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플스토리의 솔로/협동 플레이 컨텐츠 | |||
고스트 파크 | 군단장 침공전 | 기계무덤 일일 퀘스트 | 네트의 피라미드 |
더 시드 | 디멘션 인베이드 | 드림 브레이커 | 몬스터 파크 |
무릉도장 | 상인단 일일 퀘스트 | 소멸의 여로 일일 퀘스트 | 이볼빙 시스템 |
크리티아스 일일 퀘스트 | 타락한 세계수 일일 퀘스트 | 파티 퀘스트 | 현상금 사냥꾼 |
1 개요
메이플스토리의 보스 컨텐츠. 각 층마다 마스터 몬스터나 보스 몬스터가 등장하여 이들을 격파하여 최종층까지 도달하는 것이 목적이다.
줄여서 무릉,또는 무도라고 부르기도 한다. 무한도전이 아니다
2 상세
무릉 마을에서 이동하거나 여러 마을의 빠른 이동, 차원의 거울을 통해서 올 수 있는 105레벨부터 참여할 수 있는 랭킹 컨텐츠이다. 노말모드, 하드모드, 랭킹모드가 하나의 랭킹 모드로 통합이 되었고, 입문, 숙련, 통달의 3그룹으로 분리된 랭킹을 제공하도록 바뀌었다. 그룹과 직업 랭킹에 따라 상위 등수의 유저는 기존과 동일하게 강력한 장갑을 획득할 수 있고, 그 외 랭킹 백분율에 따라 용쟁호투 무릉도장 전용 상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가 제공된다.
빅뱅패치 이전에는 실제 보스/마스터 몬스터와 완전히 똑같은 스펙의 몬스터가 38층까지 나오는 방식이며 랭킹모드도 없었다. 그 옛날 처참했던 데미지 안에서 모든스펙이 일치하는 실제 보스를 잡으려니 정말로 힘들었다고 한다. 리부트 패치 이전에는 무릉도장은 레벨 120부터 도전 가능하며 노말모드, 하드모드, 랭킹모드가 있다. 이 중 랭킹 모드에서 특정 순위 안에 입성하여 23시 55분 즈음까지 순위를 유지한다면 특별한 능력치의 장갑(기간제)을 획득할 수 있어 많은 유저들이 매주 도전하려 했다.
히오메 Act 2 패치 이후 무릉도장에 데미지가 비반감으로 들어가는 참사행사가 벌어졌다...
2.1 RE:BOOT 패치 이전
총 47층, 40라운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층마다 마스터 몬스터나 보스 몬스터가 한 마리씩 등장한다. 다섯 라운드마다 몬스터가 나오지 않는 쉼터 층이 하나씩 있으며 이 무릉도장의 최종보스는 무공(!)이며 가장 인기 있는 모드는 랭킹 모드이다. 그만큼 가장 어려우며 웬만한 스테이터스 공격력으론 클리어가 불가능하다.[1] 랭킹모드의 기록은 각 월드마다 1위에서 50위까지 랭킹이 있는데, 1위는 말 그대로 그 월드 내 최강자며, 보통 4, 5분대에 클리어한다. 말 그대로 괴물들인데, 이 유저들의 클리어 타임을 결정짓는건 몹의 젠 시간이었지만 언리미티드 이후로 무릉도장 내의 몬스터 젠 시간이 패치되면서 젠 타임 문제는 해결되었다.
