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되는 국제 영화제. 칸 영화제, 베니스 영화제와 더불어 세계 3대 영화제로 유명하다. 보통 2월에 열린다.
2 역사
1951년 영화 역사인 알프레드 바우어를 디렉터로 개최된 것이 시초이다. 제2차 세계대전 전에 예술의 도시로 번영했던 베를린은 서유럽의 거점이며, 동유럽 쪽에 있는 당시 서베를린에서 서방 측의 예술 문화를 어필하고자하는 정치적 의도가 있었다고 한다. 1955년에 FIAPF에 공식적으로 인정을 받았다. 처음에는 동유럽쪽의 작품은 제외되었으며, 소련의 첫 참가는 1974년이다.
바우어의 은퇴 후 1976년 뷔루프 도너가 제2대 디렉터로 취임한다. 도너는 여름에 개최했던이 영화제를 2월 개최로 바꾸었다. 1980년 제3대 디렉터로 모리츠 데 하데룬이 취임한다. 하데룬는 할리우드 영화에 중점을 두는 셀렉션을 영화제에 선보였다. 1994년 영화계에도 불어닥친 GATT의 무역 분쟁으로 미국 측이 영화제를 보이콧하자 헐리우드 중시 방침은 큰 영향을 받았다. 2000년 하데룬은 디렉터 해임을 당했고, 2001년 은퇴하여 2002년부터는 디터 코스 릭이 제4대 디렉터가 되었다.
3 특징
칸과 베니스보다 정치성이 매우 강하다. 후보들도 그렇고 황금곰상에 수상한 작품들 역시 정치적인 소재를 다룬 영화 비중이 높은 편.
아무래도 칸이나 베니스보다는 더 밀리는 인상이다. 역사도 저 둘보다는 짧고, 영화제 특유의 화려한 맛도 적어서 대중 관심도도 좀 떨어지는 편이다. 심지어 어찌어찌 구색을 맞추기 위해 본국에서 (특히 미국) 공개한지 좀 지난 영화를 끌어다가 [1] [2] 경쟁 부문에 올리는 등 경쟁 부문의 수준도 오락가락한다. 베를린 영화제 금곰상을 할리우드 영화 레인맨이 받은 적도 있는데 독일에서는 할리우드 상업영화에 베를린 영화상을 헌납했다며 영화학과 대학생들이 항의시위까지 벌일 정도로 비난을 듣기도 했다. 안습. 그래도 2011년 전 세계 영화계를 뒤흔든 이란 영화 씨민과 나데르의 별거에게 먼저 황금곰상을 안겨주는등 저력은 죽지 않은 편.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떨어지는 국가의 영화나 감독에게도 적극적이고 관대해서 아직 인지도가 낮은 감독들이 많이 오는 편이다. 콩라인 이미지이긴 하지만 엄연히 3대 국제 영화제다운 저력이 있기 때문에 여기서 주목을 받은 뒤 다른 영화제로 진출하는 경우도 있다.
4 대한민국
- 1961년 강대진 감독의 《마부》가 특별 은곰상[3]을 수상했다.
- 1962년 전영선이 이 생명 다하도록에서 아동특별연기상을 수상했다.
- 1994년 장선우 감독 화엄경으로 알프레드 바우어상 수상
- 2004년 김기덕 감독이 《사마리아》로 은곰상(감독상)을 수상했다.
- 2005년 임권택 감독이 베를린영화제에서 명예황금곰상(공로상)을 수상하였다.
- 박찬욱 감독이 싸이보그지만 괜찮아로 알프레드 바우어상 수상.그리고 2011년엔 동생 박찬경과 함께 《파란만장》으로 단편부분 금곰상을 수상했다.
- 2015년 나영길 감독이 《호산나》로 단편부분 금곰상을 수상했다.
5 영화제 프로그램
베르리날레는 경쟁 부문, 포럼 부문, 파노라마 부문, 리토르스펙티브 부문, 청소년 영화 부문, 독일 영화 부문의 6개 공식 영역이 있다. 각 영역의 디렉터가 있으며, 독립적인 운영 형식을 취하고 있다. 기타, 2004년부터 시작된 베르리날레 스페셜이나 영화를 사고파는 《유럽 필름 마켓》(Europian Film Market) 등도 개최된다.
경쟁 부문
- 세계적으로 우수한 영화 작품을 모아, 우수상에는 금곰상, 은곰상 등을 수여한다. 황금곰상을 수상한 대중적인 작품에는 12인의 노한 사람들, 레인 맨, 매그놀리아,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씨민과 나데르의 별거 가 있다
파노라마 부문
- 경쟁 부문에서는 벗어나지만 뛰어난 작품을 상영한다. 나중에 명성을 얻는 감독의 데뷔작이 이 부문에서 소개되는 경우도 많다. 작품의 테마, 질 모두 상당히 다양한 것이 특징이다. 다큐멘터리 영화가 상영되는 경우도 많다.
포럼 부문
- 처음에는 젊은 감독 지원을 목적으로 시작하였으며, 이름도 이전에는 "영 포럼 부문"이었기 때문에, 신인감독들의 작품들이 많이 상영된다. 또한, 아방가르드 영화, 실험 영화, 르포 상영, 묻혀 있던 과거의 뛰어난 작품을 재상영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두 종류의 차이가 그다지 구분이 없어지고 있는 것 같다.
회고 부문
- 1977년 독일 키네마테크 운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과거에 베르리날레에서 상영된 우수한 작품을 상영하고 있다. 매년 테마를 정해 특정 감독이 기능하는 경우도 있다.
어린이 영화 부문 (Kinderfilmfest)
- 1978년부터 있었으나, 2007년부터 2가지로 분류되었다. Generation Kplus은 4세 이상이 대상이며, 11명의 어린이 심사 위원이 최우수상을 선정한다. Generation 14plus 14세 이상이 대상으로, 7명의 어린이 심사 위원이 최우수상을 선정한다.
6 상의 종류
- 황금곰상 (최우수작품상)
- 심사위원 대상
- 은곰상
- 감독상
- 남녀 주연상
- 남녀 조연상
- 예술공헌상
- 최우수 유럽영화상
- ↑ 데어 윌 비 블러드 같은 경우 2007년 9월에 다른 영화제에서 이미 공개된 걸 2008년 경쟁 부문에 올렸다!
- ↑ 박찬욱의 공동경비구역 JSA도 이러한 경우에 해당한다.
- ↑ 일반 은곰상과는 별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