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단스크

(단치히에서 넘어옴)

320px-Gdansk_flag.svg.png
그단스크 시기(市旗). 단치히 자유시(1920~39) 깃발이기도 했다.

Gdańsk (폴란드어)[1]
Danzig (단치히, 독일어)

1 개요와 역사

발트해에 근접한 폴란드의 항구 도시이다.

원래부터 한자동맹에 소속된 항구 도시들 중에서도 큰 형님 포스를 차지할 정도로 대도시였으며, 중세 폴란드의 곡물 수출의 중심지였다. 폴란드 전체 무역의 70~80%가 이 도시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탈리아의 각 도시들과 네덜란드 등은 전략적, 경쟁적으로 폴란드의 곡물들을 사 들였다.

980년대 폴란드의 미에슈코 1세가 세운 도시로써, 1308년 독일 기사단이 정복하였으나 폴란드와 독일 기사단이 치른 13년 전쟁(1454~1466)에서 독일 기사단이 패배하고, 이후 폴란드에 독일 기사단이 복속되면서 동프로이센의 지배자는 폴란드 국왕의 신하가 되었다.[2]

당시 그단스크는 독일계 상인들과 유대계 상인들의 천국으로, 중세 폴란드 도시들 중에서 유일하게 중세적 도시의 특권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역시 폴란드의 영토인 것은 다름없었는데, 일례로 이 지역에서 폴란드의 국왕 스테판 바토리(Stefan Bathory, 폴란드식 이름 Stefan Batory)에 반기를 들어 반란을 일으키자 스테판 바토리가 루비에슈프(Lubieszów)에서 반란군을 대파하고 뒤이어 그단스크에 대한 장기 포위전에 들어가 결국 그단스크의 항복을 받아내어 배상금을 지불받았을 정도였다.

이후 그단스크는 계속 폴란드 국왕에 대한 충성을 유지하였다. 1626~1629년 스웨덴의 유명한 구스타브 2세 아돌프가 폴란드 북부 해안 지역을 침공했을 때, 경제가 거의 괴사 지경에 이르렀으면서도 끝까지 폴란드 국왕에 충성하면서 스웨덴군을 족족 격퇴하기까지 했다. 당시 그단스크는 유럽에서도 강력한 요새로 유명했다. 이후 1655~1660년 스웨덴이 폴란드를 대침공하여 러시아와 함께 폴란드 거의 전역을 점령하였던 대홍수 시기에도 폴란드에 끝까지 충성을 바치면서 결국 스웨덴군을 몰아냈다.

이후에도 파란만장한 폴란드의 역사와 함께 이리저리 치이는 역사를 겪었으며, 폴란드 왕위계승전쟁 당시 이곳에서 전투가 벌어지기도 했다. 1772년의 1차 폴란드 분할 당시만 해도 폴란드의 영토였으나(단 동프로이센과 독일 본토가 폴란드 회랑을 통해 연결되면서 폴란드 본토와의 육상 연결은 단절되었다. 대신에 폴란드는 다른 항구 도시를 건설하여 이를 만회하려 했다) 결국 1793년 2차 폴란드 분할시 결국 프로이센의 지배 밑에 들어가게 되었다. 나폴레옹유럽을 상대로 전쟁을 벌일 때 이곳에 괴뢰 자유시를 세우기도 했지만 나폴레옹이 패배한 이후 다시 프로이센에 복속되었다.

1920년 제1차 세계대전 종료 후 국제연맹에 의해 바이마르 공화국 영토도, 폴란드 영토도 아닌 단치히 자유시가 되었다.[3] 다른 폴란드 회랑 지역과는 달리 단치히에는 독일인들이 너무 많았기 때문. 폴란드는 그단스크에 대항하기 위해 최신 항구 시설을 갖춘 그디니아를 건설했다. 이후 제2차 세계대전의 시작인 폴란드 침공으로 단치히가 독일군에 점령되자 나치 독일의 영토가 되었고,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스탈린이 폴란드 동부의 영토를 소련에 귀속하는 대신 제3제국의 동쪽 일부 지역을 줌으로써 다시 폴란드의 품으로 돌아왔다. 전쟁 기간 동안 그단스크는 시가지의 무려 85%가 파괴되면서 몰락했으나, 이후 폴란드가 최신식 항구 시설을 새로 건설하면서 다시 폴란드의 주요 무역항으로 발돋움했다. 공산 폴란드 시절에는 레흐 바웬사가 이 지역의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대대적인 파업을 벌이며 국제적인 주목을 받기도 했다.

2 독일땅인가? 폴란드땅인가?

