톰과 제리

스타크래프트의 유즈맵에 대해서는 톰과 제리(스타크래프트)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미국 애니메이션 역사의 흐름을 바꾼 헤나-바베라 콤비의 대표작

1 개요

미국호러[1] 애니메이션 시리즈. 1940년에 처음 공개된 이후 2016년 현재까지 많은 사랑을 받아오고 있는 작품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톰과 제리는 극장용 단편 애니메이션이며 그 외 TV 애니메이션이나 극장용 장편 등 많은 형태로 제작되었다.

참고로 1화부터 79화까지는 저작권소멸되었기 때문에, 각 동영상 사이트에서 영상본이 돌아다니고 있다. 니코니코 동화에서도 확인할 수 있고,# 한국어 유튜브에 들어가서 톰과 제리만 쳐봐도 저런 영상은 금방 찾을 수 있다.#

톰과 제리 위키(영어)

2 설명

142458-004-2B6514B7.jpg

1937년, MGM에서 일하게 된 조셉 롤런드 바베라(Joseph Roland Barbera)는 거기서 윌리엄 해나(William Hanna)를 만나 팀을 이루어 극장용 단막 애니메이션인 『Puss Gets the Boot』를 제작하면서 성공을 거두었다. TV상영의 목적으로 제작한 게 아닌 MGM사의 단막극 시리즈를 기반으로 두고 제작된 슬랩스틱 애니메이션으로, 1940년부터 1957년까지 할리우드 MGM 카툰 스튜디오에서 제작되었다.[2] 이 애니메이션으로 해나-바베라 콤비는 미국 애니메이션의 발전에 중대한 영향을 끼쳤는데 특히 이들의 과장된 슬랩스틱 코미디는 이후 미국 애니메이션의 흐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3]

1961년부터 1962년까지는 만화 연합회의 폐쇄로 인해 동유럽체코슬로바키아에 위치한 렘브란트 필름(Rembrandt Films)에서 외주 제작을 하였고, 이듬해에 다시 할리우드로 돌아왔으며, 루니 툰으로 유명한 척 존스가 감독을 맡았다. 다만 해나-바베라 콤비와 프레드 큄비[4]가 제작한 것보단 뒷끝이 매끄럽지 않다는 게 흠.

윌리엄 해나는 2001년, 조셉 바베라는 2004년에 사망했지만 새 시리즈는 부정기적으로 계속 나오고 있다. 하지만 새 시리즈는 오히려 70~80년대에 나온 오리지널보다 더 떨어진다는 게 세간의 평. 셀 애니메이션이 아닌 디지털 작화를 썼으며 움직임도 딱딱해지고 슬랩스틱의 수준도 많이 떨어졌다. 옛날 시리즈는 흔히 농담 삼는 '천조국의 기상'이란 말이 딱 맞는다. 프레임 단위로 철저하게 계산된 움직임, 특히 클래식 배경 음악에 귀신같이 싱크로를 맞추는 장면들은 가히 소름이 끼칠 정도다.[5] 대체 얼마나 많은 애니메이터를 갈아넣으면 저런 결과물이 나오는지(...)[6][7]

자세한 사항을 보고 싶으면 영어 위키백과 문서을 참조할 것.

3 애니메이션 시리즈

  • Tom and Jerry (1940~1958, 1961~1962, 1963~1967) : MGM/UA 배급, MGM 카툰 스튜디오 & 렘브란트 필름 & sib 타워 12 프로덕션 제작, 윌리엄 해나 & 조지프 롤런드 바베라 / 진 데이치 & 윌리엄 L. 스나이더 / 척 존스 감독, 극장용 단편 시리즈.
  • Tom and Jerry (1965~1972) : CBS 방송, 척 존스 스태프진에 의해 편집된 총집편 시리즈.
  • Tom and Jerry on the BBC ONE (1967~2000) : BBC 방송, 총집편 시리즈
  • The Tom and Jerry Show (1975) : ABC 방송, 해나-바베라 프로덕션 & MGM 텔레비전 제작, tv판 단편 시리즈
  • The tom and Jerry Comedy Show (1980~1982) : CBS 방송, 필메이션 & MGM 텔레비전 제작, tv판 단편 시리즈
  • Tom and Jerry`s Funhouse on tbs (1986~1995) : TBS 방송, 총집편 재방송 시리즈
  • Tom and Jerry Kids Show (1990~1994) : FOX 방송, 해나-바베라 프로덕션 & 터너 엔터테인먼트 제작, tv판 단편 시리즈
  • Tom and Jerry Tales (2006~2008) : 카툰 네트워크 방송, 첫 번째 워너 브라더스 애니메이션 제작, tv판 단편 시리즈
  • Cartoon Network`s The Tom and Jerry Show (2014~현재) : 카툰 네트워크 방송, 두 번째 워너 브라더스 애니메이션 & 터너 엔터테인먼트 & 레네저드 애니메이션 제작, tv판 단편 시리즈

3.1 해나-바베라 단편(1940~1958)

giphy.gif
9d2d71552b2227e8cad9928fd8425405.jpg
[8]

그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톰과 제리 시리즈 중에서 레전드로 손꼽히는 명작.

한국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있는 '톰과 제리'는 바로 이 작품들로, 후에 나온 시리즈들 중 퀄리티가 가장 뛰어나다.

1940년 2월 10일 'Puss gets the Boot'의 상영을 시작으로 1958년 8월 1일 'Tot Watcher' 편까지 18년 6개월 동안 총 114편(쿨[9]로 따지면 약 9쿨 분량)이 발표되었으며, 윌리엄 해나조셉 바베라가 감독을, 스콧 브래들리(Scott Bradley)가 음악을, 프레드 큄비가 프로듀서를 맡았다.

상영 종료 후, 감독들은 MGM에서 퇴직해 해나-바베라 프로덕션[10]을 설립하여 훗날 고인돌 가족 플린스톤, 스머프, 젯슨 가족 등 수 십편의 애니메이션에서 총책임자로 참여하게 된다. 본 단편의 제작에 참여한 애니메이터들 중 일부는 해나-바베라 프로덕션에 합류하기도 했다.

회차를 거듭할수록 톰과 제리의 신체 묘사가 점점 단순화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톰의 주인이 흑인 아주머니(배경이 되는 집의 하인)였으나 1950년대(88화)부터 백인 부부로 바뀌었다. 또한 단편 상영 시에 삽입된 타이틀 카드는 몇 차례 변경되었으며,[11] 이후 1940년대 발표된 톰과제리 단편을 재상영할땐 새로 제작한 타이틀 카드가 삽입되었다. 1955년부턴 필름 촬영 기법이 시네마스코프로 전환되었다.

3.2 진 데이치 단편(1961~1962)

switchin-kitten-c2a9-mgm.jpg
tall-in-the-trap-c2a9-mgm.jpg

첫번째 톰과 제리 단편 시리즈가 종영된지 몇년도 지나지 않아 MGM은 톰과 제리 프랜차이즈를 부흥시키기 위해 동유럽의 체코슬로바키아에 소재했던 렘브란트 필름에 연락해 외주 제작을 의뢰했으며, 이 요청을 수락해 제작된 단편들이 바로 이 시리즈로 진 데이치(gene deitch)가 감독을, 윌리엄 L. 스나이더(william l. snider)가 프로듀서를 맡았다.

시리즈는 총 13편(쿨로 따지면 1쿨 분량)으로, 체코인 애니메이터들도 제작에 참여하였으나 감독인 진 데이치는 이 단편들이 공산주의 의혹에 휩싸이면 커다란 후폭풍에 말려들 것임을 판단해 이 애니메이터들의 이름을 영어식으로 바꿔 표기하고, 렘브란트 필름의 소재 위치를 비표기 처리하여 당시에 이런 논란을 철저히 방지하도록 애썼다고 한다.

하지만 이 동유럽 외주 제작 시리즈는 톰과 제리 역사상 최악의 시리즈 중 하나로 꼽힌다. 작화는 물론 스토리도 과거에 비해 심하게 뒤떨어졌기 때문. 자세히 살펴보면 UPA에서 활동한 경력이 있던 감독 진 데이치의 연출이 기존 단편에 비해 너무 부자연스러운 점이 많았던 것이 원인. 또한 톰의 주인으로 나오는 백인 남자가 톰이 실수를 저지른 것에 대하여 너무 혹독한 처벌을 내리는 것도 일부 팬들한테 지적당했다.