초기에 이 랭킹모드의 톱 직업은 메르세데스와 엔젤릭버스터였다. '메르도장,' '엔버도장' 이란 말까지 있었으며, 그 뒤를 잇는 직업들은 보스전에 강한 캐릭터들이 주로 랭킹을 차지한다. 전 직업 최고의 DPS는 물론, 엘프의 회복과 포텐셜 파워+이그니스 로어의 회피율(메르세데스), 소울 시커의 막강한 데미지 및 타수(엔젤릭버스터) 등, 마치 메르세데스와 엔젤릭버스터를 위한 전용 도장이란 말도 나왔올 정도로 기록 편차가 심했으나... 언리미티드 이후로는 모두 고인이 되고 듀얼블레이드, 신궁, 제논 등이 1인자 자리를 놓고 다투게 된다.RED 이후로는 스틸 스킬로 애로우 플래터와 크로스 오버 체인을 뺏은 팬텀이 무릉도장에서 압도적인 1인자이다. 그 뒤는 플레임위자드가 바로 뒤따르고 있다. 허나 2014년 7월 테스트 서버 패치로 애로우 플래터와 크로스 오버 체인이 모두 하향되었고[2], 플레임위자드도 같이 하향[3]되었다. 이후로는 개편된 와일드헌터가 득세하게 된다. 물론 팬텀과 플레임위자드도 하향되었어도 나름 상위권이다.
하지만...
이제 위의 말들은 모두 옛날 이야기가 되었다. 2015년 3월 26일 '승' 더 시드 R 패치로 직업별 무릉이 현실화되면서 비인기직업도 무공과 소공을 딸 수 있게 된다. 특히 미하일은 클리어만 해도 장갑을 딸 수 있을 정도대신 주캐로 삼는 유저가 있어야지...깨는 사람이 없어서 직업랭킹이 허전하다..이며, 스트라이커가 은근히 기록을 뽑기 힘든 직업으로 밝혀져[4], 스트라이커의 모순점을 알려버리는(...) 바람에 캐릭터 전반의 평가를 깎아먹는 요인이 되고 있다.[5] 어쨋든 앞의 미하일 얘기에서 봤다시피 장갑 분배는 직업별 랭킹을 산출하여 그것에 의거해서만 무공과 소공을 분배하기 때문에, 패치 전까지 무릉 상위권이던 직업들은 순식간에 장갑 구경도 힘든 직업으로 추락.[6] 그 덕에 무공 시리즈만 보고 팬텀과 플위 등을 키웠던 사람들은 패치의 개념성은 인정하면서도 속으로는 죄다 멘붕하고 있다...
그 직업별 무릉을 위시한 패치의 결과로 장갑 분배 방식이 바뀌었는데, 아래는 종전 보상 체계와 더 시드 R 패치 이후의 보상이다. 사용 기한은 일주일 고정에서 랭킹 초기화 전 월요일 자정으로 변경되었다.
보상 아이템 | 기존 | 더 시드 R 패치 이후 |
영웅의 장갑 | 전체 랭킹 1위 | 전체 랭킹 1위 |
무공의 장갑 | 전체 랭킹 2위 ~ 10위 | 직업 랭킹 1위[7] |
소공의 장갑 | 전체 랭킹 11위 ~ 50위 | 직업 랭킹 2, 3위 |
그러다가 12주년 패치로 무릉도장에서 보스를 격파하면 타이머가 10초간 일시 정지되고 10초가 지나거나 다음 층으로 이동 시 타이머가 재개되도록 개선되었고 쉼터가 삭제되어 40층까지 연속적으로 진행된다. 랭킹 초기화 주기가 1일에서 1주일로 변경되며 월요일 자정에 랭킹이 초기화되고 일요일 23시부터 24시까지 랭킹합산을 위해 무릉도장 랭킹모드 이용이 제한된다.
현재 무릉 랭킹모드는 시간렉을 위시한 문제[8]가 있다. 모 블로거가 그 문제를 악용하여 문제를 일으켰고, 그 논란에 답변회피를 함으로써 자기 살을 깎아먹고 있었다. 그 결과는 바로...
