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시내버스/차량

1 운행 차종

1.1 현재 보유 차종

1.2 과거 보유 차종

  • 신진자동차 FB100LK
  • 신진자동차 DB102LC
  • GM-코리아 BD50DL
  • GM-코리아 BD098: 앞서 설명한 현대 HD160 중문형과 같이 1977년에 마지막으로 도입한 중문형 버스이다. 1980년대 초중반까지 생존하였다.
  • 새한자동차 BF101: 초기형의 모습으로 1982년까지 도입하였다. 대체로 1986년~1988년에 걸쳐서 리어엔진 신형버스로 대차하였다.
  • 대우버스 BM090 로얄미디: 1998년부터 2002년 초까지 도입한 대우의 중형버스, 일부 업체에서 전중문 폴딩형으로 도입하기도 하였다.
  • 대우자동차 BF101: 1982년 말~1986년 초에 도시형 및 좌석부문에 도입하였고, 1984년부터 중문 슬라이딩 형식으로도 도입하였다. 1990년대 초중반까지 운행하였다.
  • 대우자동차 BF101Q: 1986년~1988년 사이에 도입하였고 1995년까지 운행하였다.
  • 대우자동차 BV101
  • 대우자동차 BS105: 1986년부터 1991년까지 많이 도입하였다.
  • 대우자동차 BS106 하이파워: 1991년부터 1998년 초까지 도입한 대우 도시형 및 시내좌석 버스이다.
  • 대우버스 BS120CN: 2005년에 도입한 대우 저상버스이다. 당시에도 단 2대만 운행중이었으며 2013년을 전후하여 모두 대차되었다. 광주광역시 최초의 저상버스 타이틀 보유중.
  • 대우버스 BH115E: 2003년 좌석버스 고급화 할 당시에 대량 도입하여 운행하였다가 2012년에 전멸하였다.
  • 자일대우버스 레스타: 마을버스 업체인 세계버스가 1대 운용중이었다가 조기대차 하였다.
  • 아시아자동차 AM818 코스모스: 뉴코스모스는 도입된 적이 없었지만 앞부분을 뉴코스모스로 개조한(...) 페이크 차량이 있었다.
  • 아시아자동차 P9AMC: 1970년대 AB185 이전의 아시아 도시형 버스이다.
  • 아시아자동차 AB185: 1970년대 후반에 도입한 아시아 도시형 버스이다.
  • 아시아자동차 AM907: 1982년~1987년에 도입한 아시아 프론트엔진 도시형이다. 광주광역시가 아시아자동차 버스 본고장이었던 이유로 많이 운행하였다.
  • 아시아자동차 AM907L: 1985년~1986년에 도입한 아시아 리어엔진 도시형이다. 특히 대창운수에서 많이 운행하였다.
  • 아시아자동차 AM927: 1980년대 후반에 도입한 아시아 리어엔진 도시형이다.
  • 아시아자동차 AM937/AM937E: 1991년~1997년에 도입한 아시아의 도시형 및 시내좌석버스, 1990년대~2000년대 초반 당시 시내버스 주력차종이기도 하였다. 2007년까지 운행했으나 내구성 문제로 조기대차한 사례가 많은 비운의 차종이기도 했다.
  • 하동환자동차 A60: 1960년대 하동환(현 쌍용의 전신) 도시형 버스이다.
  • 하동환자동차 A66: 1960년대 하동환(현 쌍용의 전신) 도시형 버스이다.
  • 동아자동차 HA20
  • 동아자동차 HR252: 동아자동차 리어엔진형 시내버스라는데 광주광역시 일부 업체에서 운행했다고 한다.

2 관련 잡담

광주광역시는 1986년 직할시로 승격되었고, 1989년부터 프론트엔진 버스 도입을 중단하여 1990년대 후반 도시형 부문에 냉방버스 보급률을 높여갔다. 광주광역시 시내버스의 특징 중에 하나가 타 지역에 비해 아시아자동차(현 기아자동차)의 버스 차종을 많이 운행했다는 점이다. 1980년대 초반에 출시한 AM907의 경우 당시 경쟁차종인 현대 FB485 나 대우 BF101 과는 달리 중문이 슬라이딩 형식을 적용하지 않았는데, 광주광역시는 중문이 슬라이딩인 형식만 도입하도록 하는 조례가 없었기에 1984년 이후로도 도입이 가능하였다. 그래서 비단 AM907을 비롯한 프론트엔진버스들 말고도 1990년대 후반에 도입한 에어로타운(1998년~2000년형)과 대우 BM090 에도 중문이 폴딩 형식인 버스들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한국 시내버스 전체적으로 극히 드물었던 아시아 리어엔진 초창기모델 AM907L도 한국 여러 도시들 중 가장 많이 운행하였다.[1]
1990년대 또한 아시아 도시형차종 도입이 활발히 이루어져서 AM937E 도시형을 년식별로 빠짐없이 보유했던 지역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1998년 아시아 도시형 단종 이후로 광주광역시도 예외 없이 이 후로 도입한 도시형 차종은 현대와 대우로 양분하게 되었다. 2000년대에 와서는 버스 도입시 좌석형 시트를 적용해서 도입하였고, 2003년에는 좌석버스를 고급화할 목적으로 역시나 판스프링 형식이지만 차체 및 내부는 고급화 된 준고속 기반 좌석버스(현대 에어로스페이스LD, 대우 BH115E)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2003년 도입한 고급좌석버스는 한 10년만 운행하다가 중단되는 현상이 일어났다. 대신 현재 좌석 02번 운행 목적으로 광주광역시 전 업체들이 현대 유니시티를 도입하여 운행하고 있다.

저상버스변속기는 대부분 ZF자동변속기를 이용한다. 예외가 있다면 동화운수가 부산 부일여객에서 중고로 사 온 BC211M 클린디젤 하이브리드에는 이튼의 자동변속기가 달리며, 블루시티현대다이모스의 6단 AMT가 달린다. 해당 예외사항 외에는 전량 ZF를 이용하며, 사실상 앨리슨은 없다고 보면 된다.

현재 광주 시내버스 모든 업체가 현대버스를 최소 1대 이상 보유하고 있다.
  1. 일단 한국에서 AM907L을 운행한 지역으로는 대표적인 광주광역시 이외에도 대전광역시 구 동진여객(현 대전버스)에서 3~4대 정도, 전남 여수여객에서 운행한 실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