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가와라노 미치자네

菅原 道真
(845년 ~ 903년)

1 생애

일본 헤이안시대의 문인이자 정치가.

헤이안시대 제일가는 천재라고 칭송받은 인물이다. 격은 낮지만 학자가문인 스가와라 가에서 태어나[1] 신분적 한계를 극복하고 재상급인 우다이진(우대신:右大臣)까지[2] 올랐다.

그러나 당시 헤이안 시대는 후지와라 일족이 대대로 왕의 외척의 지위를 차지하고 권세를 휘두르던 때였기 때문에 격이 낮은 귀족으로 우대신이 된 그는 후지와라 일족의 음해를 많이 받았다. 게다가 그는 당시 일본의 정치체제의 근간이었던 율령제를 유지하기 위해 여러가지 개혁을 시도했는데 이것이 기득권의 이익과 직결되는 문제였기 때문에 반발에 부딪혔고 결국 쇼타이의 변(昌泰の変)으로 불리는 사건으로 좌천되었다. 게다가 덴노와도 사이가 좋지 못했다. 사실 처음에 그를 발탁한 인물은 우다 덴노(宇多天皇)[3]였는데 그가 자신의 아들에게 양위하여 태상황이 되고나서도 미치자네의 배경이 되어주었다. 그러나 우다의 아들 다이고 덴노(醍醐天皇)는 미치자네를 시기하던 후지와라노 토키히라(藤原時平)를 신임하여 미치자네를 멀리 했다. 이 상황에서 기회가 왔다고 판단한 토키히라의 참소를 당해 다자이곤노소치(大宰権帥)[4][5]직으로 내쳐져 중앙정치에서 추방당한다.[6] 거의 유배당하다시피 한 그는 수도에서 먼 오늘날의 큐슈로 좌천된 후, 한을 품고 죽었다.[7]

견당사(遣唐使)를 폐지시킨 인물이기도 하다. 정확하게는 전에 하던 대로 견당사를 보내려고 계획이 894년에 있었는데(미치자네 본인이 견당사로 뽑혔다) 당시 당의 국세가 거의 막장으로 치닫고 있는 것을 보고 미치자네가 나서서 "이번에는 가지 맙시다"라며 계획을 취소시켰던 것을 그대로 아주 안 보내게 되면서(그리고 907년에 당이 멸망하면서) 자연스럽게 폐지되다시피하게 된 것. 이 조치는 그때까지 일본에서 만연하던 당풍(唐風, 중국풍) 문화가 국풍(國風, 일본풍) 문화로 교체되어 일본 고유의 독자문화를 꽃피우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일본 육국사의 하나인 일본삼대실록(日本三代實錄)을 편찬하는데 관여한 인물이기도 하다. 또한 그가 지은 류취국사(類聚國史)는 일본 역사뿐 아니라[8] 한국사 연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 발해를 언급하면서 "그 주민은 말갈이 많고 토인(土人)[9]이 적다"고 한 기록이 대표적. 이는 소수의 고구려 유민이 다수의 말갈인을 지배하는 발해 국가의 모습을 그리게 하는 주요 사료가 된다.

낮은 신분으로부터 실력으로 높은 지위에 올랐고, 재능이 뛰어났지만 시대의 한계에 부딪쳐 뜻을 이루지 못하고, 사후 학문을 관장하는 신(또는 신적 존재)으로써 숭배받았다는 점에서 신라 시대의 최치원과 비교되기도 한다.당으로 유학하지 않았다는 점은 분명히 다르지만

