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紫 式部
한국식 한자 발음은 "자 식부"
일본 헤이안시대의 궁녀로, 소설가이자 시인이기도 하다. 한시적으로 발행했던 2,000엔 지폐의 도안 인물.
주요 작품으론 겐지모노가타리, 무라사키 시키부 일기가 있다.
'무라사키 시키부'는 엄밀히 말해 본명이 아니다. 성은 후지와라였으며, 이름은 불명. 궁중에서는 '후지 시키부'라고 불렸다고 한다. '시키부'는 그녀의 아버지의 관직이고, '무라사키'는 겐지모노가타리의 히로인 무라사키노우에에서 따왔다는 설이 유력하다.[1]
학자 집안에서 태어나, 어깨 너머로 배운 것이 남동생보다 뛰어났다고 한다.[2] 하지만 여자가 학재가 뛰어나면 여자답지 못하다고 여겨진 시대 풍조상 내성적이고 겸손한 성격이 되었다고 여겨진다. 일기에서 동시대의 여문인인 세이 쇼나곤이 학문을 자랑한다고 비난하기도 했다.
섭관시대 최고의 권력을 누린 후지와라노 미치나가가 딸 쇼시를 중궁으로 들이면서, 세이 쇼나곤 등 당대의 재녀들을 시녀로 모은 형의 딸 황후[3] 후지와라노 테이시에게 밀리지 않기 위해 무라사키 시키부를 쇼시의 시녀로 초빙한다. 이 쇼시를 섬기면서 쓴 것이 겐지모노가타리. 겐지모노가타리가 막 쓰여졌을 무렵에는 중궁과 다른 궁녀들 앞에서 구연되었는데, 천황도 함께 들으면서 쇼시의 처소에 뻔질나게 드나들게 되었기 때문에 그것을 노린듯(…)
본인뿐 아니라 딸 다이니노 산미도 입궁해 시인으로 유명해졌다.
《한니발 라이징》 소설에 한니발의 일본인 숙모는 이 항목에서 이름을 따왔다.
문명 5에서는 위대한 작가 위인의 이름에 포함되어 있는데...여성 위인용 얼굴이 없어서 남자 얼굴로 나온다(...).OME![4]
1.1 백인일수
백인일수 | ||||
덴지 덴노 | 지토 덴노 | 가키노모토노 히토마로 | 야마베노 아카히토 | 사루마루노 다이후 |
오토모노 야카모치 | 아베노 나카마로 | 기센 법사 | 오노노 코마치 | 세미마루 |
오노노 다카무라 | 승정 헨조 | 요제이 덴노 | 미나모토노 토오루 | 고코 덴노 |
아리와라노 유키히라 | 아리와라노 나리히라 | 후지와라노 도시유키 | 이세 | 모토요시 친왕 |
소세이 법사 | 훈야노 야스히데 | 오에노 치사토 | 스가와라노 미치자네 | 후지와라노 사다카타 |
후지와라노 다다히라 | 후지와라노 가네스케 | 미나모토노 무네유키 | 오시코치노 미쓰네 | 미부노 다다미네 |
사카노우에노 고레노리 | 하루미치노 쓰라키 | 기노 도모노리 | 후지와라노 오키카제 | 기노 쓰라유키 |
기요하라노 후카야부 | 훈야노 아사야스 | 우콘 | 미노모토노 히토시 | 다이라노 가네모리 |
미부노 다다미 | 기요하라노 모토스케 | 후지와라노 아쓰타다 | 후지와라노 아사타다 | 후지와라노 고레타다 |
소네노 요시타다 | 에교 법사 | 미나모토노 시게유키 | 오나카토미노 요시노부 | 후지와라노 요시타카 |
후지와라노 사네카타 | 후지와라노 미치노부 | 후지와라노 미치쓰나의 어머니 | 다카시나노 기시 | 후지와라노 긴토 |
이즈미 시키부 | 무라사키 시키부 | 다이니노 산미 | 아카조메에몬 | 고시키부노 나이시 |
이세노 다이후 | 세이 쇼나곤 | 후지와라노 미치마사 | 후지와라노 사다요리 | 사가미 |
승정 교손 | 스오노 나이시 | 산조 덴노 | 노인 법사 | 료젠 법사 |
미나모토노 쓰네노부 | 유시 내친왕가의 기이 | 오에노 마사후사 | 미나모토노 도시요리 | 후지와라노 모토토시 |
후지와라노 다다미치 | 스토쿠 덴노 | 미나모토노 가네마사 | 후지와라노 아키스케 | 다이켄몬인노 호리카와 |
도쿠다이지 사네사다 | 후지와라노 아쓰요리 | 후지와라노 도시나리 | 후지와라노 기요스케 | 슌에 법사 |
사이교 법사 | 자쿠렌 법사 | 고카몬인노 벳토 | 쇼쿠시 내친왕 | 인부몬인노 다이후 |
구조 요시쓰네 | 니조인노 사누키 | 미나모토노 사네토모 | 아스카이 마사쓰네 | 승정 지엔 |
사이온지 긴쓰네 | 후지와라노 사다이에 | 후지와라노 이에타카 | 고토바 덴노 | 쥰토쿠 덴노 |
제 57 번 무라사키 시키부(紫式部)めぐりあひて 見しやそれとも わかぬまに / 雲がくれにし 夜半の月かな
메구리아이테 미시야소레토모 와카누마니 / 쿠모가쿠레니시 요와노츠키카나
우연히 만나[5] 보았는가 아닌가 모르는 새에 / 구름이 껴버리는 밤중의 달이던가
- 6-7-5-7-7의 구성으로 처음에 한 글자 많다. 와카로 분류되며 백인일수의 유명한 시 중 하나.
