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달성1

대구광역시 달성권역 지선버스
달성1달성2달성3달성5달성6달성7달성8 · 달성8-1

1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성1번
기점경북 고령군 다산면 상곡리
(다산주공아파트 2단지)
종점대구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
(대구광역시립 희망원)
종점행첫차아래 시간표 참조기점행첫차아래 시간표 참조
막차아래 시간표 참조막차아래 시간표 참조
평일배차90분주말배차90분
운수사명세운버스인가대수1대(저상버스)
노선
(주요경유지)
다산 - 화원동산입구 - 화원삼주타운 → 대구교도소 → 대곡역 → 대구광역시립 희망원 → 본리지구 → 달성군선관위 → 화원삼주타운 - 화원동산입구 - 다산

2 개요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상곡리 다산주공아파트에서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 대곡역을 거쳐[1] 다시 다산주공아파트로 순환 운행하는 세운버스 소속의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다산-대곡-다산
다산-대곡-노곡-다산
다산-대곡-득성-다산
다산-대곡-득성-노곡-다산

3 역사

2006년 2월 개편으로 신설된 노선으로 836번의 분리 노선 중 고령군으로 다니는 다산면 노곡리 방면과 성산면 득성리 지선을 독립시킨 노선이다.

이전에 650번이 분리 구간으로 다녔던 화원읍 구라리 천내영남맨션 ~ 구 화원유원지IC 구간도 달성1번이 대체했으며, 다산 방면 한정으로 편도운행으로 바뀌었다.

원래는 화원동산이 종점이었지만 다산금류타운 근처에 회차지를 새로 만들어 2006년 7월 2일 650번과 함께 다산면으로 종점을 옮겼으며, 화원동산 종점에는 달서3번만 남게 됐다.

노곡리행과 득성리행은 가창2번의 운행 방식처럼 연장선에서 출발하지 않고 본종점에서 출발하여 중간지를 지났다가 본종점을 지나고 해당 목적지를 들어갔다가 다시 본 종점으로 돌아오는 방식으로 운행한다. 2012년 6월 16일 개편 이전에는 인가대수 3대로 운행했으며 다산~화원삼거리~대곡역~유천교~진천역~상인네거리~월촌역~청소년수련원~월촌고가교~상인남네거리~대동시장~월배중학교~월배역~진천역~대곡역~구라리(천내영남맨션)~다산 방면으로 운행했었다. 그러나 다산~상인네거리까지 거의 유사한 선형의 650번이 있었으며[2] 지선노선의 특성상 승객이 적었다. 무엇보다 득성리, 노곡리행의 경우 836번이 전담할 때는 서문시장까지 직통으로 갈 수 있었으므로 가축수송이었으나, 2006년 개편 때 달성1번으로 분리하고 시내 구간이 사라지면서 이용객이 급감했다.

1일 3회 운행 중인 노곡리행, 벌지리/송곡리/다산공단/삼대리/득성리행 운행은 고령군청에서 보조금을 지원해 주고 있다.[3]

결국 2012년 6월 16일 개편으로 726번을 증차하기 위해 대곡역까지 단축되었다. 이 때 2대가 감차되어 649번에 투입되었고, 649번 대명교통 2대가 726번에 증차되었다. 문제는 노곡리와 득성리는 예전부터 대중교통이 시원찮은데[4] 달성1번 득성리행과 함께 득성삼거리를 경유했던 달성2번 달성군청 ↔ 가야대학교 고령캠 셔틀노선이 사라지자 달성1번도 노곡리와 득성리에서 철수할 까봐 불안해서 주민들이 고령군청에 엄청나게 항의했다고 한다. 현재 달성1번 외에 고령군 구간을 650번도 운행하고 있지만, 다산면 상곡리까지 운행한다.