2 사후

여기서 끝났다면 그저 정치의 억울한 희생자 정도로 여겨지고 말았겠으나[10] 그 뒤에 일어난 일들이 문제였다. 그가 죽고 나서 일본에는 대규모 역병과 각종 자연재해가 연달아 일어났고 심지어 930년 7월 24일에는 대낮에 덴노의 궁궐인 헤이안쿄 청량전[11]에 천둥벼락이 쳐서 많은 신료들이 죽거나 중상을 입는 전대미문의 사태가 일어났다.[12] 심지어는 미치자네를 음해했던 토키히라 집안이 본인을 비롯해 자식손자에 이르기까지 전부 잇달아 요절했는데 토키히라의 딸이 다이고 덴노의 후비였기 때문에 이는 곧 다이고 덴노의 황태자와 황태손도 요절했다는 것을 의미했다. 이런 사건까지 일어나면서 이것이 미치자네의 원령이 복수하는 거라는 공포가 귀족사회에 밀려들 수 밖에 없었다.[13][14] 이 공포감이 극에 달한 나머지 조정에서는 미치자네를 규슈로 추방한 내용을 담은 칙서를 불태우고 그에게 우대신 관직을 돌려주는 등의 조치까지 취했으나 그 이후에도 흉흉한 일이 이어졌고 다이고 덴노는 두려움에 시달리다 세상을 떠났다.[15]

이 같은 연유로 죽은 뒤 억울함 때문에 원령이 되었다고 여겨지면서[16] 후지와라 가문은 헤이안시대 내내 그를 두려워 했고 그의 원혼에 관련한 무수한 일화가 생겨났다. 사후 100년 뒤 미치자네의 원한이 정화되었다고 여겨지고 나서부터는 원령이 아니라 학문의 이자 뇌신으로서 숭배되어 현재의 텐신(天神) 신앙이 되었다. 역설적이게도 그를 신격화시킨 이들이 후지와라 가문이었다.[17] 그리고 그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미치자네의 손자 스가와라노 후미토키(菅原文時)를 문장박사로 복권시킬 수밖에 없었다. 음양사로 유명한 아베노 세이메이의 스승이자 본인도 고명한 음양사였던 카모노 타다유키의 아들 중 한 명은 후미토키의 수제자 중 한 명이 되었다.

현대 일본에서는 그를 학문의 신으로 모시기 때문에 입시철이 되면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를 모신 신사는 그야말로 북새통을 이룬다. 이해가 잘 안 간다면 우리나라의 갓바위를 떠올리면 된다. 미치자네를 모신 신사의 주 수입원은 입시철에 팔리는 오마모리[18]에마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를 모시는 신사 중 특히 큐슈에 있는 다자이후덴만구(太宰府天滿宮)와 교토에 있는 기타노덴만구가 유명하다. 다자이후덴만구에는 매화나무가 매우 많은데 교토에서 다자이후로 좌천될 때 스가와라노 미치자네의 덕과 학문을 흠모한 매화들이 날아와서 그렇다고 한다. 이것이 비매(飛梅)라 부른다. 일설에는 스가와라노 미치자네가 죽었을 때 그 원한과 억울함이 깊어서 운구하던 소가 그 자리에서 움직이지 못했다고 한다. 덕분에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를 모신 다자이후 텐만구를 비롯해 그 외에 신사에 가보면 동상이 많다. 아픈 사람은 자신의 아픈 곳과 같은 소의 부위를 만지면 병이 낫고 머리나 을 만지면 지혜롭게 된다고 한다.

타이라노 마사카도의 난에도 미치자네가 개입되어 있다는 이야기도 존재한다. 타이라노 마사카도가 간토 땅에서 신황(新皇)을 자처하게 된 계기가 하치만 대보살의 사자를 자처하는 한 무녀가 나타나 "마사카도에게 일본의 덴노의 지위를 내리신다는 하치만 대보살의 뜻을 받들어 스가와라노 미치자네가 그 내력을 전한다"고 신탁을 전한 것이 계기가 되었던 것. 미치자네의 셋째 아들인 카네모치(兼茂)라는 인물이 타이라노 마사카도의 영지 가까운 히타치의 지방관을 지냈던 것도 있고, 타이라노 마사카도의 아버지 요시마사가 살던 도요타군 인근의 마카베군에 미치자네의 아들인 가게유키(景行)라는 인물이 살았으며 마사카도의 동생인 마사히라에게 학문을 가르쳤던 적도 있으며 가게유키는 이후 마사카도의 숙부인 요시카네와 함께 자신이 살던 지역에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를 모시는 신사를 짓기도 하는 등 마사카도 집안과 여러 모로 연줄이 있었던 모양. 메이지 시대에는 아예 스가와라노 미치자네의 환생이 타이라노 마사카도였다라는 이야기까지 나올 정도였다.전생과 현생을 이어 전개되는 장대한 보복극의 서사시

