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격준비를 뜻하는 말
放列. Laying. 견인포, 자주포. 박격포의 사격준비를 뜻하는 말. 쉽게 생각하면 시즈모드. 다만 표준어로는 '방렬'이 옳다.
긴급 방열, 방열, 화력정찰, 그리고 장비의 종류마다 다르지만, 방열의 일반적인 절차는 크게 3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 정찰
"정찰반"이라는 분대단위 집단이 포대가 자리잡을 곳으로 미리 정찰하여 사격 방위각을 확인한다.
2. 포반 기동
포대가 진입하여 정해진 위치에 도착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미리 정해진 사격 방위각에 가깝게 도착해야한다. 각 포반[1]이 정 위치에 도착하면 장교or부사관[2]의 지휘 하에 사격 방위각을 정밀조정한다. 견인포나, 스페이드가 달린 장비의 경우 사격방위각을 확인한 다음, 스페이드로 장비를 고정한다.
3. BL 준비
Basic Loaded라 하여, 방열 후 바로 사격할 수 있게 포탄, 장약, 뇌관, 장전봉, 방아끈 등, 사전에 준비해둔 장비를 말한다. 사격 방위각에 맞게 기동했으면, 바로 BL 장비들을 준비하여 사격 준비태세에 들어간다. 보통 여기까지를 방열이라 한다.
일반인이 생각하기에는 포는 그냥 쏘면 되지 않냐?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 상황은 스타크래프트가 아니다 위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지 않으면 몇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 포를 쏠 때마다 발생하는 반동에 의해서 포가 이동한다.
- 오래 전부터 견인포들과 대전차포는 모두 쏠 때마다 적어도 들썩들썩 거린다. 그렇기 때문에 기껏 목표물을 조준해도 쏠 때마다 재정렬을 해줘야 하는데 고정이 안되면 재정렬 시간이 길어지는데다가 사격시 반동으로 포가 튕겨나가서 사상자가 생길 수도 있다. 자주포는 고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견인포에 비하면 방열이 엄청나게 빠르지만, 그래도 수 분에서 길게는 수십 분의 시간이 소요된다.
- 탄이 멋대로 날아간다.
- 포는 개별로 사격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포대단위로 사격하는데 같은 방향을 보지 않으면 탄착군이 흐트러져서 제대로 된 효과를 보지 못한다. 특히 견인포나 자주포는 장사정 병기이므로 0.1도의 차이도 큰 오차를 만든다. 계산해보면[3] 1km에서 0.1도의 오차가 있다고 가정하면 무려1.74m의 오차가 생긴다. 겨우 이정도?라고 생각하는 분을 위해서 대충 방열해서 오차가 1도, 사거리가 15km으로 가정하면 261m의 오차가 발생한다.
- 그래서 포병은 각도를 도같이 큰 단위가 아니라 밀이라고 해서 360도=6400밀(그리고, 1밀=arctan0.001)로 정의하는 세분화된 단위를 쓴다. 게다가 방열에서 오차 범위는 2밀(105mm견인곡사포 기준)로 0.1125도가 벗어나면 간부들에게 까인다.[4] 이는 포대가 방열할때 포대가 사격목표를 1개점으로 모으는데 이는 발사할때 공기 밀도나 포의 미묘한 특성등등에 의해 탄도가 미묘한 차이를 보여 한점에 떨어지지 않고 흩어지는 상황에서 조준점이 어긋나면 명중이 불가능하다.
- 따라서 최선의 KILL ZONE을 형성하기 위해 사격점을 하나로 모으는 방향으로 포를 정렬한다. 다만 긴급 방열이나 화력정찰의 경우에는 대충계산하는 대신 빨리 쏘고 탄착점에서 유도하는 방식을 쓰기도 한다.
- 현재 좌표가 자동으로 나온다.
- 방열방향을 정하기 위해서는 적의 좌표와 포의 좌표를 알아야 하는데 적의 좌표는 전방의 아군이 알려준다지만 포의 좌표는 고정진지나 지정된 진지가 아니라면 지도상에서 알아내야 한다. (관측장교의 소양 중 하나가 지도와 쌍안경만 갖고 목표 타격지의 좌표를 따내는 것일 정도다.) 하지만 GPS를 사용하면 자동으로 좌표가 나와서 기동사격 절차 중 1단계가 생략되므로 빨라진다.
- 정확한 좌표를 알 수 있다.
