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도사 라인

1 개요

메이저리그에서 수비형 유격수로 준수한 수비력을 보여주었지만 메이저 생활 9년동안 0.215라는 개안습 타율을 보여줬던 마리오 멘도사라는 선수의 이름에서 유래된 야구용어.

마리오 멘도사가 직접 발언한 데 따르면,[1] 마리오 멘도사가 시애틀 매리너스로 이적해 처음으로 주전 유격수가 되었던 1979년, 같은 아메리칸리그 캔자스시티 로열스출신의 강타자로 명예의 전당 3루수조지 브렛이 시즌 개막 직후 극심한 부진으로 한달동안 타율이 2할대 초반을 왔다갔다 했다. 그때 조지 브렛의 팀 동료들이 "이봐, 자네 정신 바짝 차리지 않으면 마리오 멘도사보다 타격순위 아래로 내려갈거야."라고 농담을 쳤던 것이 ESPN의 애널리스트 크리스 버먼, 그리고 다른 선수들의 입소문을 타고 흘러 흘러 멘도사의 귀까지 전해졌다고 한다. 그리고 그것이 미디어에 회자되면서 멘도사 라인이라는 용어가 정립되었다고 한다.[2][3]

리그 평균 타율인 2할 5푼은 커녕 일반적으로 1할~2할대 극초반 정도의 타율을 가리킨다. '멘도사 라인까지 내려왔다'라는 말은 공이 심하게 안 맞는다는 말. 최소한 배트에 맞아야 홈런이건 2루타건 내야안타건 기록할 것 아닌가(...).

물론 애덤 던이나 박경완같은 타자처럼 타율은 낮지만 볼넷을 잘 얻어 출루율이 높다거나, 홈런을 많이 쳐서 장타율이 높아 고전적 스탯보다는 세이버메트릭스 스탯이 더 좋은 타자인 경우는 눈감아 줄 수는 있다. 또한 지명타자 제도가 없는 내셔널리그일본프로야구 센트럴리그 투수들의 경우는 프로리그 평균타율이 .150 정도라 때문에 예외가 될 수는 있다.[4] 그리고 애덤 던이나 박경완이나 최소한 2할 3~4푼은 쳤고 선구안이 귀신 같았다. 멘도사 라인은 그보다 못 칠때 하는 말이다.

포수, 2루수, 유격수도 리그 평균 수준의 타격인 2할 5푼정도는 넘어야지 멘도사 라인에서 논다는 것은 수비나 주루로 보완한다고 해도 한계가 있으며 결국 평균 이하로 못하는 것이 맞다. 멘도사 라인 타자가 꾸준하게 경기에 나온다는 것은 그만큼 팀의 야수 선수층이 얇거나, 팀이 허접하거나 주축 선수의 부상 등으로 일시적으로 라인업이 마비된 경우에나 가능하다. 아니면 아주 신들린 듯한 수비를 선보이며 수비만 보면 전우주최강급으로 활약하거나, 타격은 못해도 공격시 타격 빼고 다른 행위, 즉 희생타나 기습번트, 상대의 신경을 긁는 주루 등을 선보여 팀 동료들을 잘 도와주는 선수는 감독 성향과 팀 상황에 따라 주전이 될 수도 있다.

2 예시

국내 프로야구에서 멘도사 라인을 찍었던 주요 선수로는, 현역시절 태평양 돌핀스현대 유니콘스유격수였고 넥센 히어로즈 감독을 맡았던 염경엽대표적이다. 타율 커리어 하이가 1994년 0.212다. 다시 말하지만 커리어 하이다(...). 그리고 염경엽에 앞서서 함께 영혼의 짠물수비 키스톤으로서태평양 돌핀스의 내야를 책임졌던 김성갑 SK 와이번스 수석코치도, 빼어난 수비와 2할 초반대 타격으로 멘도사라인의 대명사였다.[5] 이 김성갑을 밀어내고 염경엽이 주전 유격수가 되었으며 그 염경엽을 다시 울린밀어낸 신인 유격수가 바로 박진만으로 97시즌 .185라는 역대 규정타석 최저타율을 남긴 적이 있다.[6] 아이고, 맙소사. 넥센 히어로즈 1군/2군 감독이 모두 멘도사였어.... 2011시즌 현재 롯데 자이언츠문규현이 멘도사 라인에 가입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했으나(6월까지 156타수 22안타 0.146) 7월 문대호모드로 각성(7월타율 0.423)하여 최종타율 0.242로 마무리했다. (한상훈도 2008년까지는 이 라인에 가입되어 있었지만 2011년에는 타격이 소량 각성.