이후 감독이 인터뷰를 통해서 스스로가 톰과 제리의 인종차별 유머와 폭력성 개그들을 싫어해서 일종의 안티테제처럼 제작한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톰과 제리를 아주 싫어한 것은 아니었다고도 한다.(1998년 뉴욕 타임스 인터뷰)

3.3 척 존스 단편(1963~1967)

CatsMeOutch-Laughing.gif
Picture-8.png

루니 툰의 창조자 중 한 사람이자 워너 브라더스의 고전 애니메이터 중 하나로 유명한 척 존스(chuck jones)가 1962년 UPA[12]가 생산한 영화 gay purr-ee의 시나리오 각본 참여를 이유로 전속 계약 위반으로 해고당하고, 이듬해 설립한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시브 타워 12 프로덕션에서 MGM의 의뢰를 받고 1963년부터 4년 동안 34편(쿨로 따지면 2쿨 반 분량)의 단편들을 제작, 생산하여 극장에 공개한 작품들.[13] 톰을 비롯한 캐릭터들의 성우는 멜 블랭크가 맡았으며, 일부 에피소드에선 준 퍼레이도 더빙에 참여한 경력이 있다.

척 존스가 제작한 톰과 제리의 에피소드들은 해나-바베라 단편의 우스꽝스런 슬랩스틱보단 움직임이 제한적인 프레임과 더불어 기존 단편들과도 확연히 캐릭터 디자인이 다르다. 그래서 해나-바베라의 작품들에 비하면 후대의 평가는 좋지 않다. 이러한 원인에 대해서는 척 존스가 루니 툰을 만든 경험을 살려서 시리즈를 만들다 보니 기존의 톰과 제리와 너무 이질적인 작품을 탄생시켰다는 주장이 있다.[14] 톰과 제리를 비롯한 캐릭터들의 묘사도 거의 작화붕괴에 가까울 정도로 단선화되었다. 일부 시청자들은 톰과 제리의 노년(...)을 묘사한 것 같다고 할 정도. 루니 툰에서 보여준 척 존스의 후기 그림체의 특징이 그대로 적용되어 있어서 보는 이에 따라 취향이 무척 엇갈린다. 귀엽다고 좋아하는 사람도 있고 본래 톰과 제리 스타일과 차이가 커서 싫어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이 시리즈의 제작진들은 기존의 톰과 제리 단편들을 패키지식으로 편집하여 1965년부터 1972년까지 CBS에서 방송시키는데 기여하였으며 시브 12 타워 프로덕션[15]의 설립 과정에서 워너 브라더스의 애니메이터들 중 일부가 이직해 톰과 제리 시리즈 제작에 참여한 바 있었다. 십여 편은 척 존스가 공동 감독을 맡기도 했고 나머지 십여 편에선 프로듀스 참여에만 그쳤다. 이후 MGM 애니 & 독립 TV 스페셜 애니 제작 참여에 임하다 1976년 CBS에서 방영된 TV 스페셜 Bugs and Daffy's Carnival of the Animals의 감독을 맡으면서부터 다시 워너 브라더스로 복귀해 이후 20년 동안 루니 툰 애니 단편의 제작에 참여하였다.

이 시기만의 특징으로는 MGM 로고를 패러디하여 톰이 나와서 울부짖는 것이 타이틀에 표현된다는 점. 그리고 제리가 코를 좌우로 씰룩이는 독특한 행동을 보인다는 것이다.[16]

3.4 TV판 시리즈(1970년대 ~)

1965년에 CBS에서 척 존스 스태프진들이 편집한 톰과 제리가 7년간 재방송된 버전이 미국에서 처음으로 방송된 톰과 제리 tv판이었다. 얼마 뒤인 1967년엔 BBC ONE에서 총집편으로 재방송되기 시작해 무려 33년 뒤인 2000년까지 이어지기도 했었다.

1960년대 후기부턴 미국 애니메이션의 폭력성, 선정성 등 여러 문제점을 비판하는 부모들이 모인 워치독 그룹(watchdog group)이란 별명을 가진 시민단체들이 형성되어 애니메이션 회사 측에 항의해 애니메이션 방영을 중지시킨 사례가 1960년대 후기에 발생하면서[17] 미국 애니 업계에선 자체적으로 폭력성을 완화시키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이 영향이 작용해 기존의 슬랩스틱 씬들은 전체적으로 비폭력적인 시트콤 & 코미디 씬으로 바뀌게 된다.[18]

이후 1975년에 해나-바베라 프로덕션에서 제작되어 ABC에서 방송된 톰과 제리 쇼는 미국에서 최초로 제작된 톰과 제리의 TV판 애니메이션으로 후대에 계속 톰과 제리의 TV판 애니메이션들이 제작, 방송되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1980년대 판은 필메이션 스튜디오에서 제작을 맡았으며, 1990년에 제작한 톰과 제리 키즈 쇼는 다시 해나-바베라 프로덕션에서 제작을 맡았다. 80년대 TV판에 드루피가 출연한 것을 계기로 이후 톰과 제리 TV판의 캐릭터 중 하나로 포함되었다.

1986년부턴 MGM/UA의 부도로 인해 타임 워너 컴패니로 판권이 넘어갔으며 10년 후인 1996년부턴 워너 브라더스가 판권을 보유하게 된다. 이후의 1993년 극장판과 2006년, 2014년의 tv판도 모두 타임 워너 컴패니 계열사에서 제작되었으며, 2001년과 2005년에 윌리엄 해나와 조셉 바베라가 각각 1편씩 감독한 총 2개의 단편이 공개되었다.

2006년, 워너 애니메이션 그룹에서 첫 '톰과 제리' 단편 TV쇼를 제작했다. 이름은 '톰과 제리 테일즈(Tom and Jerry Tales)'로 카툰 네트워크에서 2008년까지 방영했다. 이전 시리즈보다 깔끔한 캐릭터 디자인과 화질이 특징이다. 또한 시리즈 사상 첫 16:9 비율로 제작되었다.

2014년 11월부터는 카툰 네트워크가 워너 애니메이션 그룹의 두 번째 '톰과 제리' 단편 TV쇼인 '톰과 제리 쇼(The Tom and Jerry Show)'를 방영하고 있다. 시리즈 사상 첫 어도비 플래시를 사용해 만들어진 작품이고, 두 번째로 16:9 비율로 제작되었다. 이전 시리즈를 봐오던 사람이 이 작품을 보면 꽤나 많이 달라진[19] 그림체에 놀라는 경우가 많다.

4 TV 방영

4.1 한국

한국에서는 처음에 MBC에서 수입하여 '깐돌이와 야옹이'[20]라는 제목으로 방영되다가 80년대에 다시 톰과 제리라는 이름으로 방영되면서 알려졌다. 1980년 이후 매 1년마다 재방이 이어졌으며 그래서 거의 국민 애니메이션적 자리에 군림했다. 방송국 사정으로 대체편성 또는 스포츠 중계가 일찍 끝나면[21] 남는 시간에 자주 방영됐다. KBS에서 동물의 왕국이 그렇다면 MBC는 톰과 제리가 그렇다.

별개 시리즈는 톰과 제리 더 키드판으로 톰, 제리, 드루피,스파이크의 개인 에피소드들을 다루었다. 이건 문화방송판이 흑역사인데 이걸 재방송 틀어주고 이전판을 다시 틀면서 "여러분이 즐기시던 "그" 톰과 제리가 돌아왔습니다"라는 멘트를 날릴 정도였다. 근데 1987~1989년생들은 초등학교때 비디오로 자주 봐서 이쪽이 익숙한 경우도 많다. 케이스 중에 케이스.

아기공룡 둘리와 더불어 나이를 먹으면 먹을수록 캐릭터가 새롭게 보이는 만화. 톰이 터지고 깨지고 골탕먹고 박살나는 장면을 보면서 낄낄대던 사람들은 나이가 들면 들수록 톰의 안습함에 눈물을 흘리고 만다. '깐돌이와 야옹이'의 오프닝 곡은 '우리는 언제나 깐돌이 편'이라는 가사로 끝나는데, 그 곡의 가사가 있는 블로그나 카페 등의 게시글을 보면 90%이상의 확률로 "난 아냐"라는 글을 발견할 수 있을 정도이다. 그도 그럴것이, 인간의 입장에서 보자면 음식을 갉아먹고 세균이나 뿌리고 다니는 ''인 제리가 나쁜 놈이고, 톰은 자신의 역할을 다 하는 올바른 고양이이기 때문이다.[22]

한국 방영은 비디오판, MBC판, 서울방송판, 재능TV[23]이 유명하며, 그 중 가장 유명한 것이 송도순이 해설을 맡았던 MBC판 신 시리즈이다.[24] 재능판과 카툰네트워크판은 해설이 없다. 키드 비디오 판은 1990년대 초반에 서진통상에서 서진꿈돌이 브랜드로 수입했다.

