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케아 제국

그리스의 역사
Η ΙΣΤΟΡΊΑ ΤΗΣ ΕΛΛΆΔΑΣ
선사고대
미노아 문명미케네 문명암흑시대고졸기아테나이헬레니즘 제국
(안티노고스·
셀레우코스·
프톨레마이오스)
로마 제국
스파르타
마케도니아
중세근대
비잔티움 제국
(니케아·라틴제국·
에피로스·트레비존드)
오스만 제국제1공화국그리스 왕국제2공화국그리스 왕국그리스국
현대
그리스 왕국군사정권그리스 공화국

Empire-of-Nicaea-Empire-of-Trebizond-and-the-Despotate-of-Epirus-1204.jpg
1204년의 상황. 왼쪽부터 에피로스 공국, 라틴 제국, 니케아 제국, 트레비존드 제국

1204년 동로마 제국이 4차 십자군에게 일시적으로 멸망당한 후 니케아[1]를 중심으로 하여 세워진 지방정권. 니카이아 제국이라고도 한다. 에피로스 공국. 트레비존드 제국과 비슷한 시기에 존재했다. 신나는 삼국지, 사국지

이케아 제국

1 역사

1.1 콤네노스의 부흥

1071년 동로마 제국은 황제 로마노스 4세가 만지케르트에서 패전하여 군사적 기반인 테마 제도가 흔들렸고, 그 뒤를 이은 두카스 가문의 무능한 미카일 7세가 그 사후처리를 제대로 하지 못함으로써 동로마 제국은 7세기 이슬람의 발흥 이래 큰 난관에 봉착하였다.

그러나 1081년 콤네노스 가문의 알렉시오스 1세가 군사 쿠데타로 미카일 7세를 몰아낸 니케포로스 3세 보타네타이아스를 폐위하고 제위에 올라 제국은 다시한번 융성기를 맞이하였다.

그 절정은 알렉시오스 1세의 손자 마누엘 1세 콤네노스 시기로, 안티오케이아(안티오크)를 비롯한 레반트 지역의 십자군 국가군과 토후국들을 제압하였고, 서쪽으로는 한 때 이탈리아 전체를 영향권에 넣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 업적이 차츰 붕괴해가던 1180년 마누엘 1세가 죽고 그의 어린 아들 알렉시오스 2세가 제위에 오르자 그의 5촌 숙부 안드로니코스 콤네노스[2]가 알렉시오스 2세와 그의 어머니인 섭정태후 안티오키아의 마리아를 죽이고 제위를 찬탈하였다.

1.2 흔들리는 동로마

안드로니코스 1세는 부정부패를 극도로 혐오하고 비효율을 증오하였으나, 그에 걸맞는 능력은 가지지 못해 오직 공포정치로만 제국을 다스리려 하였다. 이로 인하여 콤네노스 3현제가 이룩한 동로마의 중흥은 차차 사라져갔다.

내적으로는 변방의 군관구장과 유력가들이 제국에서 이탈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군대가 크게 쇠퇴하여 신성로마황제 프리드리히 1세가 십자군에 참여하여 제국의 영토를 지날 때, 프리드리히 1세는 안드로니코스에게 군수품을 대지 않으면 제국을 공격하겠노라고 위협하였고, 이에 겁먹은 안드로니코스가 '독일세'라는 새로운 세금을 제국에 부과하자 더욱더 민심은 악화되었고 동로마의 외교적 지위도 격하되었다.

하지만 그 절정은 시칠리아의 국왕 굴리엘모 2세가 제국을 침공한 것이었다. 굴리엘모 2세는 수도콘스탄티노플의 강력한 통제에서 벗어나 효과적인 대응이 어렵던 그리스 지역을 차례로 점령해가며 이윽고는 제국 제2의 도시인 테살로니키[3] 까지 점령하기에 이르렀다.

1.3 콘스탄티노플 함락

그러나 무능했던 안드로니코스 1세는 대책을 제시하지 못했고, 이내 앙겔로스 가문에게 제위를 빼앗겨 비참하게 죽고 만다. 앙겔로스 가문의 황제들은 어찌어찌 시칠리아를 격퇴하는데에는 성공하였으나, 내부 정쟁과 무능력은 콤네노스 왕조 말기보다 더욱더 격심하여 제국은 급속도로 수축하였다.