2.2 RE:BOOT 패치 이후
2015년 7월 13일 REBOOT 1차 패치로 무릉도장 랭킹모드가 입장제한조치되었고 7월 23일 투입을 예정으로 개편을 실시했다. 105레벨부터 참여할 수 있으며 기존에 있던 모드가 제거되고 105Lv이상 140Lv이하인 입문, 141Lv이상 180Lv이하인 숙련, 181Lv이상인 통달의 3 그룹으로 분리된 랭킹 모드로 변경되었으며 통달 그룹은 전체 랭킹과 직업 랭킹이 분리되어 있다. 플레이 후 금주 최고 기록을 달성하게 되면 랭킹에 등록할 수 있다. 플레이 기록은 격파한 층과 누적 소요 시간으로 구성이 되며, 격파한 층이 높을수록 상위 랭킹에 올라가게 된다. 격파한 층이 동일한 경우 해당 층까지 걸린 시간이 짧을수록 상위 랭킹에 올라가고, 격파한 층과 누적 소요 시간이 동일한 경우 먼저 기록을 등록한 유저의 랭킹이 상위 랭킹으로 집계된다. 매주 일요일 오후 11시 30분부터 월요일 0시 30분까지 최종 집계가 되며 매주 월요일 자정 기준으로 랭킹이 초기화된다. 이 시간동안 용쟁호투 무릉도장에 참여할 수 없으며, 랭킹 조회와 기록 보상을 획득할 수 없다. 랭킹 초기화 이후 전주 랭킹을 기준으로 등수에 맞는 장갑과 칭호를 획득할 수 있고, 랭킹 백분율에 따라 용쟁호투 무릉도장의 상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획득하게 된다. 매 층을 격파할 때 마다 용쟁호투 무릉도장의 상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가 지급된다. 지급되는 포인트는 매 층마다 10포인트를 받게 되며, 10층, 20층, 30층, 40층을 격파할 때 추가로 100포인트씩 획득할 수 있다. 단, 포인트는 최대 10만 포인트까지 소지할 수 있다. 각 그룹별 랭킹 백분율에 따라 추가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아랫마을 패치로 용쟁호투 무릉도장에 입장 후 전투 시 기존 데미지의 1/10로 감소된 데미지가 적용되며 최대 데미지는 기존과 동일한 대신 데미지가 보정된 것에 맞추어 등장하는 보스의 체력도 감소했다[9]. 그리고 31층 ~ 39층에서 보스의 등장 방식이 변경되었는데 기존과 동일하게 33층, 36층에서는 동시에 2마리, 39층에서는 동시에 3마리가 등장하고, 등장한 보스를 모두 물리쳐야 다음 층으로 올라갈 수 있고 31층, 32층, 34층, 35층에서는 등장한 보스를 물리치면 다시 한 번 더 동일한 보스 등장하며 두 번째 등장한 보스도 물리쳐야 다음 층으로 올라갈 수 있고 37층, 38층에서는 보스가 총 3번 순차적으로 등장해서 3번째 등장한 보스를 물리쳐야 다음 층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바꿨다.
각 그룹별 순위 보상 | |||||
통달 | 숙련 | 입문 | |||
전체 랭킹 1위 | [장갑] 영웅의 장갑 [칭호] 10갑자의 내공을 가진 자 | 랭킹 1위 | [장갑] 소공의 장갑 [칭호] 2갑자의 내공을 가진 자 | 랭킹 1위 | [장갑] 도사의 장갑 [칭호] 1갑자의 내공을 가진 자 |
직업 랭킹 1위 | [장갑] 무공의 장갑 [칭호] 5갑자의 내공을 가진 자 | 랭킹 2위, 3위 | [장갑] 도사의 장갑 | 랭킹 2위, 3위 | [장갑] 견습 도사의 장갑 |
직업 랭킹 2위, 3위 | [장갑] 소공의 장갑 | - |
헌데 그 전보다 오히려 직업을 더 많이 타는 상태다. 다수기가 속사류인 팬텀이 압도적으로 유리하며[10], 그 뒤는 카이저, 제논 등이 뒤따르고 있다. 또다시 팬텀도장이 되었다 반면 1:1이 주력[11]이거나, 분당 타격횟수가 떨어지는 직업[12]들은 클리어조차 힘들다. 그 말 많은 팬텀도 6월 밸런싱에서 얼티밋 드라이브가 상향되지 않았다면 폭풍의 시를 써야 했기 때문에 클리어 범주에 들어가기 힘들었을지도 모른다. 이 직업빨은 1/10 패치로 사실상 소멸. 맥뎀 5억은 사실상 없..진 않으나 왠만하면 안 나오기 때문에 현재는 지른만큼 제 값 해준다. 5차 패치로 맥뎀이 사실상 사라져서(100억. 무릉 내에선 데미지 1/10이 붙어있으니 맥뎀 뜨려면 실제로는 1000억이 떠야 한다.) 한계치 문제는 완벽히 해결됐다.