- 풀이하면 "(나는 너를) 우연히 봤는데, (너는 나를) 본 건지 못 본건지... 이건 뭐 구름 낀 날에 달을 보려는 것과 마찬가지구나. (보려고 하면 너는 구름 뒤에 숨어버리는 구나.)" 정도. 소꿉친구(로 추정)를 소재로 하고 있으나 무라사키도 그렇고, 그 소꿉친구도 중급귀족[6] 출신의 궁정쪽 여인이라 허락없이 자유롭게 대면하지 못하고 스쳐 지나가야만 하는 것을 안타깝게 여기며 읊은 시라고 볼 수 있다.
2 紫SHIKIBU
2008년 기획성으로 결성된 일본의 유닛으로, 개그맨인 세계의 나베아츠가 친분있는 중견 개그맨들을 모아 만들었다. 이름의 유래는 당연히 1이며, 80년대 아이돌인 히카루GENJI를 본따 만들었다.
일단은 히카루GENJI의 패러디 유닛이기때문에 싱글을 내는등 음악활동을 하긴하지만, 소속되어있는 멤버가 전부 개그맨인지라 음악이 섞인 개그활동이라고 하는게 맞을듯 하다.
롤러스케이트를 타며 활동한 히카루GENJI와는 달리 죽마를 타고 노래를 부르는등의 기행을 벌이고 있다.
2.1 멤버구성
멤버 구성역시 히카루와 GENJI로 나뉜 히카루GENJI처럼 무라사키와 SHIKIBU로 나뉜다. 나누는 구분은 자식의 유무.(…)
- 무라사키 (자식있음)
- SHIKIBU (자식없음)
- ↑ 실제로 무라사키 시키부 일기에 한 귀족이 그녀를 '무라사키노우에'라고 부르는 장면이 있다.
- ↑ 한문과 가나 문장 양쪽을 다 쓸 수 있었다.
- ↑ 보통 중궁과 황후는 같은 사람을 가리키지만, 미묘하게 다르다. 후지와라노 테이시는 황후였고 쇼시는 중궁이었는데 쇼시가 약간 우위로 여겨졌다. 이는, 형 미치타카가 죽은 뒤 미치나가가 데이시의 오빠와 권력투쟁에서 승리한 뒤 최고권력자로서 자기 딸을 시집보냈기 때문이다. 비록 자식까지 낳은 황후 데이시였지만, 뒤를 봐줄 아버지나 남자 형제가 없는 상태였고, 반대로 쇼시의 경우 당대 최고의 권력자가 아버지였지만 이미 황후가 있었다. 이로 인해 이전까지는 중궁=황후였으나, 이 때 중궁과 황후를 나누어 쇼시를 중궁으로 앉힌 것이라 한다. 당연히 아버지가 미치나가였던 쇼시 쪽이 더 우위.
- ↑ 이건 잔 다르크, 히파티아, 마리 퀴리 등 다른 여성 위인들도 마찬가지다.
- ↑ 巡り会う(메구리아우, (운명이) 돌다가 만나다)라는 단어 자체가 마땅한 직역이 없다.
- ↑ 먼저 언급되어 있듯, 무라사키 시키부도 후지와라 귀족가문의 자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