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스타

  • 이 문서에서는 외래어 표기법으로 '바리스타'라고 표기할 수 있는 단어에 대해서만 다루며, 비슷한 이름의 사격용 무기를 찾는다면 발리스타 문서로.

1 직업

바리스타로 표현될 수 있는 직업은 다음과 같다.
Barista : 커피 전문점 직원
Barrista : 철봉전문 서커스 단원
Barrister : 법정 변호사

1.1 Barista의 정의

이탈리아어로 바에서 커피를 만드는 사람을 뜻하며, 넓은 의미로는 좋은 콩을 고르고 로스팅하여 고객의 입맛에 맞는 다양한 커피를 만드는 사람을 말한다.

물론 대부분의 커피숍 바리스타들은 생두 고르는 것으로부터 커피추출까지 전 업무를 담당하진 않으며, 잘 볶아진 원두를 업체로부터 구입하고 커피를 추출하는 것이 기본 업무이다. 사실 해외쪽의 커피 업계에서는 바리스타면 바리스타, 커퍼면 커퍼, 로스터면 로스터, 이렇게 구분을 지어 활동하지만 유독 우리나라만 이런 구분이 희미하다. 한 사람이 바리스타, 커퍼, 로스터 등등의 일을 전부 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이런 모습을 보고 해외 바리스타들이 놀랄 정도라고 한다.

국내에 바리스타라는 개념이 도입된 것은 1999년에 스타벅스 프렌차이즈가 한국에 들어오면서부터이며, 특히 커피프린스 1호점이라는 드라마가 공중파를 탄 뒤 대중적으로 바리스타가 각인되었다. 커피를 배우는 것 자체는 진입 장벽이 낮으나 깊게 파고들어갈 수록 고려해야할 점이 늘어나 지속적으로 커피를 연구하는 사람들도 많아지는 추세다.

1.2 전문분야별 바리스타 종류

1.2.1 에스프레소 바리스타

커피머신을 이용해 에스프레소, 또는 에스프레소를 기본으로 한 베리에이션 커피를 만드는 직업. 일반적으로 바리스타라는 명칭을 대표하여 일반인들 사이에도 가장 널리 알려진 커피 직업군이다.

1.2.2 핸드드립 바리스타

핸드드립 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하여 서비스하는 직업이다. 핸드드립은 유서깊은 커피추출 방법으로 커피 본래의 향미를 최대한 뽑을 수 있는 기술으로, 이는 바리스타의 능력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커피 1세대로 유명한 보헤미안의 박이추 선생처럼 로스터와 겸직을 하는 경우가 많다. 핸드 드립의 방법론을 보면 크게 일본의 핸드 드립과 미국을 위시한 서양쪽의 푸어 오버로 나눌 수 있다. 일본의 핸드 드립은 특유의 다도 문화와 융합되어 일본에서 크게 꽃을 피울 수 있다. 실제로 오래된 카페에서는 장인이 직접 드립을 내리기도 한다. 그렇기에 방법론에 있어서 경직성이 있을 수 밖에 없다. 미국의 푸어 오버는 자유로운 특성이 있는데, 커피의 특성에 따라 여러 방법을 실험하고 변수를 변경한다. 일본 핸드드립에서는 포트로 물을 부을 때 아주 가는 물줄기로 고르게 붓는 것이 포인트인 반면, 미국에서는 그냥 휙휙 붓는다. 맛만 좋으면 됐지

1.2.3 커피 로스터(Roaster)

생두상태의 커피를 볶아 원두로 만드는 직업이다. 사실 대부분의 로스터들은 자존심이 강해서, 스스로를 바리스타가 아닌 로스터라고 지칭한다. 하지만 현재는 바리스타도 로스팅 기술에 집중하고, 로스터도 커피내리는 기술에 집중하는 편이라 둘의 경계가 많이 허물어진 편. 하지만 아직도 연륜이 지긋하신 로스터분들은 스스로를 로스터라고 지칭하니 주의 할 것.