4.2 일본

1964년 5월 13일부터 1966년 2월 23일까지 TBS테레비 계열 방송국에서 매주 수요일 저녁 7시 30분에 30분간 방송된 버전이 일본에서 첫번째로 방송된 톰과 제리이며, 중간중간에 톰이나 제리를 비롯한 캐릭터들이 말을 하는 장면들이 삽입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 주제가를 자체로 제작하였으며[25], 처음엔 흑백으로 방송되었으나 중간에 컬러로 바뀌었다. 니코니코 동화에 개인이 촬영한 영상들이 업로드되어 있으며, 일본 위키피디아에 의하면 1990년까지 여러 번 재방송되었다고 하며 재방송 시엔 다른 방송국 계열에서 방송한 곳도 있었다. 1964년이면 일본에서 컬러방송한 직후이고 일본에서 이제야 애니를 만드는 시절인데 미국에서 티비에 방영되기 전이거나 사실상 동시방영된 셈인데. 그 점에서는 놀랍다.

첫방송 개시 후 몇년 뒤엔 30분 분량에서 2편은 톰과 제리 단편을, 나머지 1편은 텍스 에이버리 단편을 삽입해 방송하기도 했으며, 그로부터 몇년 뒤인 1970년대 후기에 해나-바베라 프로덕션 버전이 TV 아사히 계열에서 방송되었으며, 이상하고 이상한 톰과제리 대행진과 톰과제리 대행진이 니혼 테레비 계열에서 각각 1년간 방송되었다. 후자의 버전은 척 존스 버전과 필메이션 버전의 톰과제리가 방송되었다. 그리고 톰과제리와 유쾌한 동료가 2000년 10월 1일부터 이듬해 6월 24일까지 일요일 아침 7시에 30분간 TV 도쿄 계열에 방송되었으며, TBS판 주제가를 오프닝으로 재활용했다.

이후 2000년대 중기부턴 카툰네트워크 재팬과 BS NHK 프리미엄, 여러 지방 방송국에서 새로운 더빙판과 톰과제리 총집편 및 톰과제리 테일즈가 방송된 바 있으며, 카툰네트워크 재팬에선 계속 방송되고 있고 후자들은 임의로 시간대를 지정해 재방송하는 경우도 있다.

성우진은 캐릭터 문서 참조바람.

4.3 오프닝, 엔딩

60년대 CBS판 총집편 오프닝, 엔딩

톰과제리 쇼 해나-바베라판 오프닝, 엔딩

톰과제리 쇼에선 동일한 제작사의 애니메이션인 'grape ape'와 콜라보레이션되기도 했다.

톰과제리 코미디 쇼 오프닝, 엔딩

톰과제리 키즈쇼 오프닝, 엔딩 버전

톰과제리 테일즈 오프닝, 엔딩

톰과제리 쇼 2014년판 오프닝, 엔딩

60년대 TBS판 일본어 오프닝

80년대 톰과제리 일본판 오프닝

5 등장 캐릭터

해당 문서로.

6 논란

6.1 잔인함

과도한 폭력성을 이유로 미국 일부 주에서는 방영이 금지되기도 했다고 한다. 하기야 냉정하게 생각하면 톰의 몸이 몇 조각으로 분할되는 등 실제 상황에선 출혈이나 사망해도 이상하지 않을 장면들이 아이들을 상대로 방영되었으니...[26] 제일 심각했던 것은 65화 (The Two Mouseketeers) 에서는 중세시절 영주의 잔칫상을 지키지 못한 톰이 결국 단두대에서 처형당하고 제리와 니블이 음식을 들며 그냥 가는 장면에서 니블은 "불쌍하고 가련한 고양이"라고 했지만 그 다음에 "어쩔수 없지"라고 한다. 여기선 이렇게 악랄한 반면, 거의 똑같은 배경을 다룬 에피소드로 국왕이 잠자는 걸 옆에서 톰이 지켜주는 에피소드인 111화 (Royal Cat Nap) 에선 제리와 니블이 먹을 걸 훔쳐먹으려 쳐들어온다. 그런데 이걸 막으려던 톰이 낸 소리 때문에 잠이 깬 왕이 분노하여 "여봐라! 당장 이 고양이를 처...형..."명령을 내릴 찰나, 니블이 왕의 귀에 대고 자장가를 부르는 통에 왕이 그냥 잠들어서 톰이 위기를 모면한다. 덕분에 톰이 고마워하여 제리일행과 같이 왕을 잠재우고 밖으로 나온 다음, 서로 악수를 하고 바로 칼을 빼들어서 제리와 싸운다. "이건 너무하잖아"[27] 하는 니블의 마지막 한마디로 끝나는데 위의 전개와는 다른 전개이다.

한 에피소드(42화, 천국행 기차/Heavenly puss)에서는 톰이 제리를 쫓다가 피아노에 깔려 죽는다(...). 그래서 천국에 가려고 하는 톰이 제리를 괴롭힌 것 때문에 가지 못하는데누가 누굴 괴롭혀? 톰의 앞에 대기하던 아기고양이 3마리(플러프, 머프, 퍼프)가 젖은 자루에서 나와 천국에 가는 열차로 들어간다.(3분 20초부터) 여기서 왜 아기 고양이들이 자루에서 물을 튀기며 나왔겠는가?[28] 고양이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옛날엔 번식력이 뛰어난 고양이들이 많이 늘어나면 자루에 돌과 새끼고양이들을 넣고 강에 던져버렸다. 물론 작품 특성상 밝게 표현되기는 했지만 고양이 학대를 적나라하게 풍자한, 말그대로 '알고 보면' 심히 우울해질 수 있는 장면이다. 뿐만 아니라, 이 아기 고양이 이전에 나온 3마리 어른 고양이도 우울하다. 부치라는 고양이는 불독과 싸우다가 패배, 프랭키라는 고양이는 뒤뜰에서 노래하다 떨어지는 다리미에 끔살(...), 앨로시어스라는 고양이는 스팀 롤러가 오는 걸 못 보고 깔려서 고양이 카페트(...)가 되었다. 이걸 잘 생각하면 개에게 죽은 고양이,뒤뜰에서 노래하다 다리미에 맞아죽은 경우도 가만 생각해보면 뒤뜰에서 야옹거리는 길고양이한테 다리미를 던져서 끔살시킨 것이며 롤러에게 깔려죽은 것도 로드킬이다. 가만 생각히 보면 이 3마리 모두 현실에서 종종 벌어지는 고양이 최후라서 우울하다. 다행히 이 에피소드는 한 시간 안에 제리에게 사과를 받지 못하면[29] 지옥에 떨어진다는 걸(...) 알게 된 톰은 제리를 간신히 설득해 사과를 받게 되지만, 제한시간을 초과하여 지옥에서 스파이크에게 고통받다가 깨어나면서 아시발꿈으로 끝난다.

하여튼 폭력적인 면이 그대로 드러나면서 이걸 까는(?) 것이 심슨에 나오는 이치와 스크래치이다. 새 시리즈에서 슬랩스틱 수준이 많이 떨어진 것도 이러한 안 좋은 시선을 의식한 것일지도. 그래서 옛날의 그 엄청난 전개 및 폭력성이 적어져서 아쉬워하는 일부 시청자들도 적지 않다. 그런데 톰과 제리보다 더 엄청난 폭력성으로 거론되는 로드런너코요테가 있기도 하다. 실제로 톰과 제리 전 에피소드와 옛 루니 툰즈 로드런너와 코요테 에피소드에서 나오는 폭력성 장면을 죄다 세어본 이도 있었는데 톰과 제리의 3배가 넘는 폭력장면이 로드런너와 코요테에서 나왔다고 한다...

티미의 못말리는 수호천사의 특별편인 TV에 들어가는 에피소드가 있는데 거기서 나오는 미국 TV 애니들의 여러 패러디 중에 톰과 제리의 패러디가 나와서 폭력성에 대해 언급한 부분이 있다. 창틀에 목을 걸치는데 창문을 닫는 장면이나 프라이팬에 맞는 장면이 나오기 전에 코스모와 완다가 급하게 나와서 "그 당시 애니메이션은 정말로 폭력성이 짙었다."라고 말하면서 표지판으로 검열하는 식으로 직접적으로 언급했다.

