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ngzhu Gaming | ||||
김진현 | ||||
이름 | 김진현 | |||
생년월일 | 1993년 6월 7일 | |||
국적 | 대한민국 | |||
출신지 | 부산광역시 | |||
아이디 | Emperor 피글렛솔찌잘하냐 | |||
포지션 | 원거리 딜러 | |||
소속구단 | CJ 엔투스 Blaze (2013.11.13~2014.11.03) Keyd Stars (2014.12.11~2015.04.26) Team Dragon Knights (2015.05.19~2015.09.23) G2 Esports (2015.12.31~2016.05.17) Longzhu Gaming (2016.05.18~ ) |
우승 기록 | |||||||||
리그 오브 레전드 | |||||||||
WCG 2013 금메달 | |||||||||
CDE(2011) | → | CJ Entus Blaze | |||||||
ZOTAC NLB Winter 2013-2014 우승 | |||||||||
Najin Black Sword | → | CJ Entus Blaze | |||||||
LCS EU 스프링 2016 우승 | |||||||||
Fnatic | → | G2 Esports | → | G2 Esports |
1 소개
前 CJ 엔투스 Blaze, Team Dragon Knights, G2 Esports, 現 Longzhu Gaming의 원거리 딜러.
2 플레이 스타일
플레임, 앰비션의 조역 신세에서 이제는 코리안 드림의 또다른 주역으로
사실 지금 주연도 퍽스와 트릭인건 넘어가자(...) 그리고 그냥 불밤시절처럼 안던지면 안될까
가장 좋아하는 캐릭터는 코르키와 이즈리얼. 코르키는 아마추어 시절에 장인 수준으로 팠던 것으로 알려져있다. 물론 선호하는 원거리 딜러와 무관하게 어떤 챔피언을 잡아도 제 값을 해주는 편이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삼위일체 성애자답게 올리는 스킬딜러 및 중반에 강력한 챔프를 선호하며, 이를 통한 공격적인 스노우볼링과 탑미드 캐리를 보조하는 플레이에 능하다. 삼위일체 안올리는 챔프로 바뀐 루시안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주력챔프다. 하지만 의외로 블레이즈 시절 플레임과 앰비션이 봉쇄당했을 때 베인이나 드레이븐 등 평타딜러로 하드캐리하는 모습도 보여준 만능형 원딜러. 더불어 잘 알려지지 않았는데 오더능력이 뛰어난 원딜러에 속한다고 한다. G2로 같이 이적한 트릭의 인터뷰에 근거한 것. 실제로 G2는 2부리그에서 굉장히 안좋은 운영을 보여줬으나 1부리그에서 바이탈리티와 운영 투탑으로 자리잡으며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단점은 의외로 공격성이다. 플레임과 앰비션이라는 오더도 잘하고 캐리력도 높은 플레이어들이 있던 블레이즈에서는 경력이 짧다 보니 이들을 보좌하기 위해 안정지향적인 모습을 보였으나, 해외경력을 살펴보면 오히려 어떤 의미로는 안정감이 떨어진다. 대치전에서 메카닉을 과신하거나 오더를 내리다 짤리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보이며, 팀원들을 믿지 못하는 경우 한타에서도 공격적인 포지션을 잡다 던지는 경우가 있는 편. 이 정도면 메타가 바뀌었을 때 하드캐리형 평타딜러를 맡기기에는 고민이 좀 될 것이다. 하지만 블레이즈 시절 잭선장을 능가하는 안정감을 가졌다는 평가를 감안하면 해외 팀을 돌아다니는 과정에서 의사소통이나 팀원 불신으로 인해 기량이 저하된 것처럼 보이는 것일 가능성도 있다.
근데 한국 돌아와보니 의사소통은 되는데 팀이 롱주. 북미 유럽 시절보다 더 던지기 시작했다...