기본적으로는 이전의 무릉도장과 같이 보스러쉬 형식을 취하며, 전부 다 잡아야 다음 층으로 진행할 수 있다.[13] 방식은 타임어택에서 15분 내 주파 형식으로 변경[14]. 10의 배수 층(= 군단장 출현 층)에서는 15초 쿨다운으로 물약사용이 가능하며, 나머지는 현행대로 물약 사용 불가. 1 ~ 20층은 이전의 그것과 같이 1:1 체제이며, 21 ~ 30층은 보스와 부하 5마리가 동시에 출현하는 체제, 31 ~ 39층까지는 1:1 주력 직업들의 헬게이트2마리 이상의 보스가 동시에 출현하는 체제이다. 그리고 40층 매그너스의 레벨은 215이기 때문에 낮은 레벨로 섣불리 도전하다가는, 팬텀이고 뭐고 MISS에 고통받다가 무릉 시간제한이 끝나므로 주의해야 한다. 통달 기준으로 추천 레벨은 215이며 이유는 알다시피 MISS 최소화 차원. 그리고 30층의 아카이럼은 3종 무효화(공무, 마무, 공반) 세트에 온갖 상태이상을 무장하고 나온다. 잠봉부터 시작해서 강제변신, 유혹, 버프해제 등을 걸어대기 때문에, 상태이상이 낮은 직업[15]들은 인내의 비약이나 링크 스킬 등으로 최대한 내성을 높이고 진행해야 한다.
3 층별 몬스터 일람[16]
자세한 정보는 여기 참고.
층수 | 라운드 | 몬스터 |
01층 | 01라운드 | 마노 |
02층 | 02라운드 | 머쉬맘 |
03층 | 03라운드 | 스텀피 |
04층 | 04라운드 | 블루 머쉬맘 |
05층 | 05라운드 | 좀비 머쉬맘 |
06층 | 06라운드 | 킹 슬라임 |
07층 | 07라운드 | 다일 |
08층 | 08라운드 | 킹크랑 |
09층 | 09라운드 | 파우스트 |
10층 | 10라운드 | 반 레온 |
여기서부터 비범함이 느껴진다
사자 아재, 요새 돈 없어서 여기 알바 뛰시나요?? 아니, 나 찾아오는 사람이 없길래 와봤지 10n층 및 41층은 전부 반감이 붙어있다.
11층 | 11라운드 | 메탈 골렘 |
12층 | 12라운드 | 엘리쟈 |
13층 | 13라운드 | 주니어 발록 |
14층 | 14라운드 | 구미호 |
15층 | 15라운드 | 데우 |
16층 | 16라운드 | 제노 |
17층 | 17라운드 | 타이머 |
18층 | 18라운드 | 포장마차 |
19층 | 19라운드 | 태륜 |
20층 | 20라운드 | 힐라 |
힐라가 하도 유저들에게 뜯기니까 돈 벌러 왔나보다
무자본 유저들의 첫번째 장벽이다. 체력이 15억인데 데미지가 10%로 감소하는 무릉도장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체력은 100억이 넘는 이지여제 이상이다!