요즘 카페중에서는 자체적으로 로스팅 기계를 구비해 두고 직접 볶은 커피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물론 볶은 커피보다 생두가 훨씬 싸고 대중들이 로스터리카페(직접로스팅을 하는 카페)에 대한 기대치가 있어서 수익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사실 커피로스팅은 쉽지 않으며 커피볶는집 10곳을 찾아가면 8곳은 잘하는 프렌차이즈 보다 못한게 현실이다. 더군다나 갓 볶은 커피는 맛이 없다. 가장 잘못된 인식인데 바리스타들은 갓 볶은 커피를 마시지 않는다. 강배전(강하게 볶은 것)의 경우에도 최소 하루는 지나야 하며 약배전 커피의 경우 최소 3일에서 길게는 일주일, 열흘 이후가 가장 맛있는 커피도 있다. 그것은 생두와 커피 로스팅에 따라 다르다. 커피를 잘 하는 곳은 절대 갓볶은 커피를 손님에게 주지 않으며, 원두가 맛있는 상태와 원두 소비 수를 예측해서 볶거나 받아 써야 한다. 특히 요즘 추세인 산미있는(신맛과 향이 뛰어난)커피의 경우 약배전인 경우가 대부분이기때문에 3일 이후의 것들이 맛있다. 엄밀히 말하면 맛있다는 표현 보다는 커피 맛의 완성도 있다는 것이 맞는 표현이다. 커피를 볶은 후 가스가 빠져야 커피 본래의 맛을 즐기기 쉽고 가스가 빠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풋내라고 표현하는 콩비린내? 혹은 풀냄새 같은것이 많이 나기 때문에 마시기 힘들며 그걸 감안해서 먹는 바리스타 들 의 경우에나 느낄 수 있다. 일반 소비자의 경우 좋은 커피로 인식하지 못할 가능 성이 크다. 작은 가게에선 500g정도의 생두를 볶는 샘플 로스터나 가정용 로스터도 사용하지만, 1~3kg급의 본격적인 로스터가 가장 많이 쓰인다.

1.2.4 커퍼(Cupper)

커퍼는 커피의 맛과 향을 감별하는 커피감별사이며, 커퍼가 되려면 정확하고 엄격한 훈련을 거쳐야 한다. 커피에서 발현할 수 있는 향미는 700~850가지나 되는데 이를 모두 구분하고 제대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다년간의 노력을 통한 경험이 필요하다. 보통 커피 계통에서 경력이 10년 이상 된 사람들이 인정받는 분위기이다. 큐 그레이더(Q-Grader)라는 전문 자격증이 존재한다. 사실 다른 나라에는 많아봤자 열 명인데 우리나라는 자격증 중시때문인지 백 명이 넘어간다. 전문 학원도 생길 정도.

1.3 대중매체에서의 바리스타

1.3.1 해당하는 인물

2 매일유업의 커피음료

파일:IRD6PB2.jpg

2007년 매일유업[1]에서 출시한 커피음료의 이름이다. 가격은 250ml에 1900원. 편의점 가면 1년 내내 2+1

처음에는 제품 이름을 로마자로 "Baristar"라고 적었으나, 2016년즈음에 이름을 아예 바리스타 룰스(Barista Rules)로 바꾸었다. 그 전에 끝의 R자를 지문처럼 찍어놔서 그럴 조짐(?)이 보이긴 했다

사실 이 문단이 생긴 이유는 따로 있었으니...

2.1 광고

이 문단은 농부 후안은 바리스타입니다(으)로 검색해도 들어올 수 있습니다.

광고 동영상

"농부 후안은 바리스타입니다. 로스팅하는 엠마도 바리스타입니다. 추출하는 도 바리스타입니다."

대부분 엠마까지만 보고 광고를 스킵한다

나레이션은 정형석. 배경음악은 이로쿼이 출신 가수 조앤 셰난도(Joanne Shenandoah)의 Kahawi'tha (She Carries It Along)다.

2015년 5월경에 이런 멘트로 시작하는 음료 광고를 만들었는데, 그 광고가 유튜브, 다음팟등등의 중간광고로 삽입되면서 인터넷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조용한 분위기의 BGM과 나긋한 목소리의 나레이션, 그리고 농부 후안의 얼굴을 클로즈업한 장면이 묘하게 어우러지는 장면이 일품.

보통 황금색 색깔을 강조한 여배우가 커피를 마시거나 오글거리는 멘트를 나누는 연인 컨셉을 벗어난 광고가 참신해서 기억에 남는다는 평가가 있다.

농부 후안은 마타(아님 유리베)이고, 로스팅하는 엠마는 왓슨이고, 추출하는 폴은 매카트니(아님 포그바)라는 드립을 치는 사람들이 있다.

모 게임에 따르면 농부 후안은 알리스타이고, 카이팅하는 엠마는 칼리스타라고 한다. 폴은?

야구선수 이종환이 2015년 7월 들어서 5번 타자로 준수한 활약을 보여준 이후 이 광고를 소스로 합성한 '농부 이종후안은 바리스타입니다' 시리즈가 나오면서 농부 캐릭터를 얻게 되었다. 순박해 보이는 얼굴과 사투리 때문에 급속도로 정착해가는 중. 이종후안 시리즈 농부 이종후안은 노리타입니다
  1. 참고로 매일유업은 1997년 국내 최초로 컵커피 제품(카페라떼)을 출시한 회사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