3 경력
프로게이머로서 엠퍼러가 가진 가장 큰 장점은 기복이 매우 적다는 것. 보통 신인 선수는 후보 선수로 오랜 기간 담금질을 거치다가 컨디션과 기량이 검증되면 나오는 경우가 많은데, 입단하자마자 거의 혜성처럼(...) 주전 자리를 꿰차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눈에 띄는 실수 없이 안정적인 기량을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안정적인 플레이를 바탕으로 과거 심각한 기복을 보여주던 잭선장을 대신하여 CJ Blaze의 봇라인에 무게감을 실어줬고, 이는 러스트보이가 안정적으로 기량을 발휘하는 계기를 마련해줬다. 여기에 안정적인 정글러 데이드림이 영입되고, 기존에도 잘해주던 플레임, 앰비션이 굳건히 자리를 지켜주면서 프리시즌 CJ Blaze가 다시금 강팀으로 거듭날 초석을 다졌다고 평할 수 있다. 기복이 너무 적어서 가끔 존재감까지 없다 카더라
PANDORA TV Champions Winter 2013-2014/8강에서 비록 경기는 KT에게 졌지만 라인전과 한타를 굉장히 안정적으로 수행하며 커뮤니티 사이에서는 특급 신인으로 분류되고 있다. 벌써 잭선장의 완벽한 상위호환이라는 이야기도 나오는중. 특히 루시안 플레이는 루시안 장인으로 알려진 데프트 이상의 플레이를 보여주었다. 데프트 역시 나이스게임TV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루시안을 제일 잘쓰는 플레이어같다고 평가. 정작 본인은 밴을 하도 많이 당해서 활약은 커녕 쓸 기회조차 없다고
HOT6 Champions Spring 2014에 접어들어서는 러스트보이가 부진하면서 본인도 크게 좋은 모습을 보이지는 못 하고 있다. 8강에서 비록 펜타킬을 하기는 했지만 경기에서는 전체적으로 존재감이 별로였다는 평가가 대다수였다. 러보가 차츰 좋은 모습을 보이면서 자신도 어느정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는 있지만 그래도 분발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시즌 초반 베인으로 거하게 망하며 캐리력이 없는 것 아니냐고 비난받았던 것에 비하면 이후 펜타킬을 기록하고 4강에도 진출하는 등 시작에 비하면 끝이 나아졌다고 생각할 수도. 이후 3, 4위 결정전에서는 블레이즈가 이긴 1, 4세트에서 모두 MVP를 획득하며 팀을 캐리했다. 특히 4세트의 드레이븐은 그야말로 경기를 혼자서 폭파시킨 수준하지만 플레임의 똥과 존재감이 없었던 엠비션때문에 4위에 머물러서 빠따질과 패드립 권한을 얻었다 카더라
이후 롤 마스터즈 나진전과 삼성전에서도 물이 오른 모습을 보여줬다. 다만 나진전은 상대가 리빌딩 직후의 어수선한 상태여서 어떻게 보면 당연히 이겼어야 하는 게임이었는데도 혼합팀에게 패배하는 등 불안했고, 삼성전은 결국 팀이 1승도 따내지 못하고 패배한지라 빛이 바래는 느낌. 그래도 패배한 경기들에서도 엠퍼러는 제 역할 이상을 했다는 평가가 대다수로, 블레이즈에 이때까지 없었던 '원딜 캐리'를 가능케 할 만큼의 역량이 있다는 사실은 입증했다는 평가.
브라질 Keyd Stars를 데이드림과 함께 결승으로 이끌었으나 팀원들의 피딩으로 MSI 진출에 실패했고 팀을 나왔다. 다만 데이드림과 엠퍼러도 썩 좋은 소리를 들었던건 아니다 그리고 김동우 감독이 지휘하는 북미의 TDK 소속으로 세라프 신우영과 함께 북미 LCS에서 뛰게 되었다. 절친 피글렛과의 재회는 덤이다. 브라질팀 관련으로 레딧의 브라질리그를 보던 사람들과 관계자들에 의하면 데이드림과 엠페러가 경기를 패배할때마다 굉장히 짜증을 내면서 팀원들에게 부담을 줬다고 한다.패드립과 빠따가 난무하던 팀 출신이라 짜증만 내는 것은 매우 잘 참은거라 카더라
북미 개막전에 출전하지 못해 피글렛과의 절친솔찌잘하냐더비가 불발되었다. 아무래도 관광비자를 받은듯 싶다.
그래도 5주차 2경기에 출전해서 승리했지만 그 후 6주차에는 패배하였다. 라인전등은 잘하는 편이지만 포지셔닝이 이상해서 그 부분에 관해서 많은 문제를 받고 있다. 첫날은 무난히 캐리했다고 평가받았으나 이후 연패를 보면 백업 원딜인 Lattman이 너무너무 못했을 뿐인 듯하다.Lattman이 라인전부터 포지셔닝까지 역대급이긴 했다 아예 레딧에서는 기술이 좀 더 있는 Zuna(...)라는 평까지 받을 정도로 6주차에서 이상하게 원딜로서 해괴한 포지셔닝을 보여주었다. 그나마 마지막 주 C9의 상승세를 루시안으로 잠재웠으나 이미 버스는 떠났다(...)