게다가, 애초에 매화마다 톰이 당하는 대부분의 수난들은 익살스러운 개그물로 표현되어서 그렇지 만약 조금이라도 진지하게 그려졌다면 데드 스페이스도 뺨칠 데드신이 속출하는 고어물이 되었을 것이다. Nostalgia Critic에서도 언급이 되는 부분인데, 톰과 제리에서 흔히 나오는 톰의 몸이 갈라지는 장면에서 잘린 부분에 빨간색을 칠하기만 했을 뿐인데 못볼 수준의 잔인한 장면으로 변한다. 자세한건 Nostalgia Critic의 톰과 제리 더 무비 편을 참조를 바란다.

그리고 종종 에피소드를 보면 샷건이 나온다. 톰이 아주 신나게 난사를 해댄다. 하지만 총기문제에 관해서는 그리 큰 논란은 안된 것 같다. 사실 미국 애니에서 총기난사는 지겹게 자주 나온다... 1990년대 초에 만든 욕심장이 오리 아저씨(덕 테일즈)만 해도 광고를 만든 비글 형제가 엄마가 아들이 말 안듣는다고 권총을 신나게 쏴대는게 나온다..그 디즈니에서 만든 게.... 이러니 루니 툰즈라든지 월터 랜츠 프로덕션 애니들(딱다구리나 펭귄 윌리)에서도 권총이나 샷건도 신나게 쏘고 맞아도 죽지 않는다. 기관총으로 난사당해도 아무렇지 않게 나오며 물마시다가 알고보니 몸이 구멍이 신나게 뚫려서 온 몸으로 물이 다 새어버리는 개그는 이후 영화 마스크라든지 많은 매체에서 오마쥬했다.[30]

6.2 인종차별

이런 논쟁에서 톰과 제리는 디즈니 작품루니 툰이랑 더불어 악명높은 작품 중 하나로 꼽힌다.

매미 투슈의 경우는 원판을 보면 진짜로 걸걸하고 흑인식 억양이 섞여있다.[31] 문화방송 후기판에서 이선주씨가 사투리 섞이고 상스러운 아낙네 목소리로 실감나게 더빙했다. 인종차별이 만연했던 1930~50년대의 미국 사회에서의 스테레오 타입 유머가 그대로 톰과 제리에 담겨 있다. 이를테면 중국 음악이 나오는 편에서는 팔자 수염에 눈이 짝 찢어진 중국인 흉내를 냈고, 다이너마이트석탄이 폭발하거나 구두약에 머리를 담궈서 얼굴이 까매지면(일명, 블랙 페이스로 불리는 장면들.) 아예 머리카락에 나비 리본을 꽃은 흑인 바보 캐릭으로 전환한다. 톰이 거액 상속녀를 유혹하는 에피소드나 무인도 에피소드에서는 노골적으로 제리가 흑인 탭댄스를 추는 장면이 나온다.

이러한 논란으로 인해 블랙 페이스가 노출되는 장면이 대부분 검열당하거나, 매미 투슈의 목소리에 대한 변성 처리와 더불어 출연분량을 약간 고치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매미 투슈가 백인 쭉방녀로 변신해서 나오는 걸로 필름을 삽입했다. 그래도 역시 얼굴은 안나온다. 또한 DVD에선 우피 골드버그가 출연해 시청자들한테 단편에 노출되는 스테레오 타입 개그에 대해 경고하는 장면이 나오는 버전도 존재하며, 톰과 제리 골든 컬렉션 1권에는 경고 문구를 삽입하기도 했다.

참고로 삽입판과 이전판 모두 남아있어서 국내 방영을 했다. 대표적인 것이 톰과 길냥이들이 시끄럽게 파티하다가 소리 때문에 잠을 못 자는 제리가 전화해서 그녀가 쌩~ 달려가서 톰 일행을 엄청 두들겨 패는 이야기, 두 판을 비교하면 진짜 개그이다. 해당하는 에피소드는 하녀이기보단 그야말로 흑인 집주인으로 나온다. 외출하여 다른 곳에서 친구들과 즐겁게 시간을 지내고 있었는데 집도 좋고 외출하는 차림새도 화려하다. 성공했구나...!! 여전히 얼굴 안 나오지만, 위 문단 등장 캐릭터에 나오는 매미 투슈 2번째 장면이 바로 제리의 전화를 받고 집으로 달려가는 장면으로 얼굴이 살짝 나온다.[32] 하여튼 톰과 친구를 내쫓고 제리는 이제야 잠을 자겠구나 기뻐했지만 그녀가 디스코 음악을 신나게 켜고 듣는 통에 제리는 여전히 잠 못이루며 끝났다.

6.2.1 검열 장면[33]


* 1942년 상영된 puss n toots(한국판: 장화를 신은 고양이) 편에서는 톰이 레코드를 얻어맞고 중국인 흉내를 내는 모습이 미국 카툰네트워크에서 삭제되었다.

* 1943년 6월 26일 상영된 The Yankee Doodle Mouse (한국판: 양키 얼간이 제리 혹은 미국인 생쥐)편에서 톰이 주전자를 살펴보다가 다이너마이트가 터져서 얼굴이 흑칠로 칠해진 모습은 1990년대 초부터 미국 본토에선 방송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일부 DVD에는 남아있다 아이튠즈 스토어에서 다운로드 가능한 에피소드에도 삭제되어 있다.[34]

* 1945년 7월 7일 상영된 mouse in manhattan(한국판: 맨하탄의 쥐) 편에서 제리가 구두약이 든 통[35]에 얼굴이 박혀서 구두약에 까맣게 칠해진 모습은 미국 카툰네트워크와 미국 부메랑 채널에서 삭제되었다.이것도 남아있다

* 1948년 7월 17일 상영된 The Truce Hurts(한국판: 휴전협정은 고통을 준다 혹은 휴전협정) 편에서 고기를 실은 트럭이 진흙을 뿌리며 톰과 제리, 스파이크가 얼굴에 흑칠을 한 모습이 미국 카툰네트워크와 미국 부메랑 채널, 아이튠즈 스토어에서 삭제되었다.

* 1949년 4월 30일 상영된 the little orphan 편에서 톰이 꼬리에 불 붙은 초가 붙어서 몸이 새까맣게 타버린 모습은 미국 카툰네트워크에서 삭제되었다.

* 1950년 1월 14일에 상영된 saturday evening puss 편에서 나온 매미 투슈의 모습이 1960년대 CBS에서 백인으로 다시 그려져서 방송된 경력이 있었다.

* 같은 해 7월 7일에 상영된 his mouse friday(한국판: 식인종이 된 제리) 편에서 제리가 식인종 흉내를 내거나 식인 부족의 모습이 나오는 장면들이 dvd에서 삭제되어 발매되었다. 카툰네트워크 코리아에서도 이렇게 일부 장면이 삭제된 에피소드가 방송되기도 했다. 하지만 재능TV판에선 짤리지 않고 등장한다.

사실 이 편들 말고도 장면이 삭제된 에피소드들은 몇몇 편 더 존재하며 the milky walf 편에서 제리와 니블이 톰에게 쫓길때 몸에 흑칠을 하고 가난해 보이는 흑인 흉내를 낸 모습이 삭제되어 더 이상 방송하지 않고 있다. 허나 검열에 대해서는 방송사마다 다른지라, 어떤 방송사는 삭제하지 않고 그냥 내보내기도 한다.

6.3 Blue[36] Cat Blues

번역하면 《우울한 고양이의 블루스》. 일본판에서는 해당 에피소드가 "悲しい悲しい物語" 즉, 슬프디 슬픈 이야기로 번역되었다. 이 에피소드는 원작자인 윌리엄 해나와 조셉 바베라가 감독을 맡았다.

[37]

"작가가 시나리오 구상 전에 졸부에게 애인이라도 뺏긴 건지 주인공 캐릭터들의 운명을 마구 짓밟습니다... 성인의 입장에서 봐도 암울하게 다가오는 이 내용은 도저히 5세 관람가의 만화로 보여지지 않는데요. 전혀 희망이라고는 보이지 않는 이 만화의 교훈은 대체 뭘까요. 여자는 다 똑같다? 사랑은 허무하다? 돈이면 다 된다?"
- 관련 블로그 포스트(이 포스트에는 해당 단편의 내용이 아주 명료하게 요약 정리되어 있으니 이쪽을 참고하는 것도 좋다.)

