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지

鄧芝
(? ~ 251)

1 개요

삼국시대 촉나라의 인물. 등량의 아버지. 자는 백묘(伯苗).[1]

의양군 신야현 출신. 후한의 사도 등우의 후손.[2]

2 정사

2.1 유비의 눈에 뜨인 인재

일찍 으로 들어가 활동하였지만 듣보잡 인재 정도로 취급당해 중용되지는 못했다. 이 시기 익주종사 장유가 등지의 관상을 보고는 그가 70줄 넘어서 대장군 지위에 오르고 또한 후에 봉해질 것이라 평하였다. 이후 파서태수 방희가 인재를 좋아한다는 말을 듣고 그에게 찾아가 의탁했다. 전체적으로 유비의 입촉 전에는 별다른 행적이 남아있지 않다.

유비가 익주를 평정하자 비저각독에 임명되었으며, 유비와 대면한 자리에서 잠시 대화를 나누었는데 이 때 유비가 등지의 능력을 높이 평가하여 비현 현령으로 임명했다가 곧 광한태수로 승격시켰다. 인물평에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했던 유비가 등지의 능력을 높이 평가했다는 점을 보면 역시 보통 인물은 아니었던 듯. 나중에는 중앙정부로 불려가 상서에 임명되기도 했다.

2.2 ·의 외교관

유비 사후 제갈량손권이 딴 마음을 먹고 촉에 위협을 가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었는데 때마침 등지가 찾아와 촉오동맹을 굳건하게 해야된다고 주장하자 제갈량은 등지를 적임자로 보고 오에 사신으로 파견하였다.

등지는 후주 유선의 능력의 의구심을 품고 있던 손권을 설득시켜 오가 위와 관계를 끊고 촉과 공수동맹을 맺도록 주선하였고 더불어 오에 붙잡혀있던 장예의 석방 협상도 성사시켰다.

손권은 등지의 변설과 외교관으로써의 역량에 감복하여 제갈량에게 별도의 서신을 보내 등지를 칭찬했다. 그 이후로도 손권은 몇 차례 편지를 보내 등지의 안부를 묻고 예물을 보내기도 했다.

여담이지만, 나중에 종예가 사신이 되어 손권에게 나아가서 당당하게 맞받아치자 손권이 감탄하며 "경은 예전에 왔었던 등지만큼 대단한 사람이오."라고 말한 바 있다.

2.3 무관으로서의 면모

제갈량의 북벌이 시작되자 중감군, 양무장군으로 임명되어 종군하였고 1차 북벌에서는 조운의 부장으로 활약하였다. 제갈량 사후에는 전군사, 전장군, 연주자사에 임명되고 양무정후로 봉해졌으며, 나중에는 거기장군으로 승진하였다.

248년에 부릉국 사람이 도위를 살해하고 반란을 일으키자, 등지가 군대를 인솔하여 토벌하였다.

화양국지에 따르면 등지가 부릉을 정벌할 때 활 쏘기를 좋아했던 등지는 검은 원숭이에게 화살을 맞히었다. 그런데 원숭이가 그 화살을 뽑고 나뭇잎을 말아 상처를 감싸자 등지가 탄식하며 "아~! 내가 사물의 본성을 어겼으니 장차 죽게 되겠구나!"라고 말했다.

일설에 따르면 등지가 새끼 원숭이를 안고 있는 어미 원숭이에게 화살을 맞히었는데 새끼가 어미에게서 화살을 뽑고 나뭇잎으로 어미의 상처를 감쌌다. 등지가 마침내 탄식하며 활을 물 속에 던지고는 스스로 마땅히 죽을 것이라는 것을 알았다고 한다.

2.4 죽음

등지는 251년에 죽었다. 등지는 오랫동안 촉의 중직을 맡았지만 생활은 관에서 주는 녹봉에만 의존하였고 재산을 모으는데도 영 관심이 없다보니 가족들은 끼니를 걱정해야 될 정도로 가난했고 죽었을 때 남은 재산이 없었다고 한다.

그 외에도 강직했지만 나름대로 모난 성격이었던지 다른 신하들과 어울리지 않았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그나마 강유 정도만이 등지의 능력을 높이 평가하고 가까이 지냈다고 한다. 등지 사후에는 아들 등량이 뒤를 이었다.

3 연의

연의에서도 정사처럼 촉오동맹을 놓고 고뇌하고 있던 제갈량의 눈에 들어 따로 회동을 가지게 되었고, 이때 제갈량의 인정을 받아 오의 사절로 가는 장면이 나온다. 이 때 손권은 촉에서 사신이 왔다는 소식을 듣고 펄펄 끓는 기름을 담은 솥을 준비하고 무장한 병사들을 잔뜩 세워놓은 채 맞이한 것으로 나온다. 다음은 연의의 내용이다.

손권이 군사를 움직인다는 소식을 듣자 제갈량은 등지를 보냈고, 손권은 이에 어떻게 대응할 지를 의논하였다. 이에 장소가 손권에게 간했다.
"역이기가 제나라를 설복하려다 튀겨져 죽은 일화를 얘기해 겁을 주십시오."
이에 손권은 등지를 맞이할 때 무사들을 줄세우고, 큰 북을 울리며 솥에 기름을 팔팔 끓였다. 하지만 등지는 웃음까지 지으면서 그 모든 것을 무시한 채 손권에게 나아갔다. 등지가 절을 하지 않자 손권은 왜 절을 하지 않냐 따졌고, 등지는 이에 간단하게 대답했다.
"큰 나라에서 온 사신작은 나라에게 절하지 않는 법입니다."[3]
이에 손권이 장소가 말한대로 기름솥에 쳐넣으라며 겁을 줬지만 등지는 오히려 웃음을 터트리며 "무사들을 모아놓고 기름솥을 내걸고 맞이하는 게 사신을 접대하는 태도가 맞냐? 설령 나를 겁주려고 한들, 이래서야 동오가 일개 사신에게 잔뜩 겁을 먹었다는 말밖에 되지 않는가?"라고 반박했으며, 이에 손권은 무작정 화만 낼 게 아니라는 걸 깨닫고 무사들을 물린 뒤 등지를 맞이했다.
손권은 등지에게 "나는 촉주 유선과 함께 힘을 합쳐 위나라를 치고 싶은데 촉주가 어려서 걱정이다."라고 하자 등지는 "대왕께서는 오나라의 영걸이고 제갈량은 천하의 기재인데 어찌 힘을 합쳐서 치지 못하겠습니까? 제 말이 틀리다면 저는 이 기름솥에 몸을 던져 세객이란 이름을 씻겠습니다."라며 진짜로 기름솥에 몸을 던지려 하자 자해공갈 손권이 얼른 그를 말렸고 그의 말을 따랐다.

4 미디어 믹스

  1. 덩샤오핑이 주장했던 흑묘백묘론(黑猫白猫論)의 그 백묘와는 한자 표기가 다르다. 그의 자가 맏이 백이란 글자를 쓴 것으로 보아 등지는 형제들 중 장남으로 태어났음을 추측해 볼 수도 있다.
  2. 위나라의 조상의 심복 등양도 마찬가지다.
  3. 이희재 화백의 만화 삼국지에서는 유선은 촉의 황제이고, 손권은 아직 왕이니, 동오가 그만큼 작은 나라라는 뜻으로 해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