그러다 4차 십자군까지 끌어들인 앙겔로스 왕조는 그 뒷감당을 해내지 못하고 콘스탄티노플을 잃고 만다. 콘스탄티누스 1세의 천도 이후 근 900년 만에 처음으로 정복당한 콘스탄티노플은 강력한 성벽과 뛰어난 방어체계를 갖추고 있었으나, 군사들은 모조리 도망치고, 심지어는 황제까지 국고와 보화를 챙겨 수도에서 도망쳤으니 제국의 꼴을 알 만한 상황이었다.

그리하여 콘스탄티노플을 함락시킨 십자군은 자신들이 동로마 제국, 즉 동방제국의 제위를 계승했다고 주장하며(라틴 제국) 기존 동로마의 신하들에게 복종을 요구하지만, 씨도 먹힐리가 없었다.

기존 동로마의 주류 세력이었던 그리스계 제국인들은 주로 큰 3개의 집단으로 나뉘었다. 제위를 빼앗긴 콤네노스 가문이 쫓겨간 흑해 동남부 연안의 트레비존드 제국, 콤네노스와 두카스 가문의 피를 이었다고 주장하는[4] 앙겔로스 가문의 에피로스 군주국, 그리고 제국의 심장부였던 아나톨리아 서부에서 흥기한 니케아 제국이었다.

에피로스 군주국은 라틴 제국의 방패막이었던 테살로니카 왕국을 멸망시켰고, 니케아 제국은 아나톨리아 서부의 라틴 세력 및 그리스계 독립 소규모영지와 투르크인들을 견제하며 세력을 강화하며 에피로스를 압박하여 마침내 종주권을 얻어내어 기존 동로마 제국 강역의 서부를 어느정도 차지하였다.

1.4 제국의 부활

그러다가 니케아 제국의 유능한 장군이자 대귀족인 미카일 팔라이올로고스가 어린 황제 요안네스 4세의 통치기에 섭정을 하다가 제위를 찬탈, 베네치아가 단물만 쏙 빼먹고 버린 라틴 제국을 공격하여 1261년 콘스탄티노플을 되찾는데 성공한다.

콘스탄티노플로 복귀한 니케아 제국은 4차 십자군을 선동해서 제국을 멸망시켰던 베네치아의 라이벌인 제노바와 협약을 맺었지만, 이로인해 흑해의 교역권까지 제노바에 넘겨주고 만다.

여튼 니케아 제국은 정통 로마 제국으로 복귀하게 되며, 이후 미카일 8세의 혈통인 팔라이올로고스 왕조가 1453년 마지막 황제 콘스탄티노스 11세의 시기 때 오스만 제국메흐메드 2세에게 멸망할 때까지 왕조가 계속되었다.

니케아 제국은 12세기 말기~13세기 초의 동로마 제국보다 훨씬 더 생기에 차있으며 강했지만, 뒤를 이은 황제들의 무능과 황폐화된 수도 콘스탄티노플의 재건에 너무 많은 힘을 쏟아부은 나머지 그 역량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투르크인들에게 밀렸다고 한다.

니케아 제국 외의 망명 정권으로는 트레비존드 제국에페이로스 공국이 있었다. 트레비존드 제국(트라페주스 제국)은 1461년 오스만 제국에게 정복되어 멸망했고 에페이로스 공국은 1338년 동로마 제국의 황제 안드로니코스 3세에 의해 멸망했다. 에페이로스에는 세르비아 스테판 두샨의 서자 시메온 우로슈가 전제군주국을 건국했는데 1479년 멸망했다. 라스카리스 가문의 형태는 아직도 존재한다.* [1]

  1. 니케를 기리는 이름의 도시다.
  2. 마누엘 1세의 사촌
  3. 현대 그리스 제2의 도시이기도 하다. 데살로니가 전서의 그 데살로니가가 맞다. 데살로니가->테살로니카(라틴)->테살로니키(그리스)
  4. 계속되는 정략결혼으로 그리스계 군주국들의 지배자들은 모두 친척지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