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 메트로 9000계 전동차

도쿄 메트로 구 넘버링 시리즈
긴자선 1000형/2000형마루노우치선 500형히비야선 3000계도자이선・치요다선 5000계
치요다선 6000계후쿠토신선・유라쿠초선 7000계한조몬선 8000계난보쿠선 9000계

800px-TokyoMetro9000.JPGⓒ Jet-0 (CCL BY-SA 3.0)
사진속의 차량은 최후 도입분인 5차차. 민영화 이후인 2009년에 도입된 차량임에도 불구하고 에이단 시절의 9000계 넘버링을 그대로 물려받았다.

1 사양

열차 형식도시철도 및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 방식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급전 방식직류 1500V
영업 최고 속도80km/h(난보쿠선, 사이타마 고속철도선)
110km/h(메구로선)
설계 최고 속도110km/h
기동 가속도3.3km/h/s
신호 방식CS-ATC[1]
ATC-P[2]
ATO, TASC[3]
제작 회사니혼샤료
가와사키 중공업
도큐차량제조
도입 연도1991~2009
제어 방식VVVF-GTO
VVVF-IGBT
동력 장치농형 3상 유도전동기
제동 방식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편성 대수6량 1편성
전동차 비4M 2T
5차차만 3M3T
운행 노선도쿄 메트로 난보쿠선
도쿄 급행전철 메구로선 직통운전
사이타마 고속철도 사이타마 고속철도선 직통운전

2 개요

영단과 메트로 최후의 구 넘버링 전동차

도쿄 메트로(당시에는 제도고속도교통영단)가 1991년 난보쿠선 개통에 맞추어 투입한 전동차이다. 한창 0N계 시리즈들이 도입되고 있는 시점에서 특이하게 구 넘버링을 따른 것은 다분히 의도적인 것으로, 난보쿠선 건설 이래 최초의 전동차니까 4자리 숫자의 구 넘버링을 매긴다는 뭔가 말도 안 되는 이유로 이렇게 매겨진 것이라고 한다. 이후 2004년 도쿄 메트로로 민영화되면서 2009년에 또 한 차례 신차가 2편성 도입되는데, 이때에는 새로운 계통번호 부여 규정에 맞춰서 (가칭)19000계가 된 것도 아니고, 하다못해 에이단의 당시 계획에 맞춰서 (가칭)09계로 쓴 것도 아니고 그냥 9000계 넘버링 그대로 도입되었다.(...) 위 사진의 차량인데 05계/N05계 전동차처럼 디자인이 구 9000계와 판이하게 다르다. 참고로 구9000계에 비해 여러 모로 외관이나 구조가 다른 신9000계는 기술적으로는 08계10000계 사이에 걸쳐 있는 차량.

도입 당시부터 1996년까지는 4량으로 운행하다가 이후 6량으로 증결되었고, 2000년에 도큐의 메구로선 분리개업[4]에 맞추어 직통대응 개조가 이루어졌다.[5] 현재 운행 구간은 메구로선의 기종점인 히요시역에서 사이타마 고속철도선의 우라와미소노역까지 전 구간에 걸쳐 있지만, 메구로선에서 직통운행으로 한솥밥 먹고 사는 미타선과는 직통하지 않는다. 2014년 현재 총 23편성 138량이 재적중이다.

3 특징

이것이 바로 영단 시절 도입된 구 9000계이다. 첫 전동차랍시고 6000계나 8000계 등과 같이 앞창이 절반 가까이 막혀있는 형태로 뽑지 않은 것이 다행이라면 다행.(...) 영단 내부적으로는 이 차들을 각각 4개의 조로 나누어 A, B, C, D로 분류하였다. 1차 도입분인 8량은 홀수 편성번호가 A조, 짝수 편성번호가 B조, 9-15편성은 C조, 16-21편성을 D조로 각각 구분하였다고 한다. A조 중 01편성을 제외한 차량은 모두 미츠비시 GTO가, B조는 히타치 GTO가 탑재되어 있고 C조는 히타치 IGBT, D조는 미츠비시 IGBT를 탑재했다. C조의 히타치 IGBT는 초기형인 3레벨이라서 그런지, 비동기음이 엄청 높은 고음인데 듣기 싫을 수준으로 높다. 그리고 눈썰미가 좋은 사람이라면 아마 위의 신9000계와 구9000계 간의 측면 도색 차이[6]와 더불어 전두부 형태가 똑같은데 신형 쪽이 더 세련되어 보이는 것을 느꼈을 것이다.(...)

01편성은 짬뽕 인버터인데, 한 편성에 미츠비시 GTO와 히타치 GTO가 함께 탑재되어 있어서 구동음이 아스트랄하다(...) 또한 1차차 그룹은, 통로문 근처의 좌석이 고정 크로스시트로 되어 있다. 여러모로 미타선의 6300형 전동차와 닮았는데, 통로문 근처의 크로스시트라던가 사양이라던가 디자인이 미묘하게 닮았다. 사실 겨우 생산시기가 2년 차이 나는 전동차에다가 투입하는 노선들도 사양이 비슷하거나 같다. 참고로 6300형 쪽이 후배이다.
또한 영단 최초로 차내 LED가 2단식으로, 상하단을 나누어서 효율적으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럼 뭐해 도큐선내에서는 그냥 1단처럼 쓰는데... 이 LED는 6300형에서도 거의 비슷하게 도입된다.

4 이야깃거리

  • 본 차량의 3~4차차 사이의 기술로 이루어진 파생형으로 사이타마 고속철도 2000계 전동차가 있으나, 9000계와는 다른 부분이 있는 편이라 209계 전동차린카이선70-000형 전동차의 관계와 같이 두 차량을 완전히 동일한 차종으로 분류하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다. 다만 운전대는 색상을 제외하면 완전히 동일하고, 사양도 제어소자를 제외하면 거의 비슷하다.
  • 이런 사고도 있었다. 2015년 9월 17일 오후 1시 20분경 신키바 차량기지 내에서 모터 및 추진제어장치 개수를 마치고 구내시운전을 하던 9000계 전동차가 제동취급 미숙으로 선로종단점을 들이받고 하늘로 치솟아 오를 뻔 한 아찔한 사고였다.(...) 관련 기사(일어)
  • 2016년 7월 26일 기준으로 리뉴얼 공사를 실시한 차량들이 하나둘 복귀하면서 시운전을 뛰고 있다. 주된 갱신 내용은 차체 측면부 띠가 변경, 배장기가 추가, 행선지 표시기를 기존의 저휘도 3색 LED에서 풀컬러 LED로 변경, 인버터 교체 등이다.
추가바람
  1.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EB.82.9C.EB.B3.B4.EC.BF.A0.EC.84.A0.2F.EC.82.AC.EC.9D.B4.ED.83.80.EB.A7.88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제공한 텍스트가 없습니다
  2.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EB.A9.94.EA.B5.AC.EB.A1.9C.EC.84.A0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제공한 텍스트가 없습니다
  3.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EC.A0.95.EC.9C.84.EC.B9.98.EC.A0.95.EC.B0.A8.EC.9E.A5.EC.B9.98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제공한 텍스트가 없습니다
  4. 메구로선 항목 참조.
  5. TASC 설비와, 측면 LED 안내기 설치를 했다. 측면 LED의 경우 당초에 준비는 해놓고, 난보쿠선의 비난간형 홈 도어에서는 시인성이 떨어져서 설치는 하지 않았었다.
  6. 노선띠의 색상배열이 반대로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