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달성5

상위 문서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목록

대구광역시 달성권역 지선버스
달성1달성2달성3달성5달성6달성7달성8 · 달성8-1

1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성5번
기점대구 달성군 유가면 양리
(유가사 주차장)
종점대구 달서구 대곡동
(삼성래미안1차아파트)
종점행첫차아래 시간표 참조기점행첫차아래 시간표 참조
막차아래 시간표 참조막차아래 시간표 참조
평일배차83분주말배차84분
운수사명현대교통인가대수2대
노선
(주요경유지)
유가사 - 테크노폴리스 - 현풍터미널 - 달성1차산단 - 김흥리 - 용연사 - 귀남지 - 명곡지구 - 대곡역 - 삼성래미안

2 개요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양리 유가사에서 화원읍 명곡리 명곡미래빌2단지[1]를 거쳐 달서구 대곡동 삼성래미안1차아파트까지 운행하는 현대교통 소속의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전체 정류소 목록
전체 정류소 목록
유곡리 구간 정류소 목록
비슬산 구간 정류소 목록
유곡리 구간 정류소 목록

3 노선 역사

1998년 노선 개편 이전에는 현풍시외버스터미널에서 서문시장까지 운행했다가 단축되어 현풍터미널~유가~구지~현풍시외버스터미널을 순환 운행하던 90번 노선이었다. 90번은 당시 개편 때 66-1번, 66-2번, 66-3, 66-4번으로 분리되었는데 그 중 66-2번을 2006년 개편 때 일부 구간을 조정하고 진천동까지 연장하여 1대 증차한 노선이 달성5번이다. 66-2번 시절에는 차량 1대로 현풍터미널~유가사 구간을 운행했으며 일부 시간대에 현풍시외버스터미널에서 달성1차공단과 고속도로 굴다리(설티고개)를 통과해서 용연사, 기세리로 들어가기 전에 있는 옥포면(반송삼거리)까지 연장 운행하기도 했다. 2000년대 초반에는 반송리에서 기세리를 거쳐 간경삼거리까지 1일 4회 연장 운행하기도 했다.[2] 이 때 간경리까지 일부 연장 운행한 것이 2006년 개편 때 달성5번이 현풍터미널에서 종착하는 달성3번, 달성4번, 달성6번, 달성7번, 달성8(-1)번 같은 다른 달성지선들과 달리 유천교까지 운행하는 이유가 된 듯하다.

2006년 개편 때 간경리 및 기세리 구간은 달성2번 용연사행과 600번 유가사, 휴양림-유가사 노선(주말 및 공휴일 지원 노선)만 운행하고 달성5번은 기세리, 간경삼거리 대신 명곡지구 뒷쪽과 귀남지로 돌렸다. 달성5번으로 바뀌면서 연장되어 1대 증차되었고 전 차량이 대구 시내, 그것도 지하철역까지 운행하는 노선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그리고 대곡동, 진천동으로 연장하면서 그 동안 시내버스가 다니지 않던 화원읍 명곡1리 귀남지 일대로도 시내버스가 다니게 되었다. 용연사는 2006년 9월 개편 때 추가로 경유하게 됐다. 달성1차산단 방면은 600번 등과 다르게 운행하며[3] 같이 운행하는 경우는 600번 주말휴일 유가사행 노선밖에 없다.[4] 귀남지(명곡1리) 일대는 길이 상당히 좁고 급커브 구간인 데다가, 악천후 때 달성5번을 타 보면 알겠지만 귀남지 주변에는 산밖에 없기 때문에 안개가 잦아서 시야 확보가 어렵다. 게다가 김흥리(설티고개) 일대는 굉장히 급경사여서 저상버스가 절대로 못 다닌다.[5] 사실 현풍에서 시내 방향으로 나갈 때 북리 일대를 한 바퀴 돌고 가는 600번 본선보다 북리를 안 거치고 김흥리로 들어가는 달성5번이 10분~20분 정도 더 빠르지만, 배차간격이 넘사벽급으로 차이가 나서 시내에서 현풍으로 갈 때 이 노선을 타는 승객은 극히 적다.

유가사에서 시내 방향 혹은 시내에서 유가사로 갈 때 현풍시외버스터미널 시내버스 환승센터에서 중간에 5~10분 이상 휴식한다.

