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창

金基昶
1913년 2월 18일 ~ 2001년 1월 23일
Kimkichang.jpg

1 개요

일제강점기, 대한민국화가. 친일반민족행위자

대한민국 미술계에서 커다란 족적과 영향을 남긴 거장이다. 청각장애를 딛고 피나는 노력 끝에 화가가 된 인간승리의 주인공이지만 한편으로는 일제강점기 때 친일 활동을 해 친일파라는 비판을 받는 등 상반된 평가를 받고 있는 인물이다.

2 생애

1913년 2월 18일 서울에서 태어났다.

호는 원래 어머니가 지어준 아호 '운포(雲圃)'를 사용하다가 해방 직후 일제의 굴레로부터 벗어난다는 의미로 囗를 떼어버리고 '운보(雲甫)'로 바꿨다.

1920년 승동보통학교에 입학했으나 장티푸스에 걸려 후천성 청각장애인이 되어 수년간 휴학했다가 복학했다. 이때부터 김기창은 평생 동안 청각장애인이 되었다. 한방요법으로 할머니가 해 준 삼계탕(인삼이란 설도 있다)이 부작용이 되었다는 말도 있지만 신뢰하긴 어렵다. 조리를 어떻게 했길래 삼계탕을 먹었는데 귀가 멀지?[1]

어머니는 자식의 교육을 위해 손수 한글, 산수를 가르쳤고 김기창은 보통학교에 입학하기 전 서당에서 천자문을 배운 기억이 있어 쉽게 이해했다. 또한 어린 시절에도 미술에 재능이 있어, 선생님의 말씀이 들리지 않는 교실에서 혼자 교과서에 낙서를 하며 지냈다.

1930년 보통학교 졸업 후 어머니의 주선으로 이당 김은호의 화숙인 낙청현에서 본격적으로 그림을 배우기 시작했다. 낙청현에 입문한지 6개월만에 스승 김은호의 영향과 총애를 받아 1931년 '제 10회 조선미술전람회'에서 '판상도무'를 출품해 입선했다. 아버지는 귀머거리지만 아들이 허우대가 크다고 해서 목수를 시키려고 했지만, 어머니는 그가 미술에 소질이 있다는 것을 알고 그림을 배우게 했다.

당시 스승 김은호는 안중식과 조석진으로부터 그림을 배운 뒤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미술학교 교수로 있던 유키 소메이에게 수학하면서 섬세한 묘사에 기초한 일본화식 채색화법을 익혔으며, 일본 제국미술전람회에 입선해 중견작가의 반열에 오른 상태였다.

낙청현에는 김은호를 사사하고자 김기창 외에 장우성, 이유태, 백윤문, 이석호, 한유동, 장운봉 등이 동문수학했다. 이들은 1936년 1월 미술단체인 후소회를 창립하고, 10월 제1회 전시회를 개최함으로써 조선화단에서 유파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일제 강점기 때의 작품인 <전복도>(1934)와 <가을>(1934). 김은호의 화풍과 일본화의 영향을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중일전쟁부터 각종 미술대회에서 일본 군국주의를 찬양하는 내용의 그림 여러작품들을 남겼다.(자세한건 여기) 전시 체제 때 이러한 행적으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되는 불명예를 안았다.

광복 이후 종래의 일본화의 경향에서 탈피한 작품들을 발표해 주목을 받았다. 같은 시기인 1946년 우향 박래현에게 서울 남산에서 고백해 결혼, 1947년 '운보-우향 부부전'을 시작으로 부부작가로 함께 미술 전시활동을 시작했다. 박래현 역시 일본화의 영향을 크게 받은 화풍의 그림을 그렸지만 역시 일본화의 영향에서 벗어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보리타작>(1956)과 <복덕방>(1953). 일상적인 광경을 그린 풍속도이면서도 공간을 분할하고 재조립한 화면 구성을 통해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냈다. 같은 시기의 박래현도 이런 스타일의 작품을 제작하다 보니 한때는 '부부의 화풍이 점점 닮아간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뭔가 핑크레이디가 생각난다

이런 작품들은 한국전쟁으로 인해 군산으로 피란을 간 시기에 구상된 것들인데, 이때의 또다른 작업으로는 1952~1953년의 <예수의 생애> 시리즈가 주목을 받았다. 예수의 출생에서부터 부활까지의 장면을 총 30점의 연작으로 제작한 것인데 특이하게도 외모나 복장, 배경 등을 모두 조선조의 것으로 바꿔 그려서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사진은 <최후의 만찬>. 중앙의 후광 있는 인물이 예수이고 그 주위를 열두 제자가 둘러싸고 있다.

