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갑각류
Sessilia | |||
언어별 명칭 | 한국어 | 따개비 | |
영어 | Acorn Barnacle | ||
일본어 | フジツボ | ||
중국어 | 藤壺 |
1.1 생태
따개비목에 속하는 동물의 총칭. 몸길이는 10∼15 mm로, 굴등이라고도 한다. 모든 따개비는 해양성이며 난생이다. 완흉목 따개비과에 속하는 갑각류의 일종. 그러니까 게와는 친척이다. 바닷가 암초나 말뚝, 배 밑 등에 붙어서 고착 생활을 해서 조개 등으로 오해할 수도 있는데, 유생 시절에는 바다 속에서 부유하며 살다가 적당한 장소에 붙어 평생 생활한다. 몸은 山자 모양이며 딱딱한 석회질 껍데기로 덮여 있다. 이런 특징으로 인해 해안가 바위가 손도 댈 수 없을 정도로 따개비투성이가 되기 십상이라 근처를 지나가던 사람이 다치는 사고가 많이 발생한다.
몸은 각판(shell plate) 안에 거꾸로 서 있는 꼴인데, 머리와 6쌍의 만각(cirriped)이 달린 가슴으로 구성된다. 배는 없다. 머리에는 눈도 없고 촉각도 없다. 위쪽의 아가리에서 6쌍의 만각을 움직이면서 물 속의 플랑크톤을 잡아먹는다. 자웅동체이다.
유생은 3쌍의 부속지를 가진 갑각류 특유의 노플리우스(nauplius) 유생이며 큰 삼각형 갑각이 있다. 보통 6회의 탈피를 거쳐 2개의 껍데기를 가진 시프리스 유생이 된 뒤 바위에 정착하여 산다.
고생대 실루리아기쯤 등장했으며 현재 남아 있는 종은 약 200종에 이른다. 종에 따라 조간대 만조선에서 간조선에 이르는 기수 지역에 띠모양으로 분포한다. 먼바다에 면한 암초의 만조선 부근에는 소형 조무래기따개비(Chthamalus challengeri)와 대형 검은큰따개비(Tetraclita squamosa japonica)가 살고, 간조선 부근에는 대형 청홍따개비(Balanus tintinnabulum volcano)가 산다, 또 내만의 조간대와 하구 부근에서는 껍데기에 흰 세로줄이 있는 흰줄따개비(B. amphitrite albicostatus)가 발견된다.
1.2 이야깃거리
따개비가 조개가 아니라 갑각류의 일종임을 처음 증명한 학자는 19세기에 진화론으로 종교계와 과학계를 엎어버린 그 분이다. 당시 따개비 연구의 권위자였다고 하는데 얼마나 질리도록 연구를 했는지 나중에는 꼴도 보기 싫어했다고... 그래도 당시 진화론을 먹히게 만든 연구이기도 했다.
대부분은 맛이 고약해 먹지 않는데 특히 선박에 붙는 따개비는 독을 포함하고 있다. 일부 따개비는 식용 가능한 종이 있으며 이는 정약전의 자산어보에도 나온다. 하지만 정작 정약전 본인도 따개비와 삿갓조개를 혼동했다(…). 흑산도 등지에서는 아직도 식용 중.
울릉도에서는 맛이 전복과 비슷하다고 해서 따개비죽·따개비국수·따개비밥 등을 만들어 먹는데, 사실 이는 삿갓조개로, 따개비와는 다른 종이다.
따개비가 다닥다닥 붙어있는 바위는 의외로 그로테스크한 공포가 느껴진다. 그 탓에 따개비가 상처로 파고 들어서 뼈에 붙어 번식한다는 도시전설도 있다. 실제로는 인간의 몸 안에 따개비가 살 수 있을 정도의 염분이 없기에 불가능하다고 다만 조개류 유생이 상처에서 성장에 성공한 사례는 있다.
선박에게는 엄청난 골칫거리 중 하나로, 선박의 수면 밑에 있는 부분(즉 뱃바닥이나 키 등)에 다닥다닥 달라붙어서 속도감소, 장비파손, 중량증가등의 디버프를 발생한다. 대항해시대의 형벌 중에는 죄인을 외 아래로 묶어서 배 밑바닥으로 루프타듯이 돌리는 것이 있었다고. 그저 한바퀴 돌릴 뿐인 것으로 빠져 죽는다거나 하지는 않지만, 배 밑바닥에 붙은 따개비에 살이 날아가서... 게다가 번식력이 좋아서 뱃바닥을 깔끔하게 청소하고 항해를 시작하자마자 다시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청소주기를 놓치거나 하면 거의 암석수준으로 증가, 배가 도크에 안 들어간다던지 협소한 수로에서 암초에 걸린다던지 하는 문제를 추가로 만든다. 따라서 대부분의 선박이 수면 밑에 있는 부분에는 독성이 있는 페인트를 추가로 도포하는데, 이렇게 해도 따개비 근절은 못하며, 단지 재부착 및 번식속도를 줄여주는 역할만 수행한다고.
특히 군함의 경우는 이러면 기동력을 깎아먹는 꼴이라 더더욱 문제다.[1] 선박 관련 기술의 진보에서 빼먹을 수 없는 게 바로 따개비를 비롯한 부착물들을 제거하거나 방지하는 기술인데, 21세기 들어서는 아예 함 표면에 전기를 흐르게 해서 붙는 것 자체를 방지하는 기술도 나왔다.
기생생활을 하는 따개비들이 많은데 그 중 주머니벌레(Sacculina spp.)라는 따개비는 게에게 기생해서 그 게를 고자로 만든다고 한다. EBS의 '다큐 프라임'에서 소개한 케이스를 보면, 기생따개비는 원래 자유생활을 하던 따개비에서 기생따개비로 진화했는데, 게의 뱃속에 침투해 게의 생식기를 자신의 알로 가득 채우고 게로 하여금 알을 돌보도록 한다고. 심지어 숫게를 암게로 바꾸기까지 하는데, 암게가 숫게보다 알을 훨씬 잘 돌보기 때문이다.# 강제 TS 낳아라, 따개비의 아이를 호주에서는 이렇게 기생하는 따개비를 써서 외래종 게의 박멸을 시도하는 중[2].
이외에도 고래류 몸에도 상당히 많이 붙어 있다. 아예 따개비를 고래의 특징으로 여기는 이들도 많은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