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달성3

  이 문서는 2007년 8월 27일부터 2012년 2월 17일까지 운행하였던 구 번호인 대구 버스 달성공단2로도 들어오실 수 있습니다.
대구광역시 달성권역 지선버스
달성1달성2달성3달성5달성6달성7달성8 · 달성8-1

1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성3번
기점대구 달성군 현풍면 성하리
(현풍시외버스터미널)
종점대구 달성군 구지면 응암2리
(매방마을)
종점행첫차06:30기점행첫차07:11
막차21:05막차21:45
평일/주말배차88분(1일 11회)
운수사명현대교통인가대수1대
노선
(주요경유지)
현풍시외버스터미널 - 현풍면사무소 - 달성경찰서 - 차천교 - 구지면사무소 - 구지농공단지 - 응암2리

2 개요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성하리 현풍시외버스터미널에서 달성군 구지면 응암2리 매방마을을 거쳐 다시 현풍면 성하리 현풍시외버스터미널로 순환 운행하는 현대교통 소속의 대구광역시 지선버스.{일명 (신)달성3번}

전체 정류소 목록

3 노선 역사

현재 달성3번은 2007년 8월 27일 신설된 달성공단2번이 전신이다. 달성공단2번은 현대교통[1]에서 2대로 운행되었으며 현풍시외버스터미널~달성2차산단~달성1차산단~현풍시외버스터미널 구간을 운행했다. 첫번째 운행은 달성2차산단으로 갔다가 달성1차산단으로 올라가며 두번째 운행은 반대로 달성1차산단으로 갔다가 달성2차산단으로 내려가는 특이한 방식으로 운행되었다. 배차간격은 30분이었는데 이용자가 너무 적어서 많아야 하루에 40명 정도 이용했었다. 그래도 달성2차공단 구간을 운행하는 거의 유일한 노선이라[2] 간신히 유지하고 있었으나, 2011년 8월 18일 개편으로 600번이 달성2차산단까지 연장되자 더욱 이용객이 감소했다. 결국 2012년 2월 18일 개편으로 인가 2대 중 달성2번에 1대를 보낸 후, 달성1차산단, 달성2차산단 구간을 폐지하고 현풍시외버스터미널~구지 응암2리를 순환 운행하는 달성3번 노선으로 바꾸었다. 원래같으면 달성8번이 되어야 했지만 결번이었던 달성3번이 되었다. 아마 지선버스 번호 부여규칙의 특성상 중간에 가운데 빠진 달성3번이라는 노선번호가 어지간히 찜찜했던 듯하다.[3] 그리고 2013년 7월 28일에 테크노폴리스 순환노선으로 달성8(-1)번이 신설되었다.

600번이 달성2차산단까지 연장되기 전이었던 2011년 5월 달성공단2번이 달성1차산단 구간을 폐지하고 달성2차산단~현풍~DGIST 구간을 운행한다는 노선 변경 공고가 뜬 적도 있었으나, 이 계획이 취소되어 실행되지 않았다.[4] 2013년 5월 4일 개편으로 현풍중앙로(현풍 구길) 대신 기존에 시내버스가 전혀 다니지 않았던 현풍동로~비슬로(달성군민체육관~현풍석빙고~현풍면사무소) 구간으로 양 방향 운행하는 것으로 조정되었다.

대구국가산업단지 내 과학북로 및 창리로 폐쇄에 따라 2015년 4월 9일 대리~SK주유소(창리로)~구지면사무소 구간 대신 대리~SK주유소(과학대로)~구지면사무소 구간으로 조정되었다.

개편 전 번호였던 대구 버스 달성공단2 리다이렉트는 이 문서로 온다.