<군마도>(1955)와 <군작>(1959).
1950년대 후반에는 문자도나 동물 그림을 그리기도 했다. 특히 말을 좋아했다고.

이후 1960년대에 접어들면서 작품 스타일이 완전히 추상 쪽으로 옮겨졌지만 얼마 되지 않아 추상이 아닌 작품도 다시 그리기 시작했다. 이후 1970년대 중반까지 장르를 가리지 않는 작품활동을 이어갔다.

60년대의 대표작인 <아악의 리듬>(1967)과 <태양을 먹은 새>(1968). 소리를 못 듣는 사람이 어떻게 음악을 그림으로 표현했을까 하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지 모르겠지만 김기창은 후천적 청각장애였기 때문에 음악이 무엇인지 알고 있었다.

1970년대 중반부터는 당시 김기창이 깊이 매료되어 있었던 민화의 표현방식에서 영향을 받은 화풍의 이른바 '바보산수'라고 불리는 그림들을 그리기 시작했다. 사실적인 작품들만을 그리던 초기의 그림들과 비교해보면 같은 작가의 작품으로 보이지 않을 정도.. 김기창 본인은 이런 스타일을 만들어낸 것을 굉장히 자랑스럽게 생각했다고 한다.

<닭>(1977).
하지만 비슷한 시기엔 부인 박래현이 1976년 왕성한 활동을 벌이던 57세의 나이에 사망하면서 큰 충격을 안겨주기도 했다.

<청산도>(1976)와 <점과 선 시리즈>(1992).
이후에도 1980년대에는 푸른색을 산의 전면에 칠해 대중적으로 큰 인기를 얻은 '청록산수' 연작을 그렸고, 1990년대 초반에는 고령의 나이를 무릅쓰고 봉걸레를 먹에다 찍어 대형 화폭에 그린 '점과 선 시리즈' 연작을 제작했다. 김기창은 일생 동안 작품세계가 자주 변모하는 모습을 보여왔기 때문에 작품에 일관성이 없다는 지적을 받기도 하지만 다양한 장르의 시도에서 모두 성과를 얻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사망할 때까지 약 1만 5천여 점의 작품을 남겼다.

1947년 자유신문 미술기자, 국립민속박물관 미술부장 등을 지냈다. 1960년 홍익대학교 미술과 교수, 1962년부터 1974년까지 수도여자사범대학 교수를 지냈고, 백양회 창립을 주도했으며 1969년부터 1975년까지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심사위원, 1970년 미술협회 부이사장 등을 역임하면서 화단과 교육계에서 커다란 활동을 했다. 1989년 예술원 정회원이 되었다.

수상경력으로는 1971년 제12회 3.1 문화상이 있으며, 1972년과 1977년 3.1문화상 심사위원에 위촉되었다. 또한 1977년 은관문화훈장, 1981년 국민훈장 모란장, 1982년 중앙일보 중앙문화예술상 본상, 1983년 예술원상, 1986년 '5.16민족상과 서울시 문화상','1987년 '색동회상'등을 두루 수상했다. 이외에도 1981년 한독미술가협회 회장, 1985년 후소회 회장, 1986년 서울 아시안게임 동남아채묵전 추진위원장, 1988년 서울 올림픽 아트포스터 제작 작가로 선정되는 등 각종 여러 다채로운 경력으로 활동했다.

