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버스 111

폐선된 버스 노선입니다.

이 버스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하 내용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목포시 시내버스
간선버스1291313-13030-1
지선버스610206061112
도심순환버스3715
외곽연계버스108119130150
시내좌석버스200300500800900
폐선된 노선1(실내체육관), 1-3, 10151450105
109111600700공항버스

1 개요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운행하였던 시내버스. 삼학도에서 출발하여 목포역, 시청, 갓바위(향토문화관), 하당초원APT, 우성APT, 비파APT, 부영APT를 거쳐 영산호 휴게소까지 운행하였다.

2 역사

노선 초기에는 하당신도심 1단계만 조성된 상태[1]라 원뚝길로 운행[2]하다가 93. 1. 17일부터 부영 1, 2차 쪽 길로 다녔다.

96년 8월 5일부터는 교육청-현 갓바위 터널-향토문화관(현 목포문학관) 간 도로 확포장 및 갓바위터널 신설 공사로 인해 약 2년간 도로가 폐쇄되어 향토문화관까지 들어간다음에 회차하여 제일중학교앞을 지나 하당입구 광장주유소 초원, 우성, 비파, 근로자복지아파트를 운행하기도 하다가 도로 완공으로 노선이 복귀되었다. 90년대 후반들어 노선 굴곡 및 중복 그리고 적자운행으로 인해 노선 폐지나 단축 변경 등이 논의되어 왔다.

목포시 의회에 남은 기록에 따르면 영산호휴게소까지의 운행도 노선 인가는 하당지역까지만 나 있었으나, 이용객 편의상 영산호휴게소까지 운행하였던 듯 하다. 결국 2000년 들어 영산호휴게소 구간이 단축되어 부영1차아파트까지만 운행하다가, 노선중복 및 적자로 인해 5번과 함께 폐지위기로 몰렸다가 2000년 11월 6일 노선 개편 때 폐지되었다.

3 특징

소풍철만 되면 나불도로 가는 이 노선에는 105번과 함께 소풍가는 학생들로 미어터지는 사태가 벌어지곤 했다. 80년대 출생 목포지역의 학생들에게는 105번이나 이 노선을 타고 나불도 소풍가던 추억악몽이 누구에게나 있을것이다.

여기서 포인트는 영산호휴게소(나불도)... 소풍 갈 만한 곳이 부족했던 90년대에는 목포시의 초중고등학교들이 봄 소풍과 가을 소풍 중 적어도 한 번은 으레 나불도로 갔기 때문에-물론 학생들 입장에서는 나불도 소풍은 제일 안 가고 싶은 곳이었겠지만.

4 연계 철도역

2000년 11월 폐선 당시 기준이다.

  • 일반 철도역 : 목포역(새마을호, 무궁화호, 통일호)
  1. 당시 꿈동산신안아파트와 부영아파트 앞 길 너머는 바다였다.
  2. 꿈동산신안2차아파트 ~ 꿈동산신안1차아파트 ~ 하당현대아파트 ~ 부영3차아파트 ~ 부영5차아파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