21층 | 21라운드 | 파파픽시 + 러스터픽시 |
22층 | 22라운드 | 알리샤르 + 블랙라츠 |
23층 | 23라운드 | 데비존 + 캡틴 |
24층 | 24라운드 | 디트와 로이 + 네오 휴로이드 |
25층 | 25라운드 | 프랑켄로이드 + 미스릴 뮤테 |
26층 | 26라운드 | 키메라 + 호문스큘러 |
27층 | 27라운드 | 포이즌 골렘 + 믹스골렘 |
28층 | 28라운드 | 요괴선사 + 묘선 |
29층 | 29라운드 | 크림슨 발록 + 타우로스피어 |
보통 29층까지 격파할 수 있는지가 3루타[17]트라이팟 참가 기준이다.[18]
30층 | 30라운드 | 아카이럼 |
요새 아카이럼의 노인 기초연금이 바닥났나보다
31층 | 31라운드 | 마뇽 |
32층 | 32라운드 | 그리프 |
33층 | 33라운드 | 스노우맨 |
34층 | 34라운드 | 파풀라투스 |
35층 | 35라운드 | 교도관 아니 |
36층 | 36라운드 | 레비아탄 |
37층 | 37라운드 | 도도 |
38층 | 38라운드 | 릴리노흐 |
39층 | 39라운드 | 라이카 |
40층 | 40라운드 | 매그너스 |
나다 선생, 최근 무릉도장에서 목격되었다고 함 다수기가 부실한 직업군들은 애도 보통 10n층 몬스터는 그 위층 몬스터들과 비교해도 꽤 높은 HP를 가지고 있는데, 30층 위로는 그런 거 없다. 개체 HP는 34층부터 30층을 능가하며, 둘 이상 나오는 걸 감안하면 당장 31층부터 아카이럼의 HP를 넘어가버린다.
41층 | 41라운드 | 무공(최종보스) |
군단장 고용주
무공 검마설
4 보상
기록 순위에 따른 장갑, 칭호 보상과 랭킹 백분율에 따른 포인트 보상을 월요일 0시 30분부터 도장 내의 소공을 통해 획득할 수 있고 포인트는 도장 내에 있는 NPC 라오를 통해 원하는 물품으로 교환할 수 있다.
저자본 유저라면 무공의 명성치 보증서를 획득하는 것이 좋다. 이 보증서를 사용하면 명성치 1만이 차감되며 무공이 보증한 명예의 훈장을 얻을 수 있는데, 이 명예의 훈장은 교환이 가능하며, 개당 몇백~몇천만 메소에 팔린다. 무릉도장은 매주 월요일마다 정산을 초기화하며 순위에 따라 포인트를 주는데, 1층만 뛰어도 3000 포인트 이상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부캐나 링크캐들을 이용해 매주 1층의 마노만 격파하면 1~2주마다 수천만 메소 짜리 아이템을 여러개 얻을 수 있는 셈이다. 링크캐들 여러개를 돌리면 1~2주마다 1억 이상을 버는 것도 가능. 요구 명성치의 경우 상점에서 스폐셜 명예의 훈장도 같이 팔고 있으므로, 명성치가 부족해서 보증서를 교환하지 못한다면 조금 더 노가다를 뛰어보자.
- [의자] 무릉도장 미니어쳐 의자
- [의자] 허수아비와 함께 의자
- [소비] 무릉도장 데미지 스킨
- [장갑] 소공의 장갑
- [장갑] 도사의 장갑
- [장갑] 견습 도사의 장갑
- [소비] 무릉도장 정체불명 허리띠 상자
- [소비] 무릉도장 정체불명 장갑 상자
- [소비] 정체불명의 성향 성장 상자
- [소비] 스페셜 명예의 훈장
- [소비] 무공의 명성치 보증서
- [펜던트] 정령의 펜던트
- [입장권] 심신수련관 입장용 부적 (30분, 1시간, 3시간, 6시간)[19]
- [소비] 허수아비 소환 보따리[20]
- [소비] 에픽 잠재능력 주문서 50%
- [소비] 에디셔널 잠재능력 부여 주문서 50%
- [소비] 보급형 소울 인챈터
- [소비] 강력한 환생의 불꽃
- [기타] 주문의 흔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