그리고 TDK를 떠났다. 2016년 시즌은 G2 Esports에 김강윤(트릭)선수와 함께 영입되어 유럽 LCS에서 시작하게 되었다. 서구권에서는 엠퍼러의 평가가 생각보다 안좋은 편인데, 그 이유는 Keyd와 TDK에서 전부 기대 이하의 퍼포먼스를 보였기 때문이다. Keyd는 코리안 듀오 외에도 롤드컵에서 유명해진 브체탑 마일론과 메카닉 및 공격성만으로는 카미를 앞선다는 미드라이너 타케시, Keyd INTZ paiN 3대 인기팀에서 다 뛰어본 브라질 올스타 서포터 Loop까지 개인기량으로는 브라질 최강이었다. 그러나 오더의 부재와 팀 케미스트리의 문제로 인해 수노-윙드그리고 P체원 BrTT시절보다 오히려 아쉬운 경기력을 보였고 엠퍼러의 워크에씩과 위험한 플레이가 도마에 올랐었다. TDK에서도 세라프와 닌자가 크랙이 아니었고 비자문제로 호흡이 맞지 않았기 때문에 마지막주 전까지는 위험한 플레이를 연발하며 북미 팬들에게 저평가를 당해야 했다.
덕분에 서양에서는 G2에 대한 기대치도 약간 낮은 편인데, 사실 한국에서 러보의 아쉬운 기량과 블레이즈 특유의 경직된 운영에도 불구하고 엠퍼러가 안정적인 플레이와 뛰어난 캐리력을 보여준 것을 아는 한국 팬이라면 기대치를 좀 올려도 될 것이다.사실 운영문제나 키키스 탑이 훨씬 걱정된다. 트릭이 오더만 할 수 있다면(...)[1]
그리고 개막 1일차에 본인의 상징인 루시안으로 초공격적인 플레이를 하다 몇 번 물려서 서양 팬들이 우려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2일차에 칼리스타로 완벽한 노데스 캐리를 선보였다. CJ에서 엠퍼러가 보여주던 바로 그 모습으로 안정적이면서도 풀딜을 때려넣었기에 서양 팬들의 여론을 한방에 돌려세우는데 성공한 상황.
다만 이후로는 쓰로잉을 다시 좀 보여줘서 포기븐, 스벤, 그리고 엠퍼러에게 개털린 바위게 등 현지 원딜러들에 비해 저평가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보이나 그래도 엠퍼러가 Keyd와 TDK에서 제 기량을 보여주지 못했고 현재 그 진가가 드러나고 있다는 것은 모두가 인정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7주차 2연 루시안으로 짤리긴 했지만 엄청난 카이팅과 캐리력을 보여주며 마침내 주간 MVP를 수상했다.1주차 MVP 트릭도 그렇고 이것이 탈밤효과
8주 1일차에도 루시안으로 무리하다가 나서스에게 솔킬을 따였지만(...) 이후 무서운 속도전을 주도하며 공동 1위 Vitality를 폭파, 여전히 기세를 이어가고 있다. 그리고 결국 팀이 H2k와 VIT를 제치고 정규시즌 1위가 되었다. 특히 팀의 1위를 확정짓는 마지막날 UoL전에서 평소에 팀을 캐리하던 위쪽이 말렸지만 결국 퍽스와 하이브리드가 풀어내고 엠퍼러가 뛰어난 캐리력으로 경기를 뒤집어내며 활약했다.외쳐 탈밤
한국에 복귀한 데이드림의 인터뷰에 의하면 브라질에서의 상대적인 부진[2]은 언어장벽 및 호흡에 의한 것이며 화를 냈다는 것은 잘못된 루머로 당시 동료인 마일론, 타케시, 룹 등과는 지금도 연락을 할 정도로 사이가 좋다고 한다. 다만 Keyd가 계약을 이행하는 과정에서 쌈바 통수를 후려갈겨서 급히 팀을 떠났고 이 과정에서 팬과 동료들에게 잠깐 오해를 샀던 적이 있을 뿐이라고. TDK야 말할 것도 없으니 결국 서양 팬들의 엠퍼러에 대한 저평가는 오해에서 비롯된 셈이다.역시 레딧 브라질리언들이 문제다
정규시즌 마감 투표에서 원딜 올스타 3위에 선정되었다. 다만 1위가 엠퍼러에게 맞대결에서 두 번이나 참교육당한 스틸백(...)인 점을 감안하면 커다란 의미를 부여할 필요는 없는 투표다.올스타가 아니라 기량+인성 발전상 투표면 스틸백 1위, 포기븐 2위, 엠퍼러 3위가 딱이긴 한데 그만큼 현지에서도 엠퍼러의 강함을 충분히 인정하고 있다는 의미 정도로 받아들이면 될 일이다.
