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달성7

대구광역시 달성권역 지선버스
달성1달성2달성3달성5달성6달성7달성8 · 달성8-1


파일:Attachment/P508627.jpg [1]

1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성7번
기점대구 달성군 현풍면 성하리
(현풍시외버스터미널)
종점대구 달성군 구지면 유산리
(유산리 종점)
종점행첫차아래 시간표 참조기점행첫차아래 시간표 참조
막차아래 시간표 참조막차아래 시간표 참조
평일/주말배차120분(종점행 6회, 기점행 7회)
운수사명현대교통인가대수1대
노선
(주요경유지)
현풍시외버스터미널 - 유가차천 - 구지면사무소 - 구지청아람 -달성2차산단 - 유산리

2 개요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성하리 현풍시외버스터미널에서 구지면 창리 구지면사무소[2]를 거쳐 구지면 유산리까지 운행하는 현대교통 소속의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현풍-예현-유산
유산-예현-현풍
현풍-예현-목단2-대암-유산
유산-목단2-대암-예현-현풍
유산-현풍

3 역사 및 특징

1998년 노선번호체계 이전에는 현풍~유가~구지~현풍을 순환 운행하던 90번 노선이었다. 90번은 개편 이 후 66-1번, 66-2번, 66-3번, 66-4번으로 분리되었고 66-4번이 2006년 개편 때 달성7번으로 변경되었다.

2006년 개편 당시에 나온 노선안내 책자에는 노선이 이상하게 표시되어 있다. 현풍에서 평촌리까지는 왕복운행 구간인데 평촌에서 편도로 예현~유산~목단~대암~내리~유산~내리~구지~고봉리를 운행한 후 다시 평촌리로 운행하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었다. 대암리는 행정구역상 대구광역시이지만 대구 시내버스가 다닌 적이 없었으므로 이 곳을 운행한다는 점이 이채롭게 느껴지는 노선 안내도였다. 버스 앞/뒤에 붙이는 행선판에도 '현풍-구지면-현풍'으로 표시되어 있었으나, 노선안내도는 잘못 표시된 것이었던 듯하다.

달성4번과 더불어 구지면 오지를 전담하는데 달성6번과 같이 경상남도 창녕군과 인접한 지역을 운행한다.[3] 심지어 일부구간은 창녕군을 경유한다. 신세월입구 정류장은 구지면 목단2리 구미마을을 위한 정류장이나, 창녕군 대합면 목단2리에 위치하고 있다. 달성2차산단이 가동을 시작하면서 600번이 한 바퀴 도는 구간 중 달성2차산단 남쪽 구간에서 600번과 잠시 만난 후 내2리로 간다.

2014년 10월 18일 개편으로 달성7번이 대암리[4]로 들어가게 되면서 그동안 구지면에서 유일하게 시내버스가 들어가지 않았던 대암리[5]에 드디어 시내버스가 들어가게 되었다.[6] 달성3번과 중복되는 구지농공단지, 응암리 구간을 폐지하고 목단리[7]를 경유하는 1일 2회 노선에 대암리 경유로 들어가고 있다. 그렇지만 목단리에서 대암리까지 조금 연장되었을 뿐, 내리에서 대암리 사이의 도로로는 여전히 지나가지 않는다.

대구국가산업단지 내 과학북로 및 창리로 폐쇄에 따라 2015년 4월 9일 구지청아람아파트~구지면사무소~창리네거리~창1리 구간 대신 구지청아람아파트~구지면사무소~창3리입구(신설도로)~창1리 구간으로 조정되었다.

4 시각표

기점출발시각종점출발시각기점도착시각경유지
-06:50 (유산)08:10 (현풍)목단,응암,1차산단(현풍행)
08:20 (현풍)09:30 (유산)10:40 (현풍)예현,응암(양방향)/목단,1차산단(현풍행)
10:50 (현풍)11:50 (유산)12:50 (현풍)예현(양방향)
13:00 (현풍)14:20 (유산)15:20 (현풍)예현(양방향)/응암,목단(유산행)
15:30 (현풍)16:40 (유산)17:40 (현풍)예현(양방향)/1차산단(현풍행)
18:00 (현풍)19:20 (유산)20:20 (현풍)예현(양방향)/목단(유산행)
20:30 (현풍)21:30 (유산)22:10 (현풍)예현(유산행)
  1. 이동 현재 사진 속의 차량은 대차되어 600번에서 운행 중이다.
  2. 이동 구지면 목단리, 응암리, 예현리, 논공읍 북리 달성1차산단관리공단 포함.
  3. 이동 실제로 대합면과 매우 가깝다. 실제로 유산리에서는 바로 창녕군 대합면이 보일 정도로 가까우며 창녕군 농어촌버스가 도보로 약 5분 거리에 하루 3회 들어온다.
  4. 이동 대암2리
  5. 이동 대암2리
  6. 이동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 포리로 넘어가는 우곡교가 있는 당산삼거리 근처에 정류장이 있다. 그런데 이 정류장은 원래 시내버스가 정차하지 않았던 곳으로 서대구-현풍-이방(창녕)-의령-진주 및 동서울-현풍-이방(창녕)-의령을 경유하던 시외버스의 중간 정류장이었다. 현재는 시외버스 중간 정류장과 시내버스 정류장을 겸하고 있다.
  7. 이동 목단2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