4 노선 특징

사실 이 노선은 유가면을 전담하는 노선으로 달성3번, 달성4번, 달성5번, 달성6번, 달성7번, 달성8(-1)번, 600번 유가사 주말휴일노선 등은 모두 현풍시외버스터미널에 보면 시간표가 붙어져 있다. 유가면 유곡1리로는 유가사 방면은 하루 2회, 대곡역 방면은 하루 1회 경유한다. 원래 달성소방서 및 차천[6]을 경유하여 진입했으나, 유가면에 대구테크노폴리스가 조성된 이후에는 공사로 인해 달성소방서가 U턴 구간이 되었다. 그러면서 대구테크노폴리스 쪽으로 들어가게 되어 유곡1리로는 정말정말 길게 들어갔다가 나오게 되었다. 그런데 유곡1리 마을회관에는 다음 행선지가 본말리로 되어 있다는 것....[7]

참고로 1일 3회 운행하는 유곡리로 들어가는 길이 정말 좁다. 버스와 승용차와의 교행도 불가능할 정도로 중간에 그나마 넓은 길인 왕복2차선 도로가 중간에 나타나긴 한다. 하지만 유곡리에서 회차한 후 테크노폴리스로 진입하는 길은 버스가 한 대 들어가면 도로가 꽉 찰 정도로 좁은 길인데, 한쪽은 하천이 있는 낭떠러지(?)라서 버스가 이 구간을 지나가는 걸 보면 아슬아슬하다. 대구시가 추진하고 있다고 하지만 정말로 중형버스 도입이 시급한 듯하다. 그런데 유곡1리마을회관 진입 전에 급행8번 종점이 있다......

평소에는 보통 오지 노선들처럼 공기수송이지만 매년 5월 열리는 비슬산 참꽃문화제 기간 한정으로 600번 유가사 노선과 더불어 등산객들과 행락객들로 가축수송이 된다. 원래 석가탄신일 한정으로 증편되는 노선이 아니었으나, 기존의 유가사와 대견사 수요 때문인지 증편되었다. 대구테크노폴리스를 경유하지만 정작 정차는 하지 않다가 2014년 7월 12일 대구테크노폴리스 일부 구간[8]과 중뫼마을[9]을 정차하는 것으로 변경되었고 더 이상 달성소방서에서 U턴하지 않는다. 이것은 유가차천에서 테크노폴리스로 직행하는 도로가 생겼기 때문이다. 이로써 달성8(-1)번을 제외한 현풍권 달성지선[10]들 모두가 유가차천을 전회 경유하게 되었고[11] 이 노선도 유가차천에서 급행4번으로 환승할 수 있게 되었다. 유가사나 휴양림에서 대곡역으로 빨리 가고자 하는 승객들은 유가차천에서 급행4번으로 환승하면 시간을 절약할 수 있었으며, 2015년 8월 개편 이후에는 유가면사무소에서 급행4번으로 환승이 가능하다.

운행 형태가 괴랄해서 휴양림에서 이 버스를 탈 경우 엄청난 시간 낭비를 감수해야 한다. 운행 형태는 20분 휴식 후 유가사 출발~차천으로 우회한 후 현풍시외버스터미널에서 10분 정도 대기~용연사 U턴~대곡역~용연사 U턴~현풍시외버스터미널에서 10분 정도 대기~차천으로 우회~휴양림~유가사(20분 휴식)이다. 휴양림은 유가사로 갈 때만 편도 운행이기 때문에 휴양림에서 이 버스를 탈 경우 유가사에 가서 20분 동안 움직이지 않는 버스에서 대기하고 있어야 한다. 보통 운행 시간표상 도착시간보다 빨리 도착하는 경우가 대부분인지라 실제 버스에서 대기하는 시간은 30분 안팎이다.1단계 이렇게 해서 유가사를 출발한 버스는 테크노대로를 따라서 가면 현풍으로 바로 들어갈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대구테크노폴리스 남쪽 지역으로 내려가서 유가차천을 경유해서 현풍 면내로 들어간다[12]2단계. 그리고는 현풍정류장으로 들어가는데 또 여기서 10분 정도 움직이지 않는 버스에서 대기하고 있어야 한다3단계. 현풍정류장에서 출발하면 다시 용연사에 들어갔다 나오는 굴곡 구간이 기다리고 있다4단계. 용연사를 빠져나오면 이제는 별다른 굴곡 구간 없이 대곡역까지 간다. 이렇게 되면 휴양림에서 대곡역까지 무려 1시간 50분 정도 걸린다. 사실 이렇게까지 오래 걸리는 구간은 아닌데 여기저기 굴곡 구간+유가사 종점과 현풍시외버스터미널에서 움직이지 않는 버스에서 대기시간 약 40분 조합 때문이다. 거기다가 유가사에서 타는 승객들은 유가사 출발 시간표를 확인한 후 출발 시간에 맞춰서 버스타러 나오면 되지만, 휴양림에서는 그런 거 없고 스마트폰으로 버스 위치정보를 확인하거나 유가사 도착 시간-40분 정도로 잡고 시간을 계산한 뒤에 정류장에 나와서 기다려야 한다. 이러한 운행 방식은 문제가 많다. 용연사 쪽 굴곡은 어쩔 수 없으나, 나머지 사항들은 개선이 필요하다. 이것은 600번 주말, 공휴일 지원 노선도 마찬가지다.[13]

