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의 종류
항목 참고.
2 인천광역시 시내버스의 종류
인천광역시 시내버스/목록/지선 문서 참조3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의 종류
해당항목 참조
4 광주광역시 시내버스의 종류
2006년 12월 개편시 50번~1187번의 번호체계를 부여받았으나 2007년 2월 재개편 이후부터 아예 뒤죽박죽 되었다.
5 울산광역시 시내버스의 종류
- 관련 항목: 울산광역시 시내버스/목록
이 항목보다 왜 마을버스의 항목이 더 자세한 지는 묻지 말자(...)
2003년 시내버스 대개편 때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지선임을 나타내는 '9' + 운행하는 구/군의 구분번호[1] + 일련번호 형태의 세자릿수 번호를 가진다.
- ↑ 중구: 1, 남구: 2,
동구: 3(노선 없음), 북구: 4, 울주군: 5. 남구의 경우 920~929가 전부 다 차서 이후 신설된 노선은 7을 사용한다.근데 왜 970이 아니라 975부터 시작했는지는 묻지 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