다산으로 돌아올 때 천내영남맨션(구라리)으로 편도 운행하는데, 이 구간은 1998년 개편 전에 30번 일반버스[5]이 운행하던 구간이었다. 30번이 1998년 개편 때 650번980번으로 분리된 후 650번이 천내영남맨션 구간과 화원삼거리 구간을 1/2 분리 운행했었는데, 통합 배차간격 9분이었으므로 실제 분리 구간에서는 18분이었다. 그나마 천내영남맨션 구간은 화원삼거리 구간에 비해 훨씬 수요가 적어서 2006년 개편 때 650번은 화원삼거리로 통합하고 천내영남맨션은 편도운행으로 변경하여 달성1번에 넘긴 것이다. 천내영남맨션 편도 구간은 여전히 수요가 거의 없다고 봐도 좋다. 다만 이 편도 구간은 다산 본선만 운행하고 나머지 분리 노선들은 양방향으로 화원삼거리를 경유한다.

4 특징

특징으로는 달성군 6권역[6]의 지선버스들 중 유일하게 현대교통의 운행 노선이 아니다.

대곡역까지 단축되고 2대 감차되기 전까지는 노곡리행 한정으로 화원삼거리 구간이 왕복 운행이었지만, 감차된 후에는 득성리행도 화원삼거리를 왕복으로 운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선 한정으로 천내영남맨션으로 들어간다. 게다가 3대가 투입되었을 적에는 다산에서 출발하는 막차가 벌지리에서 운행을 중간에 종료했다.[7] 감차된 후에는 중간종료가 없다.

2014년 11월 9일부터 NEW BS110 저상버스가 투입된다. 자동변속기세운버스답게 당연히 앨리슨 6단. 기존에 운행했던 고상차량은 653번으로 이동했다.

가스 충전은 위천삼거리를 넘어 논공읍 하리에 있는 논공CNG충전소에서 한다. 노곡리/득성리행 다이어를 보면 알겠지만, 노곡리 및 득성리에서 잠시 대기하는 시간이 있기 때문에 득성삼거리에서 위천삼거리를 통해 하리CNG충전소로 이동하여 가스를 충전하고 득성리로 돌아와서 다시 출발하는 것. 사실상 대구 시내버스 노선 중 유일하게 운행 중간에 가스를 충전하는 노선이다.600번 지못미.....[8]

벌지리와 송곡재, 송곡삼거리 사이 구간 중에서는 이니셜D를 연상시키는 급커브 경사 구간이 있다. 저상버스가 다니기에는 도로 사정이 대단히 나쁘고 조금 아찔한 구간이지만, 이 구간이 직선화 공사 중이라 공사가 완료되면 다니는 코스가 변경될 가능성도 있다. 다이어에도 송곡재를 지날 때 에어서스를 올려서 다니라고 명기하고 있다.

5 시각표

다산-대곡-다산
다산-대곡-노곡-다산
다산-대곡-득성-다산
다산-대곡-득성-노곡-다산

6 연계 철도역

  1. 다산면 노곡리/벌지리, 성산면 득성리 경유 가지 노선 포함
  2. 다산 방면으로 천내영남맨션 편도 운행을 제외하면 완전히 중복되었다.
  3. 이런 보조금이 없을 때 받는 게 시계외요금이다.
  4. 고령군 농어촌버스 606번과 번호가 없는 노선(옛 607번)이 아주 뜸하게 들어온다. 그나마 삼대리나 득성리는 위천삼거리 및 금산재/대가야읍 쪽으로 가는 606번이 풀 타임으로 다니지만 벌지리, 월성리(다산중학교), 노곡리, 송곡리는....
  5. 구라리~반야월~대평동~영남대학교를 운행하던 장거리 노선으로 1998년 개편 때 화원동산(구라리에서 연장)~칠성시장 구간은 650번, 칠성시장~영남대학교 구간은 980번으로 분리되었다. 980번은 노선 변경 없이 영남대학교~대구역~영남대학교 구간을 운행하고 있으며, 650번은 동양맨션으로 연장했다.
  6. 화원읍 이남의 월배권 지역. 가창면수성구 번호인 4번, 다사읍/하빈면달서구 성서권 번호인 5번이다. 좀더 알기 쉽게 설명하자면, 노선번호에 지역명으로 달성 이 명기되어 있는 지선버스는 모두 6권역으로 다니는 노선이다. 4권역 소속은 가창, 5권역 소속은 성서의 번호가 명기되어 있다.
  7. 836번 득성리행도 야간에 벌지리에서 운행을 끝냈었다.
  8. 하리충전소 - 내리 최단 15km
  9. 노곡리/득성리행만 왕복 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