3 백인일수

백인일수
덴지 덴노지토 덴노가키노모토노 히토마로야마베노 아카히토사루마루노 다이후
오토모노 야카모치아베노 나카마로기센 법사오노노 코마치세미마루
오노노 다카무라승정 헨조요제이 덴노미나모토노 토오루고코 덴노
아리와라노 유키히라아리와라노 나리히라후지와라노 도시유키이세모토요시 친왕
소세이 법사훈야노 야스히데오에노 치사토스가와라노 미치자네후지와라노 사다카타
후지와라노 다다히라후지와라노 가네스케미나모토노 무네유키오시코치노 미쓰네미부노 다다미네
사카노우에노 고레노리하루미치노 쓰라키기노 도모노리후지와라노 오키카제기노 쓰라유키
기요하라노 후카야부훈야노 아사야스우콘미노모토노 히토시다이라노 가네모리
미부노 다다미기요하라노 모토스케후지와라노 아쓰타다후지와라노 아사타다후지와라노 고레타다
소네노 요시타다에교 법사미나모토노 시게유키오나카토미노 요시노부후지와라노 요시타카
후지와라노 사네카타후지와라노 미치노부후지와라노 미치쓰나의 어머니다카시나노 기시후지와라노 긴토
이즈미 시키부무라사키 시키부다이니노 산미아카조메에몬고시키부노 나이시
이세노 다이후세이 쇼나곤후지와라노 미치마사후지와라노 사다요리사가미
승정 교손스오노 나이시산조 덴노노인 법사료젠 법사
미나모토노 쓰네노부유시 내친왕가의 기이오에노 마사후사미나모토노 도시요리후지와라노 모토토시
후지와라노 다다미치스토쿠 덴노미나모토노 가네마사후지와라노 아키스케다이켄몬인노 호리카와
도쿠다이지 사네사다후지와라노 아쓰요리후지와라노 도시나리후지와라노 기요스케슌에 법사
사이교 법사자쿠렌 법사고카몬인노 벳토쇼쿠시 내친왕인부몬인노 다이후
구조 요시쓰네니조인노 사누키미나모토노 사네토모아스카이 마사쓰네승정 지엔
사이온지 긴쓰네후지와라노 사다이에후지와라노 이에타카고토바 덴노쥰토쿠 덴노
제 24번 칸케(菅家)

このたびは ぬさもとりあへず 手向山 / もみぢのにしき 神のまにまに
코노타비와 누사모토리아에즈 타무케야마 / 모미지노니시키 카미노마니마니
이번 여정은 누사[19]를 준비 못하고 타무케야마[20] / 단풍으로 짠 비단 신이 내키는 대로

  • 5-8-5-7-7의 형태로 중간에 1글자 더 끼었다.
  • 여행을 떠나기 위해 안전을 보장받고자 타무케야마노카미에게 먼저 기도하고 가려 했으나 깜빡하고 누사를 준비하지 못해서 주변의 괜찮은 단풍이라도 주워다 바치니 넓은 도량으로 좀 봐주십쇼, 하는 내용이다. 스가와라노 미치자네가 우다(宇多) 전(前)덴노의 명을 받아 요시노 미야타키(吉野の宮滝, 나라현)에 다녀오다 아름다운 단풍을 보고는 이 정도면 신에게 바칠거리로도 무방하겠다는 의미로 지었다고 한다.

4 대중문화 속의 미치자네

유메마쿠라 바쿠의 음양사(소설)을 원작으로 한 오카노 레이코[21]의 동명의 만화에서 꽤 출연빈도가 높은 원령 멤버로 등장한다. 걸핏하면 나타나서 여기저기 벼락을 때리는 데 이것은 그가 뇌신이기도 하다는 것을 반영한 것이다.[22][23] 1권에 보면 처음 등장한 미치자네의 원령 옆에 고통받는 조정대신의 영혼이 나오는데 바로 그를 음해한 토키히라다.[24] 초기 해적판 번역에서는 이름이 이상하게 나와서 알아보기 힘들지만. 다만 읽어보면 은근히 개그스런 면모도 없지 않다.[25]

마찬가지로 음양사를 소재로 하는 음양의 도시에서 손자인 스가와라노 후미토키가 등장한다. 뭐, 주인공이 수제자인 요시시게 야스타네다보니.