포스트시즌 4강에서는 1세트의 칼수은점멸 등 뛰어난 무빙과 스킬사용을 보여주며 상대 원딜러인 레클레스를 능가하는 활약을 했다. 하이브리드가 클라이를 압도해준 것도 크지만 엠퍼러 또한 통계로 설명되지 않는 뛰어난 기량을 보여주었고 정규시즌 쓰로잉도 많이 고친 느낌이었다. 다만 결승에서는 2세트에 Zven에게 라인전을 털리는 등 하이브리드와 더불어 다소 고전했고 게임은 퍽스와 트릭, 키키스가 주로 캐리했다.
MSI 전부터 불화설에 휩싸였고 MSI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었고, 결국 MSI 이후 귀국해서 롱주 게이밍에 입단했다. MSI에서 라인전이고 한타고 운영이고 그냥 기본이 안된 모습을 보여줘서 한국에서는 대체 왜 데려왔냐는 이야기가 많은데, MSI 당시가 고의트롤 급이었던 것이고 유럽 정규시즌과 포스트시즌에는 약간의 쓰로잉을 지적받은 정도이지 이렇게 못하지 않았다.저따구로 하고 우승했을리는 없잖아 이를 감안하면 상반된 스타일인근데 챔폭은 비슷한 퓨리와 좋은 경쟁이 될 가능성이 높다. 원딜이 3명이라서 말이 많았으나 캡틴잭이 사실상 해설전향이라 일단락.
그리고 퓨리가 첫 경기에서 루시안으로는 그럭저럭 플레이했지만[3] 이즈리얼로 부진하면서 1주차 2경기인 진에어전에서 데뷔전을 치렀다. 하지만 초반에 파일럿의 앞대쉬를 절묘한 스킬 적중으로 커트해서 망할뻔한 드래곤한타를 살려낸 것을 빼면 전체적으로 침묵했다. 퓨리나 엠퍼러나 던지는건 똑같다는 평.
그리고 kt전 1세트에서 루시안으로 공격적인 무빙을 보여주며 썸데이의 강속구 연발투척을 받아먹고 캐리했다. 하지만 공성 후에 상대 정글에서 잘린 것은 불필요했다는 평. 그리고 2세트에 진으로 잘 컸는데 앞점멸 쓰로잉을 시전(...) 역전패했다. 마지막 3세트에서는 칼리스타로 폴짝폴짝 카이팅을 하다 에코의 스턴 사거리 안에 마지막에 들어가서 죽어버리는 눈썩 플레이로 또 역캐리하며 퓨리 재평가론이 일어났다. 한국에서나 유럽에서나 메카닉 자체는 뛰어나다는 것이 반응속도나 무빙을 통해 증명되어 있지만 왜 이렇게 커리어 초기에는 아예 하지도 않던 쓰로잉이 가면 갈수록 늘어나는지는 불명(...)
그리고 자신의 생일이었던 CJ와의 멸망전 1세트에서 공격적인 포지셔닝으로 초반부터 킬을 먹고 노데스로 잘 크더니 바론 한타에서 이상한 오더로 인해 한 번 희생되어 제압골드를 넘겨줬지만 마지막 한타에서 정확한 앞무빙으로 빅토르를 끊어내며 캐리, MVP에 선정되었다.[4] 하지만 2세트에 생존기 좋은 이즈리얼로 페이스체크를 하다 마오카이에게 짤려죽으면서 불안감을 남기더니[5] 3세트에도 케이틀린으로 바드보다 앞장서서 상대 정글에 들어가다 바루스 궁을 맞고 연계폭딜로 사망, 팬들의 맹비난을 받았다. 이후 대치상황마다 BDD의 바루스에게 생일빵포킹을 자석처럼 얻어맞더니[6] 탑 억제기 대치상황에서는 아예 화살 맞고 사망하며 배드엔딩을 맞았다. 경기 후 팬들이 생일케이크를 준비했지만 엠퍼러는 망연자실한 표정이었다고(...) 분명히 루시안을 잡았을때는 유럽에서의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나 캡틴잭이 지적했듯 3세트에는 원거리 저격수인 케이틀린으로 공격적으로 상대 정글에 진입할 하등의 이유가 없었다.
