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네임 | Friedrich Gustav Emil Martin Niemöller(프리드리히 구스타프 에밀 마르틴 니묄러) |
생몰년 | 1892년 1월 14일~ 1984년 3월 6일 (만 92세 1개월 22일) |
1 개요
독일의 루터교 목사로 나치 독일 시기 독일 내에서의 반 나치 투쟁을 이끈 인물이다. 나치가 그들을 덮쳤을 때라는 시로도 유명하다.
2 생애
2.1 초기의 삶
1892년 프로이센(오늘날의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지역에서 보수적인 기독교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가 대학교를 마칠 무렵은 짐작했겠지만 1차 대전이 한창이던 시절이었고 그는 해군으로 입대, 유보트 함장으로 지중해에서 근무한다. 이 시기에 세운 공훈으로 1급 철십자 훈장을 수여받기도 했다. 이 시기를 살아간 유명한 독일인 중에 대체 철십자 훈장을 수여받지 못한 사람이 없는 것 같다. 진짜 종전 후에는 뮌스터로 이주하여 이 곳에서 신학을 전공하고 본격적으로 목사의 길을 걷기 시작한다.
2.2 나치 독일 시기
이 시기 대다수의 독일 교회인들이 그러했듯이 니묄러 역시 초기에는 민족적 보수주의를 정치적 신념으로 삼고 있었고, 처음부터 반대했을 거라는 많은 사람들의 예상과는 반대로 1933년 히틀러의 집권을 환영한 많은 독일인 중 하나였다. 하지만 나치의 아리아인 조항[1]에 의구심을 품은데 이어 나치당이 독일의 교회들을 나치화하려고 시도하자 이것에 반발하여 본격적으로 반 나치 운동을 이끌기 시작한다. 다만 이 시기에도 그가 단순히 교회의 나치화에 대해서 반발한 것 뿐이지 나치가 본질적으로 지니고 있던 인종주의나 반유대주의에 대해서는 동의를 했다라는 주장도 있는데, 그들이 이러한 주장을 하는 근거로 1935년 니묄러가 자신의 교회에서 행한 다음과 같은 설교가 있다.
지난 수천년동안 그들을 향해 지속된 박해는 무엇때문입니까? 바로 그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십자가에 끌고 갔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모호하고 모순적인 행동을 보였던 탓에 그가 정말로 반나치주의자인지 아니면 기회주의자인지를 놓고 역사가들 사이에서는 많은 설왕설래가 이루어지고 있다.[2]
어찌됐든 이 시기에 나치에 반항하면서 공공연히 나치를 비난하는 언행을 일삼는것은 목숨을 내걸만한 용기가 있는 것이 아니면 불가능한 것이었고, 그는 마침내 1937년 체포되어 재판을 받는다. 첫 재판에서 그는 벌금과 함께 7개월 형을 선고받았고 공판기간이 이미 7개월을 넘겼기 때문에 선고가 내려지자 마자 석방된다. 하지만 그에게 내려진 선고가 너무 가볍다고 여긴 루돌프 헤스와 하인리히 히믈러는 그를 좀 더 무자비하게 탄압하기로 결심했고, 석방과 동시에 게슈타포에게 다시 체포된 그는 이후 1938년부터 1945년의 세월을 다하우와 같은 강제 노동 수용소에서 보내게 된다.
2.3 말년과 동독 옹호 논란
1945년 미군에 의하여 석방된 니묄러는 이후 라인란트와 헤센 지방에서 기독교 단체의 수장이 되어 철저한 반전주의자 및 평화주의자로 활동을 보여준다. 그러나 동독에 방문중일 때 동독 정권이 민주화 인사들을 체포하고 있는 와중에도 이와 관련해서 아무런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말년의 니묄러 목사는 독일평화협회(DFG)의 회장을 맡았고(1954년), 프라하와 헬싱키에 본부를 둔 세계평화협의회 명예회장직도 맡았다(1967년). 문제는 이 단체 자체가 (범 동구권인 프라하와 소련의 간접적인 눈치를 보던 헬싱키의 위치에서 보듯) 소련의 영향권 아래 있었다는 것. 이 단체는 동독의 일당독재당인 통일사회당(SED)[3]은 물론 서독의 독일 공산당(DKP)과도 긴밀한 관계에 있었다. 이는 동독 인민당 중앙위원회 문서에도 기록되어 있다. 1974년에 독일 공산당(DKP)과 기타 공산주의 단체들이 공동으로 창설한 '평화 군축 및 상호협력위원회(KFAZ)'와 1980년 니묄러 자신이 위원회 위원이자 지도 간부로 있었던 '크레펠트 평화호소회'에 역시 소련과 동독의 영향력이 미치고 있었다. 독일평화연맹(DFU)을 비롯해서 독일평화협회(DFG), 병역거부자연맹(VK), 평화 군축 및 상호협력위원회(KFAZ), 나치박해자연맹(VVN), 반파쇼동맹(Bda) 등이 그에 속한다[4]. 독일 공산당(DKP) 간부회의 위원이었던 페터 슈트는 1994년에 밝히기를 슈타지는 개인적으로 니묄러의 수발노릇을 할 전문연구원까지 붙여 주었다고 폭로했다.
니묄러가 이 같은 행보를 보인 것은 소련에서 오래 포로 생활하며 세뇌를 받은 아들의 영향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다.
"가장 나쁜 악은 공산주의가 아닌 돈이다. 왜냐하면 돈은 인간을 완전히 소유하려 하지만 공산주의는 인간에게 그래도 얼마만큼의 자유는 남겨두기 때문."공산당도 결국엔 인간을 맘대로 다루었는데도?
"독일인들은 분단된 상태로 살 것이냐, 소련식 독재의 재통일이냐는 대안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라고 하면, 아마도 공산주의의 위험을 감수할 것."
다만 니묄러의 인명은 슈타지 인사기록부에는 등록되어 있지 않다. 혹자는 공산 정권이 무너진 직후에 슈타지 중앙본부에서 인사기록 카드를 폐기시키면서 이때 니묄러의 카드도 함께 없어진 것이 아닌가 추측하고 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나치 혹은 그 사상적인 후예들이 옳다거나 재평가받아야 한다는 것은 절대로 아니다. 그러나 이와 별개로 니묄러의 이러한 이중잣대적 진영논리는 비판받아 마땅한 것이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나치가 그들을 덮쳤을 때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 뉘른베르크 법의 시초로 각종 기업 및 사회단체에서의 활동을 오로지 아리아인만이 할 수 있는 자격으로 만들어 비아리아인
이라 쓰고 유대인이라 읽는다을 배척한 조항 - ↑ 다만 니묄러 본인은 자신의 이 시기 행동에 대해서 어떠한 변명도 하지 않았으며, 전후 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유대인이 그의 반유대주의 성향에 대해 묻자 강제수용소에서 억류되었던 시기에 자신의 생각을 바로잡을 수 있었다고 대답하기도 했다.
- ↑ 통독 이후 좌파당으로 이어진다
- ↑ 나치박해자연맹과 반파쇼동맹의 사무국장인 쿠르트 에얼레바르는 독일 공산당(DKP) 간부회의의 위원이기도 했다. 슈타지와 동독 정부는 이런 서독과 유럽의 평화단체들을 간첩 침투 양성소로 활용하면서 들통나지 않기 위해 사회주의 색채적인 단어나 이론 사용도 금지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