내용인즉 제리와 함께 평화로운 일상을 보내던[38] 톰이 어느 허영끼 있는 암고양이에게 꽂혀버리고, 그때부터 그녀의 마음을 얻기 위한 톰의 눈물겨운 짝사랑이 시작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어마무시한 금수저 부치(Butch)가 나타나서 그녀를 낚아채 가고, 톰은 무엇을 해도 부치의 재력에 미치지 못하는 것을 보며 좌절한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그녀는 톰의 진심을 알아주기는커녕 톰의 물질적인 여건만을 따질 뿐이었고, 나중에는 결국 톰이 적금 다 깨고 할부에 노예계약에 장기판매에[39] 이것저것 손대다가 결국 그녀가 부치와 결혼하는 모습을 보고는 철로에 앉아서 자살을 시도한다. 제리는 그런 톰을 애써 말려 왔지만, 제리의 그녀(…) 역시 다른 놈팽이가 낚아채 가는 모습을 보고는 톰의 곁으로 가서 함께 앉는다. 그리고 저 뒤에서 열차의 경적 소리가 들려 오면서 이야기가 끝난다.근데 제리 정도의 크기면 철로 밑으로 들어가면 공간이 남을텐데? 톰만 죽이기 위한 제리의 또다른 계략 밝고 개그스러운 그림체 때문에 부각되진 않았지만 위의 천국행 기차 에피소드와 이 Blue cat blues 에피소드처럼 나츠미스텝 등을 연상시키는 에피소드도 가끔 나온다..

정말이지 작가가 엄청난 실연의 고통으로 몸부림이라도 치지 않는 한 나올 수가 없는 처절한 스토리. 특히 철로 위에 앉아서 좌절한 톰의 그 표정은... 애니메이터 역시 통한의 공감대를 담아서였는지 정말 엄청나게 힘주어 자세하게 그린 티가 역력하다.(…) 유튜브에서는 작가를 성토하고 욕을 하는 덧글들이 넘쳐나고 있으며, Nostalgia Critic이 이를 주제로 별도의 평론을 하기도 했을 정도였다. 영상 보기

많은 이들이 비판하는 것은 물론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에 어떻게 이런 내용을 담을 수 있느냐는 것.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이라면 모름지기 교육적이거나 교훈적이어야 하는 게 아니던가? 그럴 수 없다면 차라리 요즈음 상업용 애니처럼 적어도 권선징악을 의도하거나 최소한 낙관주의적인 방향으로 시나리오가 이어져야 하지 않을까? 그러나 이 단편은 절대 그렇지 않다. 내용 전체에 걸쳐서 톰에게는 일말의 자비도 희망도 없는 전개. 그것도 어른들 사회의 가장 어두운 면, 자녀들에게 솔직히 털어놓기도 무섭고 보여주기도 부끄러운 면을 극도로 적나라하게(혹은 과장되게) 보여주었다. 게다가 심지어 암묵적으로 금기시되는 장면, 즉 아예 정신줄을 놓고 과음을 하는 장면[40][41] , 그리고 무엇보다도 등장인물들이 자살을 시도하는 장면까지도 여과없이 나왔다. 최후의 최후까지 톰을 안쓰러워하고 어떻게든 위로하려 애쓰던 제리마저 사랑을 잃은 채 톰의 곁에 함께 앉는 장면은 그야말로 무서울 정도로 냉소적인 확인사살. 어찌 보면 값싼 희망적 메시지에 대한 고의적인 안티테제를 의도한 게 아닌가 싶을 정도.

그러나 오히려 이처럼 섬뜩한 메시지이기 때문에 어린이들에게는 역설적으로 동심파괴는 크지 않았다고 볼 수도 있다. 어린이들의 세계관과 인생 경험으로는 어른들이 절절하게 느끼는 비참한 기분과 참담한 심정을 이해할 수 없는 것. 즉 어린이들에게는 이 이야기가 오히려 굉장히 웃기는(…) 스토리가 되고 만다. 기껏 "여자 따위" 에게[42] 정신이 쏙 빠져서 돈이란 돈은 다 바치고 자처해서 시종이 되고 노예계약을 하며, 부치에게 매번 굴욕을 당하면서도 끝까지 어떻게든 사랑을 어필하려는 그 모습이 "우스워 보이게" 되는 것이다. 부치가 그녀와 결혼하는 장면에서도 어른들은 톰에게 공감하여 자신이 패배한 것 같고 자신의 존재의미가 부정된 듯한 기분을 느끼지만, 어린이들은 톰이 지금까지 보여주었던 온갖 실없는 행동들이 모두 허튼 짓거리로 끝나 버렸다는 사실에 톰을 바보처럼 느끼게 되는 것이다. 물론... 다 그런 건 아니라... 80년대 MBC 방영판에서도 고스란히 방영하면서 송도순 성우 목소리로 "가여운 톰, 여자 하나 잘못 만나 저렇게 모든 걸 잃고 말았지만 난 그녀가 있으니까." 라며 여친 사진에 키스하다가 결국 저렇게 되는 걸 보고 어린 시절에 "뭐야, 죽은 거야? 둘다?" 라며 충격과 공포에 빠진 초딩, 아니 국딩들도 있었다.

위에 인용한 블로그에서도 지적하지만, 옛날 애니메이션들은 전부 평화롭고 밝고 아름다운 세계관을 그리고 있을 것이라거나, 요즘 애니메이션들은 전부 자라나는 어린이들의 동심을 멍들게 한다는 식의 생각은 매우 대표적인 편견 및 고정관념이다. 혹시 누가 이런 주장을 한다면 《Blue Cat Blues》 단편을 보여주고 나서, 제작연도가 1956년이었다고 살짝 귀띔해 주는 건 어떨까.(…)[43] 사실 이 문단에서 보이듯 톰과 제리가 단순히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이라는 생각은 1930~50년대 미국 애니메이션 환경을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가지는 편견으로 이 시기의 미국 애니메이션은 극장에서 성인이 감당할 수 있는 비용으로 관람하던 영상 매체이자 오락거리인 영화를 활용해 제작되었으며, 자연스레 영화를 즐기는 성인층을 겨냥한 유머들과 전개가 삽입된 애니메이션이 많았다.[44] 다시 말해서 톰과 제리를 완전히 아동 대상의 애니메이션으로 보는 것 또한 하나의 편견이자 고정관념과 다름없을 뿐이다. 실제론 황금기 미국 애니에서도 그렇게 죽거나 하는 등의 그로테스크한 작품들도 많았다!

6.4 기타 떡밥

2차대전 당시에 독일을 뜻하던 제리[45]가 영국을 뜻하는 톰[46]을 골탕먹이는 풍자로도 해석되면서 실제로 영국계 이민자들이 불쾌하기도 했다. 하지만 제리가 침대에 히틀러 얼굴을 그린뒤 바로 메롱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뭐 나치와 히틀러라는 사이코는 당연히 씹어줘야 하긴 하지만, 좀 난데없는 해석이기도 하다.

또한 톰과제리 마지막 결말이란 내용의 이미지가 공개되었는데[47] 제리가 톰을 망치로 치는 바람에 톰은 병원신세, 결국 제리는 폭행죄로 고소당한다는 내용이었다. 그야말로 동심파괴 결말이지만 한때 난리가 났었던 짱구는 못말려 결말처럼 낚시...가 아니고 웹코믹인 VG Cats에서 패러디한 것#을 누군가가 제목과 작자를 자르고 퍼오면서 잘못 알려지게 된 것이다. 여담이지만 MBC 라디오에서 12시 5분부터 방영하는 싱글벙글쇼 12월 22일 방영분(년도 추가바람)의 '대한 뉴스' 코너에서도 톰과 제리가 문제로 나왔는데 이 충격적인 내용을 진짜 최종화인것처럼 말해버렸다. 그리고 이 이미지는 상당히 오래 전부터 돌던거다.이제 와서 낚이는 사람들은 뭐냐? 사실 제리가 톰에게 지금까지 했던 만행들을 열거하면 망치로 치는 정도는 매우 약한 편에 속한다... 고소를 할 것 같았으면 벌써 진작에 하고도 남았을 것. 그리고 어른이 되고 나서 보면 위에서 서술한 문제의 《Blue Cat Blues》 가 훨씬 암담하고 우울한 내용이다.

표절 논쟁이 빚어진 적도 있는데, 1946년 제작되어 1947년 4월 26일에 극장에서 공개된 the cat concerto 편을 말한다. 이 에피소드는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최고의 단편 프로젝트 만화상을 수상한 바 있었다. 그런데 동시기 워너브라더스 측에선 루니 툰 단편 rhapsody rabbit의 내용과 결말, 삽입된 음악이 동일하단(또는 닮았단) 이유로 MGM에서 자신들의 아이디어를 표절했다고 주장했다. 물론 MGM도 그해의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먼저 워너브라더스 쪽에서 먼저 아이디어를 표절했다고 맞받아치면서 주장하였다. 이후 1996년 워너브라더스가 판권을 가지게 되면서 아이러니하게도 톰과 제리는 루니 툰과 동일한 영화사가 판권을 보유하는 작품이 되었다.