또한 박정희 정부의 민족정기 함양 정책에 따라 세종대왕, 을지문덕, 조헌, 신숭겸 등의 많은 역사인물의 표준영정과 민족기록화를 도맡아 그렸다. 특히 이 중에서 1973년에 그린 세종대왕의 표준영정은 현재 한국은행 만원권 지폐의 도안으로 계속 사용하고 있다. 이 부분이 상당히 논란이 많은데, 자세한 건 아래에 서술.

1984년 충북 청원에 '운보의 집'을 완공했다. 말년인 1993년 예술의 전당에서 '운보 김기창 팔순 기념 대회고전'을 개최하고, 1994년 '운보 김기창 전작도록'을 발간했다. 2000년 7월 개인전 '미수 기념 특별전'을 열었다.

한평생을 청각 장애인으로 살아왔기에 장애인에 대한 처우문제에도 깊은 관심을 가졌다. 한 장애인 미술지망생이 뛰어난 성적에도 불구하고 장애판정으로 진학을 못하자 격려의 말이 담긴 편지글을 보내고, 기부도 많이 했다.

말년에는 자신의 친일행적에 대해 시인하고 공개적으로 고백, 과거행적에 대해 진심으로 반성하는 자세도 보였다.#

2001년 1월 23일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에서 그를 높이 기려 금관문화훈장을 추서했다.

3 친일행각 및 논란

53144-2-10147.jpg
김기창의 대표적 친일작품 총후병사

김기창은 일제강점기때 여러 불명예 작품들을 남겼다. 김기창은 살아 생전에 '나는 친일그림을 그린 적이 없다. 강요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삽화 나부랭이 종이조가리에 서너장 그린게 전부다!'라고 말한 적이 있었다.

하지만 김기창은 그의 스승 이당 김은호와 함꼐 대표적인 친일 화가로 의심을 받아왔고 그의 말은 결국 거짓으로 드러나게 된다. 물론 김은호도 친일화가로 밝혀졌고, 김은호의 그림들도 절찬리에 철거되고 있다. 논개 영정이 진주시와 시민단체간의 오랜 대립끝에 끝내 철거된 것이 대표적이다. 김기창은 말년에 이러한 점에 대해 사죄를 하기도 했다.

파일:/image/032/2004/10/19/4j1805c.jpg

파일:/image/032/2004/10/19/4j1805b.jpg

1944년 식민지 조선에서 대규모의 미술전시회가 열렸던 적이 있었다. 그 전시회 이름이 '결전(決戰) 미술전람회'였다. 여기에 김기창이 출품한 작품이 바로 저 작품으로 이름이 '적진육박'이다. 이 작품으로 그 당시 전람회에서 '조선군 보도부장상'을 받았었다.

그런데 이 작품을 광복 이후에도 그대로 똑같이 그렸다. 아래 그림으로 1972년 베트남 전쟁 당시 맹호부대의 용맹성을 그린 기록화다. 이 그림이 위 그림을 그대로 보고 그린 것. 최고의 존경받는 화가가 1944년 일제 군국주의를 찬양하는 그림을 광복이후 정부 수립이후에도 그대로 그렸다는것이 미술계에서 엄청난 충격을 주었다. 특히 이 그림은 국방부 청사 현관에 오랫동안 걸렸다는 것이 문제가 되었다.

1256710576_1.JPG

그리고 1973년에 그린 세종대왕표준영정(충무공 이순신에 이은 표준영정 2호)은 이를 기반으로 만원권 지폐 등 세종대왕을 묘사한 각종 도안과 동상 등이 만들어졌는데, 김기창이 자신의 얼굴과 흡사하게 그렸다고 해서 논란이 되기도 했다. 다만 세종의 어진이 남아있지 않으며 보통 사람을 그릴 때는 무의식적으로 자신과 닮게 그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속단할 수는 없다.
  1. 그런데 이 부분이 김기창의 수필에 나와있다! '보약이라고 해서 외할머니가 인삼을 달여온 것을 먹고 나의 병은 더욱 악화되었다. 열에 인삼이 나쁘다는 사실이라든지, 체질에 따라 받지 않는 사람이 있다는 것을 몰랐던 것이다.'라고 쓰고 있는 것으로 봐서 아주 못 믿을 만한 정보는 아닌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