만화고스트 스위퍼》헤이안 편에서는 천신으로 추앙되면서 선의 미치자네와 악의 미치자네로 나뉘어졌다고 한다. 전자는 아군, 후자는 적군으로 나온다.피콜로잖아

세가와 타카쓰구의 《암야귀문》에서, 주인공 나쓰키의 조상으로 모함을 받아 좌천되어 억울하게 죽은 후 벼락신이 된 기타노 대감은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를 모티브로 한 인물로 여겨진다. 어차피 《암야귀문》이라는 작품 전체가 유메마쿠라 바쿠의 《음양사》의 번안(?)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암야귀문의 주인공인 나쓰키에 해당하는 실존인물 미나모토노 히로마사와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는 혈연상 아무 관계가 없다. 오히려 히로마사는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를 좌천시킨 후지와라노 토키히라의 외손자이므로 미치자네의 입장에서는 원수의 자손으로밖에 보이지 않을듯.[26]

동방도명수의 최종보스 마가하라 미타마의 모티브이다.

징기스칸 4에서는 일본문화권 출신이 아닌 국왕이 다자이후를 점령하고 다자이후에 주둔하면 이 유적과 스가와라노 미치자네에 대해 이야기하고 국왕의 정치력을 올려주는 이벤트가 나온다. 고려 뿐만 아니라 국왕이 일본문화권만 아니면 된다.

진 여신전생 4에서는 영적국방병기라는 타이틀의 강력한 악마로 등장
도쿄에 큰 영향력이있는 조직인 아수라회의 우두머리 타야마의 권속중 하나로 등장한다.
뇌신이라는걸 반영해서 그런지 일본 갑주의 빈부분에 푸른 전기가 일렁이고 있는게 특징
활을 들고 있어서 그런지 총 계열 기술을 배울뿐만 아니라 오딘의 전용기인 진리의 번개를 가지고있다.
오딘 지못미...