7 여담

  • 톰과 제리가 만들어진 시대의 미국은 사회적인 강자인 자본가가 서민들을 쥐어짜던 시절로,[48] 톰과 제리가 커다란 성공을 거둔 이유 중 하나는 서민을 대표하는 약자(쥐)가 강자(고양이)를 골려먹는 모습을 보며 대리만족을 얻었기 때문이라는 설문조사 결과가 있다.[49] 만약 현실 세상 그대로 강자가 당연하게 승리하는... 즉, 고양이가 매일 쥐를 골려먹는 만화였다면 톰과 제리의 성공은 없었을 거라는 의견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잊혀질만 하면 이따금씩 톰이 이기는 에피소드도 존재하며 이것 또한 성공에 큰 공헌을 했다고 보는 의견이 많다.
  • 쥐가 치즈를 좋아한다는 낭설을 심어준 만화이다. 치즈는 쥐의 장에 좋지 않다.
  • 영어 위키피디아에 의하면 tom and jerry는 19세기 영국의 런던에서 폭동을 일으키길 선사하는 청년을 가리키는 문구였다고 한다.
  • 참고로 194,50년대 미국 애니메이션 황금기 시절에 제작된 작품들을 자세히 관찰해보면 제각각 특징이 있는데 해나-바베라의 작품들은 캐릭터들간의 콤비네이션이 주가 되어, 드루피를 비롯한 텍스 에이버리의 작품들은 캐릭터들의 비현실적이고 과장된 행동들로 슬랩스틱을 형성했으며 척 존스의 작품들은 어느 한 캐릭터가 일방적으로 당하는 개그 씬들이 많이 나오고 윌터 렌츠의 딱따구리(애니메이션)은 주연 캐릭터가 대놓고 민폐 컨셉이었다.
  • 제2차 세계대전 중에 미국이 참전한 이후로 1942년부터 워너브라더스, 파라마운트 픽쳐스,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 등이 반추축국 노선의 선전 애니메이션들을 연이어 제작한데 비해 이상하게 톰과제리에선 직접적으로 전시적 메시지를 담은 에피소드는 한편도 존재하지 않는다. 물론 간접적으로 미군을 찬양하는 메시지가 담긴 에피소드가 한편 있기는 하다. 바로 1943년 6월 26일 공개된 'The Yankee Doodle Mouse' 에피소드.
  • 초창기 것으로 보이는 에피소드들에선 톰과 제리가 힘을 합치는 에피소드도 있으나 얼마 못 가 둘이 대립하는 에피소드들만 만들어진다. 그러나 시대가 지나면서 그렇게 변한건지(추가 바람) 둘이서 연합하는 경우도 더 잦아지고 같은 침대에서 일어나는 등(!)그게 아니야... 여러모로 사이가 좋아보이는 에피소드들이 상당히 많다.(...)[50] 사실 이건 작화 붕괴가 일어난 척 존스의 후기작부터 두드러진 현상이다. 이런 것들만 놓고 보면 둘이서 싸우는 것도 그냥 심심해서 노는 걸로 보일 정도다. 그런데 이건 그저 옴니버스라는 특성상 그럴 뿐이다.
  • 북한에서도 1985년에 방영되기도 했다.[51] 아마도 강대국 미국을 겨냥하여 방송을 했나본데 북한사람들은 유럽쪽의 애니메이션으로 알고있다고 한다. (진 데이치 단편이라면 어느정도 맞을 수 있다.) 다람이와 고슴도치 문서을 봐도 알수 있듯이 북한은 '작은 주인공이 덩치 큰 악역을 이기는' 구도의 애니메이션을 선호하기 때문. 참고로 북한 제목은 "령리한(영리한) 생쥐와 우둔한 고양이".
  • 예전에 90년대말 투니버스로 방영한 애니 관련 정보 프로그램인 스튜디오 붐붐에 의하면, 안노 히데아키가 매우 좋아하는 애니메이션이라고도 한다.[52] 그래서 일본에서 DVD 모음집이 나오자마자 얼른 다 사버렸다 한다.
  • ExCF에서는 이 작품의 등장인물을 이용해서 이 작품의 안티테제 만화를 그렸는데 제목이 톰과 제리였다. 내용은 톰이 온갖 방법으로 제리를 끔살시키는 것밖에 없다. 톰이 주인공이고 제리는 동네북이다.
  • 지금은 거론도 안되지만 한국에서 실사로도 만들어졌다....90년 초반 SBS에서 한 개그 프로그램에 당시 신인 개그맨들이 톰이나 제리 옷차림(얼굴은 보이고)을 입고 말없이 몸으로 개그씬을 연기하고 바로 송도순 성우 내레이션이 나오며 톰과 제리라고 불렀다... 물론 당시에도 뭐야 이거? 소리를 듣으며 오래 안가 흐지부지 사라져서인지 사람들 기억에 사라졌다.... 그도 그렇지만 저작권 문제도 있었을 듯.
  • 1931년부터 2년간 밴 뷰런 스튜디오에서 제작된 톰과 제리 단편(인간 2명이 나와 활약하는 카툰.)에서 조셉 바베라가 무명이던 시절 애니메이터와 스토리맨으로 활약한 경력이 있다.

8 비슷한 작품들

이 작품이 인기를 끌면서 유니버셜, 워너브라더스, 테리 툰즈 등등 다른 영화사 스튜디오에서도 비슷한 걸 많이 제작했다. 보통 상식적으로 더 강한 육식동물이나 천적이 먹이가 되는 생물에게 호되게 당하는 설정은 톰과 제리 이후 미국 애니에서 흔하게 나왔단 주장이 있을 정도로 막강한 영향력을 남긴 것은 어느 정도 사실로 보인다.

  • 딱따구리(애니메이션) - 여기선 딱따구리 우디가 말똥가리 부스를 골탕먹이는 장면들이 제법 나온다.
  • 핑크 팬더 - 개미 VS 개미핥기
  • 루니 툰 - 비슷한 시기에 제작된 애니 중에서 패러디 캐릭터들이 가장 많이 나온 작품으로 실베스터 VS 트위티, 실베스터 VS 스피디 곤잘레스 등의 구도로 나오는데 여기선 포식자 캐릭터가 오히려 톰보다 더 안습적인 신세를 당하거나 종종 죽어나가는 모습들이 많게 나온다. 그리고 그 중 레전드는 단연 와일 E. 코요테로드 러너. 톰과 제리 류의 추격물을 패러디하면서도 독자적인 규칙과 극단적인 설정을 도입하여 톰과 제리만큼이나 전설이 되었다. 톰과 제리와의 차이점은 로드 러너(워너브라더스) 항목 참조.
  • 해피트리 프렌즈 - 스니플스 VS 개미 일가
  • 마이티 마우스(애니메이션) - 테리 툰즈 제작

9 극장판

Tom_and_Jerry_-_The_Movie_Poster.png

의외로 극장판 장편 시리즈는 한 작품밖에 없다.[53] 1992년에 독일, 1993년에 미국, 호주에서 개봉된 톰과 제리 더 무비(Tom and Jerry : The Movie)가 그것. 톰과 제리가 말을 하고 디즈니 애니같은 뮤지컬 씬이 들어가[54] 원작팬들에게 크게 지탄받은 작품이며(...) 특히 Nostalgia Critic이 엄청나게 깠다..[55] 그런데, 볼사람은 잘 봤다는게 함정. 이름 값 때문에...(...) 물론 흥행은 망했다... 극장용 치곤 저렴한 400만 달러를 들여 만들었는데 북미에서 400만 달러를 벌었다...(극장 측과 수익 나누고 그러자면 800만 달러를 벌어야지 본전치기이니).물론 그런 작품이 한둘이 아니긴 하지만 감독은 필름 로먼의 설립자인 필 로먼이 맡았으며, 제작사는 터너 엔터텐인먼트, 필름 로먼, WMG, 엠브린 엔터테인먼트이다.

극장판 오프닝에 삽입된 곡은 국내 한정으로 방송 프로그램 등에서 톰과 제리 관련 장면에 자주 삽입되며 어느새 톰과 제리를 상징하는 음악 취급을 받고 있다.

10 관련 인물

  • 윌리엄 해나
  • 조셉 바베라
  • 프레드 큄비 - Fred Quimby(1886~1965) : 톰과 제리(해나-바베라 버전)뿐만 아니라 여럿 mgm 단편 애니메이션들의 프로듀서를 맡은 사람.
  • 진 데이치 & 윌리엄 L. 스나이더 - Gene Deitch(1924~), William L. Snyder(1918~1998)
  • 척 존스
  • 스콧 브래들리 - Scott Bradley(1891~1977) : 해나-바베라 버전 톰과 제리, 텍스 에이버리 단편 카툰의 음악 작곡을 맡았다.

