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버스 2

목포시 시내버스
간선버스1291313-13030-1
지선버스610206061112
도심순환버스3715
외곽연계버스108119130150
시내좌석버스200300500800900
폐선된 노선1(실내체육관), 1-3, 10151450105
109111600700공항버스


출처

1 노선 정보

목포시 간선버스 2번
기점전라남도 목포시 석현동(석현동)종점전라남도 목포시 석현동(석현동)
종점행첫차05:50기점행첫차-
막차22:30막차-
평일배차16분주말배차16분
운수사명유진운수, 태원여객인가대수?대
노선석현동 - 호반리젠시빌 - (→ 성신고 →) - 향도여중 - 목포종합버스터미널 - 목포과학대학교 - 용당광장 - 용해주공2단지 - 목포시청 - 산정동주민센터 - 대성동우체국 - 목포여고 - 목포역 - YMCA → 상공회의소 → 목포항 → 구.제일은행 → YMCA → 이후 역순

2 개요

목포시 간선버스 노선 중 하나.

3 역사

노선의 큰 변화없이 운행하여 오다가 2007년 3월 대개편 때 해양대-여객선터미널 구간이 잘려나가 석현동을 출발하여 목포역->상공회의소->여객선터미널->목포역 구간을 한바퀴 돌아 석현동 방향으로 돌아가는 형태로 운행하다가, 4월 수정 개편 때 원상복구 되었고, 2008년 이후 양을산터널과 그 접속도로가 개통되며 상동지구에 들어갔다가 항도여중입구에서 U턴하여 터미널 쪽으로 다시 나오던 것이 하던것이[1] 양을산터널 접속도로를 이용하여 돌아나오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이전에는 좁은 곳에서 갑작스럽게 회차하는데 따른 안전 문제도 있었고, 들어간 길 그대로 나오다보니 양방향의 노선이 모두 한 정류장에 정차하게되 생기는 혼동과 도로 혼잡 등의 문제가 있었던 데다가 막다른 길이었던 해당 위치가 양을산터널 가는 길(양을로)로 가는 접속도로가 생겨나며 여러방향의 차량들이 섞이게 되자 그 위치에서 유턴하는데에는 무리가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같은 방식으로 돌아나오던 6번112번 역시 같은 형태로 변경되었다. 2011년 4월 현재 편도운행 소요 시간은 49분 1일 운행횟수는 70회 배차간격은 13분간격, 운행시간은 05:50 ~ 22:30이다. 2013년 9월 현재 공식 배차간격이 16분으로 늘어났다. 그리고 2012년 고시된 제2차 목포시 대중교통계획에 의하면 유달산 구간을 단축하고 남악신도시로 연장예정이었으나 아직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2016년 5월 버스 개편 때 해양대~수협 구간이 폐지되고 상공회의소에서 여객선터미널, 항동시장 쪽으로 해서 회차하는 노선으로 바뀌었다.

4 특징

1번 노선이 담당하는 남서-북동 축의 보조 간선이다. 1번 노선과 기종점도 같고, 선형도 비슷하나 중간중간 1번이 운행하는 구간을 벗어나 1번이 경유하지 않는 상공회의소->구 조흥은행 구간(해양대방향만 운행), 목포여고-동초교-시청구간, 상동지구 및 항도여중 등을 경유한다.

보조간선이지만 16~7분의 괜찮은 배차간격을 띄며, 2011년 2월 간선도색의 저상버스 도입이 늦어지며 임시로 지선 도색의 저상차량이 투입되었다가, 2011년 6월에 와서야 간선 차량이 무려 3대나 투입되었다. 야! 신난다~ [2]

주중에는 63회, 주말에는 54회 운행한다.

종점도 석현동으로 나와있지만, 실질적 종점은 목포항이다.

5 연계 철도역

  • 일반 철도역 : 목포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1. 이 쪽 동네 길이 막다른 길이었다. 더 정확히 말하면 대형차량이 못 가는 길이 있기는 하다. 지금의 석현동 구간 길이 없던 한국전쟁 즈음만 하더라도 이곳이 서울가는 길이었다.
  2. 기존 지선도색 저상차량은 20번에 투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