이후 퓨리가 2연승 기간에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연패기간에도 폼을 유지하며 엠퍼러 찾는 목소리는 없었으나, 2라운드에 다시 퓨리가 포풍같이 던지기 시작하면서[7] 엠퍼러를 찾는 목소리도 약간 고개를 들고 있다.역시 경기에 안나오면 평가가 간접상승하는 롱주매직 그러나 캡잭 해설 때려치우고 선수복귀하라는 여론에 묻히고 있다(...)
한국에서는 엠퍼러의 이미지가 '롱주의 구멍인 퓨리보다 못한 놈'(...) 정도로 인식되어 있고 딱히 틀린 말이 아닌 것이 현실이나, 유럽 친정팀인 G2가 엠퍼러 떠나고 운영이 B급에서 F급으로 내려간 것을 보면 엠퍼러에게 어느 정도 오더능력이 있다는 것은 사실로 보인다.사실 퓨리도 엠퍼러도 모두 입쥐효과의 피해자인데 퓨리가 조금 나은거다
4 기타
아마추어 시절엔 토피란 닉네임을 썼다. 아이디 Emperor는 과거 팀 동료였던 김강환(Hermes)가 지어줬다고. 하지만 헤르메스는 팀에서 나갔다 아마추어 시절부터 채광진과 친분이 있었다고 한다. 그 때문인지 본래는 SK 텔레콤에 입단 테스트를 치룰 생각이었는데 손대영 코치가 테스트를 권해서 CJ의 입단 테스트를 봤는데, 순식간에 합격되고 WCG 주전 멤버 자리에 덜컥 앉게 되었다고. 잭선장이 얼마나 못했으면 봐서 알잖아 그리고 프로 데뷔 2개월만에 국가대표가 되어 금메달까지 목에 걸었다.
삼위일체성애자이다. 루시안, 코르키등 삼위일체가 코어템인 챔피언을 좋아하며 HOT6 Champions Spring 2014/16강에서는 드레이븐으로도 삼위일체를 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커뮤니티 사이에서는 바우와우를 닮았다는 평이 많다. 일명 불밤의 MB션과 바우와우 닮았다고도. 바우와우를 닮은덕에 생긴 별명이 개갓(...). 아무리 닮았다해도 개라니! 개미핥기설도 나오고 있다.
목소리가 상당한 중저음이라서 매력적이라는 평이 다수다, 심지어 북미 레딧에선 목소리로 임신임신광선!! 했다는 코멘트가 최대추천 덧글로 올라가기도 했었다. 눈빛만 봐도 임신할 것 같다는 전 팀 동료가 떠오르는건 기분탓인가
- ↑ 그러나 정작 트릭은 인터뷰에서 엠퍼러가 원딜치고 오더를 잘하는 원딜 중 하나라서 신뢰하고 함께 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마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 것은 언어문제와 비자문제 탓이 클지도.
- ↑ 한국에서보다 좋지 못한 경기력을 보인 것, 그리고 한국 시절 상대적으로 이름값이 떨어지던 전임자 수노-윙드보다 정작 좋은 팀 성적을 내지 못한 것.
- ↑ 정확히는 슈퍼플레이를 보여줬지만 후반에 허무하게 잘리기도
그거 엠퍼러 스타일인데 - ↑ 꾸준히 잘해준 엑페의 스웨인이나 뛰어난 이니시를 보여준 코코의 블라디에게 줬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지만 엑페는 엠퍼러만큼 결정적인 장면을 만들지는 못했고, 코코는 좋은 이니시를 보여줬지만 바론한타에서 최악의 이니시로 역전의 빌미를 제공하기도 했었다.
- ↑ 물론 2세트에 이즈 Q로 바론스틸을 해서 게임을 길게 끌고간 것도 엠퍼러지만 이건 하루가 못한것과 운적인 요소가 크다 보니(...)
- ↑ 물론 포킹은 최대한 잘 피해야
포잘피하는 것도 맞지만 포킹을 길게 당할 상황을 팀적으로 만들지 않는 것이 정답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야상황과 포킹각도를 감안하면 엠퍼러의 이날 피격률은 너무하다는 평가. - ↑ 특히 MVP전 신비한 차원문 쓰로잉 덕분에 평가가 엠퍼러 이하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