여담으로 폐지될 했다. 600번이 구지까지 연장되기 전이었던 2011년 5월 달성5번과 옛 달성공단2번[14]을 통합하여 옛 달성공단2번의 달성1차산단 구간을 폐지하고 달성2차산단~현풍~DGIST 구간을 운행한다는 노선변경 공고가 뜬 적도 있었으나, 이 노선 변경은 취소되어 실행되지는 않았다. 이 때 계획이 따르면 달성5번의 폐지로 인해 유가사 지역에 간선노선 대곡역~유가사 노선을 신설한다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달성5번이 폐지되면 그동안 운행하던 귀남지 쪽 단독 구간과 설티고개, 용연사 등의 구간에서 불편이 예상되었는지 결국 취소되었다.

전국 최후의 영업용 각계기판 쇠창틀 BS106 하이파워가 마지막으로 운행했던 노선이다.[15] 1997년식 최후기형 각계기판 자동변속기 차량이었는데, 늘 그랬듯이 수동변속기로 개조된 차량이었다. 최대 내구연한인 11년을 채운 후 2008년 5월에 대차되었으며, 600번을 거쳐 현재는 달성4번에 운행 중.

5 시각표

[16]

5.1 대곡 - 용연사 - 유가사

전체 시각표 목록

5.2 용연사 - 유가사 - 대곡

전체 시각표 목록

5.3 대곡-용연사-유곡1-유가사

전체 시각표 목록

5.4 대곡-용연사-휴양림-유가사(주말)

전체 시각표 목록

5.5 유가사-유곡1-용연사-대곡

전체 시각표 목록

6 연계 철도역

  1. 옥포면 반송리 용연사, 현풍면 성하리 현풍시외버스터미널 포함
  2. 836번도 일부 용연사까지 운행했기 때문에 자연히 간경삼거리에서 기세리로 들어갔다.
  3. 실제로 이 노선이 달성1차공단 내에서 600번 본선과 같이 쓰는 정류장은 아예 없는데, 달성5번이 성요셉요양병원으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4. 하지만 600번 주말휴일 유가사행은 귀남지 대신 간경리에서 좌회전하여 기세리로 들어간다.
  5. 그래서 600번 유가사행에 가끔씩 저상버스 시간표가 뜨는데, 당연히 페이크다. 만일 투입한다면 설티고개와 유가사 진입로에서 하체가 다 긁힌다. 100% 예비 고상차량 투입이다.
  6. 유곡리 경유 차량을 제외하고는 차천으로 들어가는 굴다리를 지나 우회전한 뒤 차천 조금 못 미친 곳에서 좌회전해서 유가면사무소로 갔다. 이게 테크노폴리스 조성 이후에 차천으로는 들어가지 않는 이유일 지도..
  7. 좁은 길이지만 유곡1리 남쪽으로 도의리와 가태리로 가는 길이 있다.
  8. 유가면사무소, 용봉공단(현대IHL), 세하
  9. 원래 유가사로 갈 때 유가차천에서부터 유가사까지 휴양림길을 경유할 때 정차하는 휴양림을 제외하면 정류장이 단 하나도 없었으나, 드디어 이 개편으로 음동길을 경유할 때도 대구테크노폴리스와 유가사 사이에 정류장이 추가되었다.
  10. 달성3번, 달성4번, 달성5번, 달성6번, 달성7번, 달성8(-1)번으로 달성1번은 화원권과 고령권(다산, 성산), 달성2번은 옥포권과 논공권이다.
  11. 이 노선 변경 전에는 달성5번은 유곡리 경유 차량 외에는 유가차천 정류장을 경유하지 않았다. 그 전에 대구시 버스노선안내 사이트에서는 유가차천 정류장을 경유하는 것처럼 표시되었는데 잘못 표시된 것이었다.
  12. 유가사에서 차천을 경유해서 현풍까지 가는 선형이 장화 모양인데 거기다 현대IHL 쪽 굴곡은 덤이다.
  13. 단 600번 주말, 공휴일 지원 노선은 유가면사무소를 경유하지 않는다.
  14. 현재 달성3번이다.
  15. 3810호
  16. 참고로 토, 일, 공휴일에 이 버스를 탈 승객들은 대구광역시 버스노선안내 홈페이지에 있는 시간표를 보면 안 된다. 휴양림을 경유하는 버스는 시간표가 정확하게 나와 있지만 휴양림을 경유하지 않는 버스는 시간표가 평일 기준이기 때문에 이 시간표를 보고 버스를 기다렸다가는 낭패를 본다. 평일에 검색할 경우 평일 시간표가, 휴일에 검색할 경우 휴일 시간표가 나오도록 세팅되어 있다. 반면 유가사 종점에도 시간표가 붙어 있는데 이 시간표는 휴일 기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