노라가미에 등장하는 신인 텐진이 바로 이 사람이다.
  1. 스가와라 가는 노미노스쿠네를 시조로 하는 하제 씨에서 비롯된 가문이다. 故 최인호의 소설 제4의 제국에서는 노미노스쿠네가 살았다고 알려진 땅이 가야계 스에키 토기가 발견되는 옛 금관가야인의 주거지로, 스가와라노 미치자네 역시 하제 씨의 후손으로 가야인의 피를 잇고 있을지도 모른다고 추정하기도 했지만 신라사부로 떡밥과는 달리 그렇게 이슈가 되지는 않았다.
  2. 우리나라로 치면 우의정 정도이다. 게다가 헤이안시대 일본은 오를 수 있는 관직과 관위가 타고난 신분에 따라서 거의 결정되기 때문에 낮은 신분은 아무리 애를 써도 고위 관직에 오를 수 없던 때이다. 한마디로 시대의 한계를 넘어선 엄청난 인물. 그러나 그 대가가 너무 비쌌다.
  3. 드물게 후지와라 가문의 어머니를 두지 않은 덴노였다.
  4. 지금의 큐슈(九州)일대를 관장하는 태재부(太宰府)의 장. 하지만 권(権)은 외부에서 들어온 인사에게 해당하는 직책이기 때문에 다자이노소치(大宰帥)보다 한 계급 아래이다.
  5. 우대신과 비교하면 10계급이나 강등당한 셈
  6. 아버지 우다 상황이 이를 반대하며 아들 덴노에게 면담을 청했는데 만나지도 않았다.
  7. 그런 중에서도 사서를 짓고 금욕하며 시를 지으며 자신을 위로한 점도 대단하다.
  8. 일본육국사의 하나인 일본후기에 빠진 부분은 류취국사를 통해 메꾸곤 한다.
  9. 문맥상 고구려 유민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한규철은 말갈을 알려진 여진(및 만주족)이 아닌 고구려 지방민에 대한 비하적 호칭이라고 보는 견해에서는 토인을 사인(士人)의 오기라고 해석하기도 했다.
  10. 그를 부정적으로 보는 견해도 없지는 않아서, 후지와라노 토키히라를 좌대신으로 중용한 것은 그를 내세워 후지와라 일족의 전횡을 막아보려는 뜻이었는데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는 그런 덴노의 뜻도 몰랐으니 그야말로 진짜 헛똑똑이일 뿐이라고 본 견해도 있기는 하다.
  11. 우리로 치면 대낮에 경복궁 근정전(!)에 날벼락이 떨어진 격이다.
  12. 이 사건이 훗날 미치자네가 뇌신이 되었다는 민간신앙의 바탕이 되었다.
  13. 본인과 자손이 이렇게 거의 전멸하다시피 한 바람에 토키히라의 집안은 거의 몰락했고 그의 동생인 타다히라가 후지와라 일족의 주도권을 잡게 되었다. 토키히라의 살아남은 자손들도 언제 미치자네의 원혼에 살해당할지 모른다는 불안감을 안고 살았다고 한다. 만화 음양사에서도 이와 같은 묘사가 등장한다.
  14. 다만 토키히라 본인은 벼락이 떨어져 다들 놀라고 있는 와중에도 칼을 빼들고 하늘에 겨눈 채 "너(스가와라노 미치자네)는 살아 있었을 때도 나보다 관직이 낮았고, 지금 벼락신이 되었다 해도 이 지상에 내려온 이상은 지상에서의 상관인 내게 예를 표하는 것이 당연한데 이게 무슨 짓이냐?"라고 일갈했고 그러자 신기하게도 벼락이 멎었다고.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소설 '시게모토 소장의 어머니'에서도 이 일화가 등장한다.
  15. 민간설화에 따르면 어떤 귀족이 죽었다가 되살아났는데 저승에 갔을 때 다이고 덴노는 지옥에 떨어져 고통당하고 있었고 미치자네는 자신의 피눈물로 일본을 잠기게 하겠다면서 분노를 토해내고 있었다고 한다. ㄷㄷㄷ
  16. 덕분에 일본삼대원령 중 하나로 꼽히기도 한다. 다만 다른 두 원령들과는 달리 나중에 원한이 정화되어 신이 되었다고 여겨지기에 일본원령계의 뉴페이스 아마쿠사에게 자리를 넘겨줘야되는 거 아니냔 의견도 있다.
  17. 단,이 후지와라 일족은 미치자네를 모함한 후지와라 일족과는 계파가 좀 다르다.
  18. 신토의 부적.
  19. 신토에서 신에게 빌기위해 사용하는 기다란 종이나 천. 대략 탄자쿠와 비슷하다.
  20. 타무케야마노카미. 여행의 안전을 비는 신.
  21. 만화의 신으로 알려진 데즈카 오사무의 며느리다.
  22. 머리가 아프로마냥 뻗쳐 있는데 이것도 뇌신임을 반영한 설정인듯.
  23. 그래도 학문의 신이라는 설정은 어디 안 가서 2권에서 "넌 저기 찌그러져서 훌쩍거리면서 시나 읊고 있으라"는 원령의 말에 발끈해 "학문을 깔보니까 같은 편끼리 싸우는 게 허망한 짓인줄 죽어서도 모르는 거지"라고 까기도 한다.
  24. 청룡이 한쪽 귀로 들어가 다른 쪽 귀로 뚫고 나와 있다.
  25. 작중 궁중 와카 시합에 미나모토노 히로마사가 우방측 멤버로 나간다는 이야기를 듣고 딱 봐도 우방이 지겠다는 마쿠즈에게 "그치만 우방이 이긴다면 어떨까? 내가 붙으면 그 쪽은 다 이기게 돼 있거든"라고 했다가 "좌수가 양이고 우수가 음인데 음인 당신이 어떻게 음에 붙냐. 그리고 당신 원래 토키히라 핏줄 싫어하는 거 아니었냐."라는 마쿠즈의 도발에 넘어가서 "아 내가 붙으면 그쪽이 무조건 다 이긴다니까!"라며 마쿠즈의 (와카 시합의 승패가 걸린) 바둑 두기 내기 제안에 응한다.
  26. 음양사에서도 토키히라의 자손이라며 격노하는 미치자네를 보고 아베노 세이메이가 급히 손을 쓰는 부분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