2013년 신생구단 NC 다이노스권희동이 이 라인에 가입은 했으나[7] 시즌동안 무려 15홈런을 쳐낸 공포의 1할타자로 충공깽을 보여주었다. 시즌 성적은 해당항목 참조.

2015년 KIA 타이거즈의 중견수 김호령이 타율 .218로 멘도사 라인에 가입. 허나 김호령은 수비에서 미친 존재감을 드러내며 하위타선에 계속 기용. 그리고 득타율이 같은 팀의 브렛 필 보다 높았다.

메이저리그에서는 2010년에만 두명의 규정타석을 넘긴 멘도사 라인 선수가 나왔다. 탬파베이 레이스1루수 카를로스 페냐가 타율 .196을(28홈런 84타점),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3루수 마크 레이놀즈가 타율 .198을(32홈런 85타점) 기록했다. 그러다보니 홈런을 저렇게 쳤음에도 1루수 겸 중심타자로써 타점 생산력은 끔찍할 정도. 그렇다고는 해도 2할 가까운 타율로 30홈런 가까이 치는 것 자체가 공이 맞기만 한다면 생산력은 있다는 것이므로 적어도 2011년의 애덤 던과는 절대 비교 불허. 던의 2011년은 11홈런밖에 안된다(...)

3 세이버메트릭스에서의 멘도사 라인

세이버메트릭스에서는 멘도사 라인을 대체선수(replacement player)의 고전적인 개념으로 보고 있다. 즉, 주전 선수가 갑자기 부상을 당하는 등의 이유로 출전할 수 없을 때 급하게 끌어다 쓸 수 있는 후보선수의 수준을 측정하는 가장 오래된 기준이 멘도사 라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정도의 대용은 얼마든지 있으며 얘보다 못하면 프로야구선수도 아니라는 뜻. 일반적으로 세이버메트릭스에서는 타자 대체선수의 수준은 EqA(equivalent average)가 .230(쉽게 말하면 타율이 .230 정도에 출루율과 장타율도 막장인 선수)이며, 선발투수 대체선수의 수준은 리그 방어율보다 1점 높은 방어율을 기록하는 선수로 보고 있다.

  1. 원문 출처는 http://www.stltoday.com/sports/baseball/professional/article_cff05af5-032e-5a29-b5a8-ecc9216b0c02.html
  2. 조지 브렛은, 21시즌 통산타율이 .305에 3154안타에 타격왕을 3번, 최다안타 1위를 3번 차지한 70~80년대를 대표하는 안타 기계로 통하는데, 유독 커리어 전체 통산 4월달 타율은 .264, 4월 이외의 월별 타율은 3할에서 내려간 적이 없다. 이상하리만치 스타트가 느린 타입의 강타자.
  3. 참가로 이 드립을 들은 시즌인 1979년 브렛은 AL 최다안타 1위를 차지한다.
  4. 사실 프로레벨에서 투수가 타석에 들어설때 가장 중요한 건 타격하다 다치지 않는 것이며 최소한 병살타를 안 치고 혼자 죽는 것이다. 이를테면 희생번트 같이. 좀 예외로 타율 2할을 넘기고 두 자리수 타점을 기대할 수 있으며, 여기에 홈런까지 두어개 칠 수 있다면 실버슬러거를 노려볼 수 있는 투수이다.
  5. 참고로 김성갑 감독의 선수시절 커리어 하이는 1987년으로 당시 타율이 .230이었다. 타율이 가장 나빴던 시즌은 1991년이었는데, 이때 타율이 .194..........
  6. 당시 백업이었던 염경엽의 97시즌 타율은 .000(...)이었다. 그나마 배트에 공이 와서 맞아 줄 확률이라도 있었던 박진만이 주전으로 뛴 건 당연했다.
  7. 2013년 9월 13일 한화 이글스전 까지의 타율이 무려 0.199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