세계사를 공부하는 사람들은 이 도시를 너무나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그단스크가 아니라 단치히라는 이름으로.

아돌프 히틀러는 단치히가 프로이센이 시작된 곳이라면서 폴란드에게 단치히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폴란드에 넘어간 프로이센 지방 북동부 해안 영토들을 내놓으라며 떼를 썼고, 폴란드는 이를 당연히 거부하였다. 단치히와 프로이센 북동부 해안 영토들을 독일에게 내주게 되면 폴란드는 바다없는 내륙국이 됨과 동시에 가장 중요한 무역루트를 잃게 된다. 때문에 이러한 단치히와 프로이센 북동부 해안영토들을 내놓으라는 말은 곧 전쟁하자는 말과 다를 바 없는 소리였다. 히틀러도 실제로는 폴란드가 자국의 중요 영토인 단치히를 내놓지 않을 것을 뻔히 알았고 어차피 폴란드가 양보를 하든 안하든 침공을 시작할 예정이었으므로 그 전에 침공 계기를 마련할 공갈을 한 번 쳐본 것일 뿐이었다. 결국 이를 빌미로 독일군이 폴란드를 침공함으로써 제 2차 세계대전이 발발했다.

간혹 독일 영토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으나(2차대전 후 독일과 폴란드의 영토 문제 참고), 전부터 폴란드인들이 정착하여 먼저 살던 곳이기 때문에 폴란드의 영토이다. 사실 바다로 무 자르듯 이격되어 있던 한국-일본, 중국-일본 등과는 달리 여러 나라들의 국경이 붙어 있어 엎치락뒤치락했던 유럽 대륙에서 그단스크같은 '변경' 지방은 역사적 배경이 복잡한 편이다.

그렇다고 해서 이곳이 독일 땅이란 것이 정당하다는 말은 아니다. 원래 이 지역은 폴란드의 영토였고, 중세 시절 폴란드-리투아니아 시기에도 해당 지역은 폴란드 국왕으로부터 특권을 하사받은 도시였지만, 역시 폴란드에 예속된 지역이었다는 건 변함이 없다. 중세 유럽에서 이렇게 한 도시에 자유나 특권을 준 예는 그리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으며, 이를 갖고 단치히는 독일 땅이라는 주장을 펼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이후 중세에서 근대, 현대로 넘어오면서 중세의 이런 개념들이 현대적 영토 개념로 대체되었고, 당연히 단치히는 폴란드에 귀속되어야 했다. 단지 해당 지역의 주민들이 거의 대부분 독일인이라서 자유도시로 남았을 뿐...[4]

동프로이센 지방의 경우 중세 이후 개발, 식민화, 소유 모두 독일계 국가들이었던 튜튼 기사단령과 프로이센 공국이었고 인구 또한 독일계가 다수를 차지했지만, 그단스크를 비롯한 헤움노, 토룬같은 서부 프로이센 일대에서는 독일 제국이 망하는 날까지 독일계 주민의 숫자가 폴란드계 주민의 수를 넘은 적이 없고, 정치적 소속 또한 폴란드-리투아니아 시기 폴란드 왕령의 직할지로 오랜 세월을 보냈기 때문에 민족 국가 독일에 대한 소속감 또한 동프로이센에 비하면 훨씬 약했다.

3 기타

독일의 지리학자 라우텐자흐는 포항시의 입지를 단치히[5]와 비슷하다고 보기도 했다.

유로 2012의 개최도시 중 하나였다.
  1. 실제 폴란드어 발음은 '그다인스크'에 가깝다. 90년대 즈음 한국에서는 '그다니스크'로 표기하기도 했다.
  2.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폴란드 왕이자 리투아니아 대공의 신하가 된다. 폴란드 국왕이 리투아니아 대공을 겸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 폴란드-리투아니아동군연합 관계였으며, 1569년 루블린 합병과 1792년의 5월 3일 헌법을 통해 서로 합체하였다.
  3. 단 폴란드에 종속된 경향이 더 강했다. 폴란드는 이 지역에 소규모 군대를 주둔시킬 수 있었으며, 세관도 통제할 수 있었다.
  4. 사실 독일인이 대부분이라는 이유로 단치히가 독일 영토가 되어야 한다면 역시 단치히와 마찬가지로 독일인이 다수를 차지하는 체코 주데텐란트도 독일 영토가 되어야 하고 폴란드인들이 과반수를 차지하는 리투아니아 빌뉴스와 우크라이나 리비우, 벨라루스의 브레스트 역시 폴란드 영토가 되어야 한다.
  5. 그가 조선을 답사하던 시기는 1930년대였다.설마 포스코의 등장을 예견한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