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상(시인)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구상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具常
1919년 9월 16일 ~ 2004년 5월 11일

1 소개

대한민국의 전 시인이다. 본명구상준[1]이다. 종교천주교이며, 세례명은 세례자 요한이다.

2 생애

1919년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지만, 유년 시절은 함경남도 원산부에서 보냈다. 50세 아버지와 44세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만득’이란 아명으로 불렸다고 한다. 여러 남매를 다 잃고 일곱 살 위 형 하나 뿐 이었던 집안의 막둥이 아들은 불면 꺼질세라 금지옥엽으로 길러졌다. 시인의 어머니는 한문 고전과 평민 소설, 시조를 두루 섭렵한 고전적인 인텔리로, 그가 네 살이 되자 천자문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어머니로부터 동몽선습, 명심보감, 고시조, 옥루몽, 삼국지연의 등을 배운 시인은 그 영향으로 보통학교 시절 조선어와 작문과 화법시간에 특히 흥미를 느꼈다고 한다. 어려서부터 종교적 분위기에 젖어 살아온 시인은 열다섯 살에 소신학교에 들어가 공부하지만 3년만에 중도 포기한다. 그와 달리 형 구대준은 끝까지 신학교를 다녀서 신부 서품을 받았다. 이후 동경으로 밀항해 일본대학 종교과에 입학했는데, 이때 학점을 받기 위해 습득한 불교 지식이 평생 시인을 받쳐줄 마음 속 깊은 자양분이 되었다.[2] 이처럼 구상 시인의 시세계는 어린 시절 어머니로부터 배운 고전문학과 집안의 카톨릭적 분위기, 대학 시절 배운 불교 지식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1946년 원산문학가동맹에서 펴낸 시집 『응향』에 게재한「길」, 「여명도」등이 공산당으로부터 비판을 받게 되자 월남하였다. 6·25때는 종군작가단 부단장을 지냈다.[3] 2004년 5월 11일에 폐질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6세.

3 시집

시집으로 『구상시집』(1951), 『초토의 시』(1956), 『까마귀』(1981), 『구상 연작 시집』(1985), 『유치찬란』(1989) 등과 자선 시집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1984)를 냈으며 『구상 시 전집』(1986)을 간행했다.

4 대표작 「초토의 시」

<서울시 문화상>을 받은 「초토의 시」연작시를 통해 구상은 전쟁에 의해 초토화된 조국을 노래했다.

조국아, 심청이 마냥 슬프기만 한 너로구나.
시인아 너의 이름을 부를 양이면 목이 멘다.
저기 모두 세기의 백정들
도마 위에 오른 고기모양 너를 난도질하려는데
하늘은 왜 이다지도 무심만하더냐.

조국아, 거리엔 희망도 절망도 못하는
백성들이 나날이 환장해만 가고
너의 원수와 그 원수를 기르는 벗들은
너를 또다시 두 동강을 내려는데
너는 오직 생각하며 쓰러져 가는 갈대더냐 -「초토의 시」부분

‘세기의 백정들’과 ‘너의 원수와 그 원수를 기르는 벗들’ 은 조국과 민족을 분단시키고 서로를 적으로 만들었던 자들이다. 난도질당하려는 조국의 운명을 목이 메어 부르는 시인의 고조된 외침은 우리 민족 모두의 외침으로서 절박함이 배어 있다.[4]

5 시세계

시인은 작품을 통해 사회의 불의와 부조리를 고발하는데, 그 고발이 자기 참회로 귀결되는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의 건국 신화, 한자 문화권의 전통 교양, 자연 탐구는 물론 선불교적 명상까지 포괄하는 광범위한 정신세계를 보여준다. 이운룡은 구상의 시를 두고 “진리의 모색이며 그 기록으로써 종교·존재·역사에 대한 비평이고 인간 전체와 우주에 대한 거대한 온유”라고 칭하며 극찬했다.[5] 시인은 스스로 “나의 시를 존재론적이고, 형이상학적이라고들 하는데, 오늘의 현상학을 영원 속에서 조명코자 한다고 할까, 오늘과 영원을 조응시켜, 존재 자체 안의 신비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 나의 문학관이라면 문학관이지”라며 자신의 시세계를 정리한 바 있다.

6 여담

프로 야구 선수인 삼성 라이온즈구자욱은 구상 시인의 종증손이다. 실제로 어릴 때는 서울에 올라가서 자주 뵙기도 하고, 학교에서 학생들 읽으라고 걸어놓은 시가 종증조부의 시라서 놀라기도 했다는 일화가 드러나기도 했다. 화가 이중섭과 친한 친구였다. 극심한 생활고에 시달릴때 그를 도와주기 위해 삽화를 그리는 직장을 알선해주었지만, 중섭은 이를 거절했다. (삽화는 진짜 미술이 아니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이후로도 두 번째 개인전을 열게 도와주었고, 시신을 수습해 장례도 치렀다. 초토의 시 연작 중 이중섭을 추모하는 시가 한 편 있다.

칠곡군 왜관[6]에 구상문학관이 있다. 홈페이지
문학관이 있는 만큼 문학관 주변 도로명주소는 구상길이다. 나름 집필실인 '관수재'도 복원되어 있긴 하지만 외관만 볼 수 있을 뿐, 항상 잠겨 있어서 내부에 들어갈 수 없다. (...)
그런데 그가 왜관에 살긴 했지만, 영남일보 편집 뿐만 아니라, 서울대학교, 서강대학교, 하와이 대학교에서 강의활동을 하며, 타지생활을 더 오래했다. (...) 그래서 그가 왜곡에 살던 시기에, 칠곡이나 왜관과 관련하여 쓴 작품은 전무하다.

한편, 구상시인을 기리는 '구상문학상'이나 '구상한강백일장'은 서울 영등포구[7]에서 한다 (...) 문학관보다 먼저 거행되었다.
  1. 이 이름으로도 이 문서로 들어올 수 있다.
  2. 윤정구,『한국현대시인을 찾아서』,「존재의 비의를 캐는 묵상의 시」,국학자료원, 2000, pp.26-30.
  3. 최동호, 『한국 현대 시사의 감각』,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4, p.63.
  4. 최동호, 『한국 현대 시사의 감각』,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4, p.64.
  5. 문덕수 외, 『한국현대시인연구 下』,「현존과 영원에의 조응」, 푸른사상, 2001, p.282.
  6. 한국전쟁 이후 왜관에 정착하여 74년에 서울로 이사가기 전까지 왜관에서 살았었다.
  7. 74년 이후 30여년간 살았던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