11 삽입곡

  • mama eu quero - 1937년에 제작된 브라질 대중가요로, 1943년 발표된 톰과 제리 12편(Baby Puss)에서 톰의 친구들이 작중 이 노래를 부른다.
  • Is You Is or Is You Ain't My Baby - 1944년 루이스 조던이 발표한 재즈 대중가요로, 1946년 발표된 톰과 제리 26편(Solid Serenade)에서 톰이 투들스에게 고백하는 모습이 나온다. 폴아웃
  • If You're Ever Down In Texas, Look Me Up - 1940년대 발표된 미국의 지역 민요로, 1950년 발표된 톰과 제리 49편(Texas_Tom)에서 톰이 기타를 치며 노래하는 모습이 나온다.

12 패러디

영원히 고통받는 톰(별의 커비 ver.)
영원히 고통받는 톰 2 (별의 커비 ver. 2)
추가바람

13 에피소드 목록

  • 에피소드의 제목을 적을 경우 영어는 오른쪽에, 한국어는 왼쪽에 기재하길 바람.

14 아카데미상 수상작

  • ⭐️는 에미상 수상 횟수
  • 🏆은 오스카상 수상 횟수
  • 2005년 기준이며 에미상과 오스카상 수상 횟수는 현재 진행형 기준
Channel 4 선정 가장 위대한 만화 영화 100선 中 상위 10위
1위심슨 가족⭐️⭐️⭐️⭐️⭐️
⭐️⭐️⭐️⭐️⭐️
⭐️⭐️⭐️⭐️⭐️
⭐️⭐️⭐️⭐️⭐️
⭐️⭐️⭐️⭐️⭐️
⭐️⭐️⭐️⭐️⭐️
⭐️⭐️
2위톰과 제리⭐️⭐️⭐️⭐️⭐️
⭐️⭐️
🏆🏆🏆🏆🏆
🏆🏆
3위사우스 파크⭐️⭐️⭐️⭐️⭐️
⭐️
4위토이 스토리 시리즈⭐️⭐️⭐️⭐️⭐️
⭐️⭐️⭐️
🏆🏆
5위패밀리 가이⭐️⭐️⭐️⭐️⭐️
⭐️⭐️⭐️
6위슈렉🏆
7위라이온 킹⭐️⭐️⭐️
🏆
8위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
9위인크레더블⭐️
🏆🏆
10위벅스 버니🏆🏆🏆🏆
이외{{{#000000 여기를 참조.}}}
이외의 다른 만화 영화들은 만화 및 애니메이션 관련 정보 참조.
Channel 4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만화 영화 100선 中 상위 10위
1위심슨 가족⭐️⭐️⭐️⭐️⭐️
⭐️⭐️⭐️⭐️⭐️
⭐️⭐️⭐️⭐️⭐️
⭐️⭐️⭐️⭐️⭐️
⭐️⭐️⭐️⭐️⭐️
⭐️⭐️⭐️⭐️⭐️
⭐️⭐️
2위톰과 제리⭐️⭐️⭐️⭐️⭐️
⭐️⭐️
🏆🏆🏆🏆🏆
🏆🏆
3위사우스 파크⭐️⭐️⭐️⭐️⭐️
⭐️
4위패밀리 가이⭐️⭐️⭐️⭐️⭐️
⭐️⭐️⭐️
5위벅스 버니🏆🏆🏆🏆
6위고인돌 가족 플린스톤
7위드래곤볼
8위알라딘🏆🏆🏆
9위렌과 스팀피
10위루니 툰🏆🏆🏆🏆🏆
이외{{{#000000 여기를 참조}}}
※ ⭐️는 에미상 수상 횟수, 🏆은 오스카상 수상 횟수
※ 이외의 다른 만화 영화들은 만화 및 애니메이션 관련 정보 참조


톰과 제리는 시리즈 전체를 통해 총 7회의 아카데미상 단편 애니메이션 부문을 수상하였다. 시리즈물로써는 디즈니실리 심포니 시리즈와 타이 기록.

1943년: The Yankee Doodle Mouse
1944년: Mouse Trouble
1945년: Quiet Please!
1946년: The Cat Concerto
1948년: The Little Orphan
1951년: The Two Mouseketeers
1952년: Johann Mouse

추가 경력은 영어 위키피디아 문단을 참고할 것.