- 독도법을 익힌 사람이라도 타지역으로 이동하거나 고속으로 이동해서 현재 위치를 확실하게 알지 못하면 좌표를 따는데 시간이 걸린다. 하지만 GPS로 대략의 위치를 알게 되면 헤메는 시간이 짧아진다. [5]
2 열을 내뿜는 일
放熱. 공학 부분에서 매우 중요하다. 거의 필수요소. 일단 기계가 동작하면 열이 발생하는데[6], 이 열을 빨리 배출하지 못하면 기계적으로 돌아가는 부분은 마모 및 부품변형이 발생하고, 전자적으로 돌아가는 부분은 회로와 중요부품에서 오작동이 발생하다가 불타버린다.
특히 컴퓨터에서는 방열성능이 떨어지면 부품온도가 순식간에 100℃ 찍는것도 무리가 아니다. 거기다가 과열 보호기능이 없으면 CPU가 타는 불상사가 발생한다.[7][8] CPU만 타면 다행인데 문제는 CPU 탈정도면 메인보드도 같이 탄다. 순식간에 수십만원 증발 이런 사태를 막기 위해서 CPU에는 항상 방열판+냉각팬이 달려있다. 냉각팬이 없을경우는 수랭식이라든지 방열판이 타워형 급으로 큰 경우다.
방열이 제대로 안 된 상태에서 온도가 올라가면 강제로 스로들이 걸려 게임하는데 프레임이 막 떨어진다. 만약 이게 심하면 프레임이 떨어지는 정도로 끝나지 않고 아예 시스템이 얼어 버린다. 다 처리 속도를 늦춰서 발열을 줄여 CPU나 GPU가 타버리는 걸 막기 위한 몸부림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공랭식 쿨러의 경우 먼지를 정기적으로 털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픽션의 메카물에도 좀 리얼하다 싶으면 방열 장치가 있다. 겉보기엔 그냥 기체 옆에 붙은 장식이지만 설정엔 방열핀이니 방열판이니 방열사니로 구분된다. 일시적으로 출력을 증가시킬 때 냉각한답시고 장갑판이 열리고 방열판이 드러나는 묘사도 클리셰.
2.1 관련 항목
- 라디에이터(방열기)
- 쿨러
- 애플 III: 방열을 무시한 결과는 끔찍했다.
- 스냅드래곤 810: 오랜만에 화룡, 스냅드레기 소리 듣는 SoC. 이 칩을 사용한 휴대전화 중 엑스페리아 Z5 프리미엄에는 히트파이프까지 들어가는 비극(...)이 연출되었다.
-
핀 판넬 -
발기
3 삼국지연의의 가공인물
방열(삼국지) 항목 참조.
4 대한민국의 농구인
방열(농구) 항목 참조.- ↑ 포병의 분대단위. 보통 1포반이 1장비를 운용한다.
- ↑ 보통은 전포대장이나 전포사격지휘통제관
- ↑ 오차각을 θ라 하면 사거리 χ에서 오차는 2χ√(1-(cos(θ/2)²)가 된다. 이해가 어렵다면 아래그림을 보자. 파일:Attachment/포격오차 구하기.jpg
- ↑ 그도 그럴것이 이 경우 10km(2차 대전시 105mm급 포의 일반적인 사거리였다)에서 오차는 약 20m가 되기 때문 즉 2밀 이상 벗어나면 최대사거리에서 유효타를 기대할 수 없다. 155mm인 경우 15km에서 30m오차가 나게 된다. 아무것도 아닌것 같아도 군대문화(?)에는 나름 배경이 있다.
- ↑ 다만 측지반이 힘들게 측량한 좌표가 GPS보다 더 정확하긴 하다. 게다가 실전에서는 GPS 교란장치 때문에 해당 신호가 안잡히거나 부정확하게 잡힐 수 있으므로 측지반도 활발히 활동해야 한다.
- ↑ 초전도체가 아닌 이상 전자의 이동에 필연적으로 에너지 손실이 일어나며 그것이 바로 열.
- ↑ 현재 나오는 부품들은 전부 보호기능이 있어 그런 일은 없다
- ↑ 그래서 업계에서는 반도체에는 일정량의 연기가 포함되어 IC칩 조립 도중에 플라스틱에 둘러싸이고, 플라스틱이 타면 연기가 빠져나가서 작동이 안 된다(...)는 농담까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