4 노선 특징

옛날에 폐지된 달성3번은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가야대학교 고령캠퍼스~대구시민회관(現 대구콘서트하우스) 구간을 운행하던 600번[5] 좌석버스시민회관~금포리 구간이 폐지되고 금포리 달성군예비군훈련장[6]~가야대학교 고령캠 구간을 운행하던 노선으로 단축되어 지선화된 노선이다. 600번 좌석버스는 인가대수가 3대였으며 좌석버스 601번과 통합할 때 3대가 모두 601번에 들어갔고 2006년 개편 때 달성3번으로 신설될 때 역시 인가대수가 3대였다. 달성3번은 가야대학교 구간 외에도 논공~약산온천 구간도 운행했으나, 정작 신설된 지 얼마 안 된 동년 9월 24일에 약산온천행은 폐지되었다. 가야대학교행만 남아 있다가 금포리훈련장에서 달성군청으로 연장되어 달성군청~가야대학교 구간을 운행하다가 몇 달만에 달성2번에 흡수되어 달성2번의 가지 노선 중 하나로만 유지되어 달성3번은 사라졌다. 더불어 달성2번2012년 6월 16일 개편으로 가야대학교 분리 노선이 사라지면서 그나마 남아 있던 옛 달성3번의 흔적은 완전히 사라졌다. 가야대학교는 2003년 이미 대학 본부를 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동으로 이전했기 때문에 수요가 없었기 때문이다.

이 노선이 다니는 응암리 일대는 대구국가산업단지로 개발되고 있다. 이 구간이 개발되면 이 노선은 현풍 구간에서의 단독구간을 제외하면 600번, 달성4번과 완전히 겹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노선이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

대구국가산업단지 내 과학북로 및 창리로 폐쇄에 따라 2015년 4월 9일 대리~SK주유소(창리로)~구지면사무소 구간 대신 대리~SK주유소(과학대로)~구지면사무소 구간으로 조정되었다. 현재 과학북로에는 급행4번이 운행 중이다.

2016년 2월에 TGM 브랜드로 바뀐 화이버드의 3대 출고 이후 뜬금없이 달성3번이 저상버스 시간표에 떴으나, 페이크였다. 해당 화이버드남구1-1번에 투입됐으며, 남구1-1번의 기존 좌석차와 트레이드했다.[7] 응암 안쪽 도로가 좁고 국가산단이 개발 중이라 아직 저상버스가 다니기에는 노면이 고르지 못해서 그런 듯하다.

5 시각표

#
  1. 원래는 창성여객이었으나, 창성여객현대교통과 통합해서 현대교통으로 넘어간 것이다.
  2. 달성7번도 있으나, 구지면 내부만 순환하는 오지버스라서 별로 필요는 없었다.
  3. 이게 무슨 말이냐 하면 예를 들어 간선버스의 경우 105번, 205번, 407번, 435번, 535번, 613번, 717번, 814-1번, 903번이라는 노선들이 있다고 가정하면 이 중에 105번과 535번이 폐선되어도 다른 번호를 부여할 수 있고 노선 번호가 비어도 상관이 없다. 간선버스의 경우 세자리 모두 일련번호 체계가 아닌 권역번호 체계이기 때문이다. 사실 간선번호 첫 번호인 101번과 마지막 번호인 980번 사이에 빈 번호가 없어야 한다면 도대체 노선번호가 몇 개나 있어야 한다는 거냐 그러나 지선버스의 경우는 생활권 문자 뒤에 오는 숫자는 일련번호이기 때문에 중간에 결번이 있으면 좀 찜찜하다. 그러면서 달서2번을 강제 폐선시켜 놓냐!? 완전히 언행불일치네
  4. 달성5번, 달성공단2번을 통합하여 4대로 현풍~달성2차산단~DGIST 구간을 운행하기로 했으나, 취소되었다.
  5. 현재의 600번과 다른 노선으로 좌석버스 601번과 통합었고, 2006년 개편 때 칠성고가로 단축되어 600번으로 변경되었다.
  6. 836번 종점. 836번이 위천 근처까지 가서 회차해야 하는 불편 때문에 2016년에 논공에 들어온 623번은 이 곳 대신 금포초등학교 기점으로 인가됐다가 노이3리차고지로 다시 한 번 변경된다.
  7. 예전에도 이런 페이크 저상 시간표가 704번달성6번(!!!!!)에 뜬 적이 있었다. 최근에는 유가사행 600번에 이런 페이크 시간표가 뜨기도 한다. 그러나 결정적으로 유가사 진입로와 김흥리(설티고개)의 급경사 구간 때문에 저상버스가 아예 못 다닌다. 해당 타임에는 무조건 예비차 투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