  1. 6.1번 잔인함 문단 참조
  2. 이 때문에 종종 MGM의 유명한 '울부짖는 사자' 오프닝을 패러디한 오프닝이 작품에 들어가기도 했다.
  3. 실제 존 크릭팔루시, 겐디 타르타콥스키, 세스 맥팔레인처럼 현재 업계에서 메이저로 대접받는 미국 애니메이터들 중 디즈니 계열이 아닌 사람들은 해나-바베라 콤비가 설립했던 해나-바베라 프로덕션에서 애니메이터 경력의 기반을 쌓아서 렌과 스팀피, 사무라이 잭, 패밀리 가이 등 많은 애니메이션을 제작, 감독했으며, 해나-바베라 프로덕션이 아니면 고인돌 가족 플린스톤이나 스쿠비 두, 스머프같은 미국의 유명 TV애니메이션들의 제작이 이뤄지지 않았고 때문에 이들이 없었거나 톰과 제리를 만들지 않았더라면 미국 애니메이션의 향방은 무척 달라졌을 것이다.
  4. MGM에서 '톰과 제리'와 여러 단편의 제작을 맡은 프로듀서. 의외로 만화를 잘 모르는 딱딱한 인물이어서 해나-바베라와 큄비간의 갈등도 여러 번 있었다고 한다.
  5. 특히 The Bowling Alley Cat 같은 초기 에피소드에선 더더욱.
  6. 그 절정은 바로 클래식 음악을 소재로 한 에피소드들. 대표적으로 오페레타 '박쥐' 서곡이나 '세비야의 이발사'의 아리아를 이용했는데 시쳇말싱크로가 쩐다. 오스카 상을 수상했으며 톰과 제리의 유일한 '역대 최고의 애니메이션 베스트 50'에 선정된 에피소드 The Cat Concerto도 톰의 피아노 리사이틀을 소재로 한 것.
  7. 프란츠 리스트헝가리. 광시곡 2번을 절묘한 싱크로로 표현해냈다. 고전 미국 애니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옛 디즈니 단편들이나 루니 툰 등 고전의 많은 작품에는 음악과 그에 맞춘 개그를 다룬 일종의 코믹 뮤직비디오 스타일이 매우 많다. 특히 루니 툰은 NDS로 응원단 시리즈 클래식 버전 게임을 낼 정도.
  8. 나중에 스파이크, 톰, 제리가 우리 싸우지 말고 친하게 지내자고 하여 한동안 사이좋게 지내는가 했더니 고기 하나를 가지고 누가 더 큰 부분을 먹을 것인가를 다투다가 평화협정이 파기된다.(...) 나중에 톰과제리가 영화관에 가서 자신들이 나온 영화를 보는데 서로 비웃다가 싸우는 도중에 이 장면이 나온다. 마지막에 진짜 톰과 제리가 극장에서 내던지고 우당탕 싸우는걸 보던 영화 속 3인방이 싸움을 멈추고 재밌다는 듯 지켜보면서 끝났다.
  9. 은 애니메이션 방송 단위로 대략 3개월 정도를 뜻한다. 비슷한 단위로 가 있는데 애니메이션의 1기, 2기, 3기... 등의 시리즈 개념이다.
  10. 1990년대 초 워너 브라더스에 인수되었으며, 2001년엔 아예 워너 브라더스 애니메이션으로 합병되어버렸다.
  11. 인터넷에 대부분 업로드된 톰과 제리 동영상의 타이틀 카드는 재상영된 버전이다.
  12. 이름이 우파이니까 우익 사상 업체(...)가 아니라 해고 애니메이터들이 모여 이룬 단체로서 그 이름과 정반대로 사회풍자 및 디즈니나 온갖 대형업체를 신나게 까는 애니를 주로 만들었다. 디즈니나 월터 랜츠(딱다구리)같은 유명 애니 제작자들을 풍자하고 아예 비참하게 죽이기까지 해서 랜츠는 소송을 제기했으나 풍자 애니로서 자유성이 있다고 패소하기도 했다.
  13. 이 단편들 중 matinee mouse 편과 Shutter Bugged Cat 편은 해나-바베라 콤비가 감독을 맡은 에피소드여서 그림체도 척 존스식 그림체가 아닌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4. 실제로 몇몇 장면에서는 루니 툰 단편과 닮은 슬랩스틱 개그가 나오기도 하며, 기존 단편들에서 톰, 제리, 스파이크 삼각관계로 나온 단편들이 있는 것과 톰이 흑인 아주머니나 백인 남성에게 모종의 이유로 모질게 야단맞는 단편들이 있는 것과 비교해보면 척 존스의 톰과 제리는 톰, 제리 중심의 에피소드가 다수인 것이 차이가 나는 점이다.
  15. 설립 이듬해인 1964년 mgm이 사들여 MGM Animation/Visual Arts로 개명되었고, 1970년까지 운영되었다.
  16. 이전 시리즈에서는 이런 모습을 보인 적이 없다.
  17. 영어 위키피디아 스쿠비 두 문서의 윗 문단에서 이러한 정보가 부분적으로 언급되어 있다. 그리고 당시 토요일 아침 만화 시간대에선 프라임 타임 시간대에 방송된 애니메이션이나 극장용 단편 애니메이션들을 재방송하였단 정보가 영어 위키피디아 문서에 기록되어 있다.
  18. 사실 이보다 전인 황금 시대에 제작된 극장용 단편 애니들은 곳곳에서 흡연 씬과 음주 씬, 선정적인 여캐가 나오는 씬들이 상당했으며, 이후 미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제작 초창기인 5~60년대의 애니메이션들에서부턴 자체적으로 전자의 씬들을 삽입하지 않았으나 캐릭터들이 상대방을 치거나 때리는 씬과 총기를 활용하는 씬에서 보듯이 잔재적으로 폭력적인 요소들은 남아 있었다.
  19. 예를들어 캐릭터 가장자리에 검은 선이 없다던지(시즌2부턴 다시 검은 선이 생겨남.), 플래시스러워진 움직임 등등
  20. 이 버전에서의 오프닝은 해나-바베라 프로덕션이 제작한 1975년의 톰과 제리 쇼 주제가 구성을 완전 베껴냈다.
  21. 특히 프로야구프로축구농구대잔치 같은 중계
  22. 다이나믹 듀오가 부른 노래의 한 가사에서 이 괴이한 관계를 적나라하게 확인할 수 있다. 너는 내 밥이다 넌 톰 난 제리
  23. 육아방송에서 톰과 제리 시즌 2라는 제목으로 재능TV판을 방영하고 있는데 자막이 없는 버전과 자막이 있는 버전을 방영하고 있다. 근데 일부 제목은 엉터리 제목으로 방영한다(...)
  24. 서울방송판은 보거스 이인성 씨가 해설을 했다. 이것도 나름 명작.
  25. 가사 구성을 베낀 한국판 주제가와는 완전히 노래의 구성이 다르다.
  26. 이런쪽은 호불호가 갈린다. 코믹 몸개그 요소라 좋다라던가, 그냥 심각하게 폭력적이다. 라던가.
  27. 일본어 더빙판에서는 "정정당당히 말이지"로 다소 의미가 달라졌다.
  28. 좀 더 정확히 설명하자면 그들은 누군가에 의해 물에 빠져 죽었다. 그래서 천국 문지기인 고양이 공무원이 저 아기고양이를 보고 안타까워하며 그래도 천국이라도 가려무나...이렇게 말한다.
  29. 정확히는 제리에게 사과문의 서명을 받는 것
  30. 하지만 최근에 와서는 오히려 현실에서 총기가 쉽게 굴러다니기 때문에 문화 컨텐츠에서 총기 등에 대해 검열하는 추세가 높아지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유희왕으로 총기가 등장하는 일러스트는 거의 다 이런저런 형태로 탄압당한다.
  31. 실제로 매미 투슈의 초대 성우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배우인 Lillian Randolph(릴리안 렌돌프)였다.
  32. 대신에 엄청 빠르게 달려가서 보기가 조금 까다롭다.
  33. 영어 위키피디아 개별 에피소드 문서 출처.
  34. 참고로 이편은 톰의 최후가 굉장히 잔인한데(...)제리를 폭죽에 묶어서 날릴려고 하지만 중간에 메듭을 잘못 묶어서 역관광 당하는데, 폭죽이 날아가면서 성조기 모양으로 폭죽이 터지면서 미국에 간다 그야말로 끔살 확정... 물론 폭죽이 터지면서 성조기가 나오는 장면도 일부 방송사에서는 검열된 채로 방영된 사례가 있다.
  35. 제리의 꼬리가 바닥에 붙은 껌을 때려고 안간힘을 쓰는데 붙은 껌에 붙은 꼬리를 때려는 찰나 튕겨져 나가고 구두닦이가 제리를 구두약 통에 넣고 다시 구두닦이가 제리를 구두약 통에 넣고 제리가 구두약 통에서 빠져나오는 장면이다. 잉크통이 아니다! 구두약이다!
  36. 사실 파랑색은 서구권 국가 중에선 감정적으로 우울하다는 의미의 색상으로 여겨지기도 하며, 이걸 반영해선지 타이틀 카드 배경 색상도 제목 표기 등을 빼면 온통 파랑색으로 채워져 있다.
  37. 참고로 유튜브에서는 저 영상에 대해 비판을 받았는지 저런 영상 원본을 찾을수 없게 만들었다. 그나마 누군가 원본 영상을 가져와 올렸지만...
  38. 동영상 보면 알겠지만 여기선 톰이 음료를 제리 마시게 편하라고 돕는다든지, 톰이 자살하려고 하자 제리가 구한다든지 둘이 여기선 친하게 나온다!
  39. 원본에서는 팔과 다리를 팔았다고 나온다(…). 21세기 사회정서에 맞게 번안하자면 급전을 마련하기 위해 신장이고 이고 다 떼었다고 표현하는 게 좋을 듯.
  40. 그래도 아동들을 최소한 감안해서인지 진짜 대신 우유로 대체해서 표현하였다.
  41. 그러나 Part Time Pal에서는 톰이 사과술통에 빠저서 주정을 부리는 장면이 나온다. 아마 음주후의 우스꽝스런 주정에 초점을 맞춰 그런듯.
  42. 물론 나이가 한 10살 정도만 먹더라도 왜 톰이 그렇게 전재산을 털고 자존심 다 포기하면서까지 매달렸는지 이해가 되겠지만(…)
  43. 비슷한 맥락에서 니자지 왕자지(…) 같은 문서의 존재만 보더라도 알 수 있듯이, 70~80년대 과거 어린이들이라고 해서 딱히 더 건전한(?) 동심을 갖고 있다고 말하기도 어렵다.
  44. 당시 톰과 제리를 비롯해 MGM이나 루니 툰 등 극장용 단편 애니메이션에도 영화배우를 캐릭터 성우로 캐스팅한 경우가 많았다.
  45. 지금 흔하게 쓰는 연료통도 독일에서 먼저 제작되어 영미권에서는 제리캔이라 부른다.
  46. 이는 톰이 영국인을 애칭하는 단어이기에 더욱 그렇다.
  47. 다른 유명 캐릭터들도 이와 비슷한 패러디들이 있다. 대표적으로 슈퍼마리오. # 그렇다. 마리오는 대머리였다.
  48. 실제로 첫 톰과 제리 단편이 제작된 1940년엔 세계 대공황으로 인한 미국의 경제 불황을 타개하기 위해 루스벨트 프랭클린이 실시한 뉴딜 정책이 시행된지 몇년 지나지 않은 시기였다.
  49. 작중 톰은 담배를 피거나 술을 마시는 등의 자본가들이 주로 보이는 모습이 많게 묘사된다. 거기다 톰이 보여준 당구, 볼링, 테니스, 사교 또한 주로 성인들이 향유하는 문화 생활에 속하는 행위이다.
  50. 또는 외계인에게 톰, 제리, 스파이크가 데꿀멍하게 당하는 에피소드.
  51. 1993년에 방영되었다고 전 편집자가 작성하였으나동아일보 기사에 따르면 1985년에도 방영한 적이 있었다.
  52. 실제로 안노 히데아키는 1996년 개최된 엑스포 인터뷰에서 자신이 톰과 제리와 텍스 에이버리 만화를 좋아한다고 밝힌 경력이 있었다.
  53. 이후 나온 장편 시리즈는 전부 비디오용으로 발매된 것이다.
  54. 시간이 흘러 나온 tv 스페셜에서도 뮤지컬 씬이 연출되긴 했으나 톰과 제리가 말을 하는 장면은 일체 나오지 않았다.
  55. NC : "신이시여……톰과 제리가 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