가 추증한 묘호.
- ↑ 명나라 영락제가 올린 시호. 혜제라고 줄여 부르기도 한다. 이후 남명은 새로운 시호를 올렸고, 청나라는 두 글자를 더한 공민혜황제가 됐는데 약칭은 종전과 똑같이 혜황제 또는 혜제였다.
- ↑ 남명 홍광제가 추증한 시호. 약칭은 양황제 또는 양제이다.
- ↑ 청나라 건륭제가 추증한 시호. 약칭은 혜황제 또는 혜제이다.
- ↑ 제왕이 묻힌 능(陵)의 이름.
- ↑ 시신이 발견되지 않아서 능을 조성할 수 없었으므로 능호도 없다.
- ↑ 영락제 즉위 후 이 연호를 사용했던 것 자체가 취소됐었다가 만력제 때 복구됐다. 자세한 설명은 본문을 참고할 것.
- ↑ 정난의 변 직후 신종(神宗)의 묘호와 효민황제(孝愍皇帝)를 올리자는 제안이 있었으나 영락제가 거부했다. 그래도 금나라의 해릉양왕이나 조선의 연산군처럼 황제나 왕이었던 사실 자체를 부정하진 않아서 혜황제라는 시호를 올린 것이다.
- ↑ 이에 따르면 1402년은 홍무 35년이 된다.
- ↑ 약칭 양(황)제이다.
이 사람이 아니다 - ↑ 물론 약칭으로 부르면 종전과 똑같이 혜(황)제가 된다.
- ↑ 흥종 강황제로 추존되었다.
- ↑ 결정적인 승리 상황에서도 결단을 내리지 못하고 "절대로 숙부를 죽이지 말고 생포하라"던가 하는 식의 애매하고 나약한 명령을 내렸다. 오죽하면 사서에서도 "오직 아녀자같은 어짊"이라고 돌려 깠을까.
- ↑ 주원장이 개국 후에 중점적으로 족친 계층이 공신들과 환관이었다. 환관이 글을 아는 게 발각되면 살가죽을 벗겨 죽이는 등 과거 왕조들이 겪은 환관으로 인한 화를 최대한 막고자 한 정책을 폈으나, 당시엔 이러한 정책이 역효과를 부른 것. 반대로 이 일로 정권을 잡은 영락제는 환관에게 많은 혜택을 부여하였고, 이로 인해 '동창'으로 대표되는 환관 세력의 비대화를 초래해 명 왕조 막장의 단초를 제공하였다.
- ↑ 건문제처럼 시체가 발견되지 않았다. 어머니 마황후처럼 불에 타서 죽어 시체가 완전히 불에 탔거나 도망쳤다는 설이 있는 건문제가 데리고 탈출했다는 설도 있다.
- ↑ 영락제 입장에서는 정통성을 위해서였다.
- ↑ 정화의 대원정을 다룬 중국 드라마 정화하서양에서는 이 설을 채용했다. 정화가 맨 처음 항해에 나섰을때 중국과 동남아시아 사이의 열대 섬에서 건문제의 흔적을 찾았고 항해에 능숙한 건문제의 신하를 잡아서 그를 기용해 대항해를 했다는 스토리로 전개된다.
- ↑ 황제의 호위로 어렸을 때부터 키워져 이름조차 가질 수 없었다고 한다. 황제의 최측근 호위무장만 입을 수 있는 태천갑주를 입고 있는 것이나 황제의 도주 때 미리 준비되어 있던 가사가 3벌이라는 것을 볼 때 당시에는 연왕이었던 주체의 자객들이 따라오지 않았더라면 그 후에도 함께 도주하려고 한 것으로 보이며, 마지막까지 함께 한 것을 볼 때 당시 건문제의 측근 무장 중에서는 무공의 경지가 가장 높았던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반쯤 미쳐있는 상태에서도 엽단평과 막야흔을 지법으로 제압하고 도주한 것으로 볼 때 상당한 실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고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