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스턴 교향악단

영어: Boston Symphony Orchestra
미국내에서는 보통 BSO라고 약칭한다.

미국보스턴을 근거지로 하는 관현악단. 뉴욕, 시카고, 클리블랜드, 필라델피아와 더불어 소위 '빅 파이브' 라고 칭하는 미국 5대 관현악단들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1] 홈페이지

1 연혁

1881년에 미국 금융업계의 큰손이었던 헨리 리 히긴슨이 창단했고, 초대 음악 감독으로 폴란드 출신의 영국 바리톤 가수이자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였던 조지 헨셸을 초빙했다. 헨셸의 후임으로는 주로 독일이나 오스트리아계 지휘자들이었던 빌헬름 게리케, 아르투르 니키슈, 에밀 파우어, 칼 무크, 막스 피들러가 차례로 음악 감독을 맡았다. 특히 네임드 아르투르 니키슈[2]와 칼 무크[3]의 지도를 받은 것은 악단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무크의 두 번째 재임기였던 1차대전 말기에는 미국이 연합국으로 참전했고, 무크는 적성국인으로 분류되어 강제로 활동 중지를 당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악단 측에서는 같은 연합국 출신 지휘자인 프랑스의 앙리 라보를 데려왔지만, 라보는 불과 한 시즌만 지휘하고 돌아갔다. 라보의 후임도 역시 프랑스 출신이었던 피에르 몽퇴였는데, 몽퇴는 당시 독일계 음악 일색이었던 미국 관현악단으로서는 이례적으로 프랑스 음악을 중시하고 부드러운 색채의 소리를 악단에서 뽑아내 화제가 되었다.

몽퇴가 1924년에 유럽으로 돌아간 뒤 러시아 출신의 세르게이 쿠세비츠키가 들어왔는데, 쿠세비츠키는 악단을 미친듯이 갈궈대는 기질 때문에 단원들과 트러블도 많았다. 하지만 그럼에도 역대 최장 재임 기간인 25년 동안 악단의 방송 출연이나 보스턴 근교의 탱글우드에서 여름마다 개최하는 탱글우드 음악제의 상주 관현악단 자격을 얻는 등, 악단으로서는 처음으로 제대로 된 리즈시절을 맞게 되었다. 쿠세비츠키는 악단을 엄격하게 조련하면서 기본 레퍼토리의 연주력을 갈고 닦았고, 거기에 사재를 털어 네임드 작곡가들에게 신작을 위촉해 초연하기도 했다. 버르토크의 최만년 작품인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 이 이렇게 작곡되어 초연된 곡 중에 가장 유명하며, 지금도 보스턴 교향악단의 기본 연주곡으로 올라와 있다.

1949년에 쿠세비츠키가 사임한 뒤 샤를 뮌슈가 뒤를 이었는데, 전임자와 달리 비교적 유들유들한 품성이라 단원들과의 관계도 비교적 좋은 편이었다. 프랑스의 독일어권 지역인 알자스-로렌 출신[4]인 뮌슈는 독일과 프랑스 음악에 모두 능했다. 뮌쉬는 젊은 시절 독일에서 음악을 배웠고, 지휘자가 되기 전에는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의 바이올린 단원이었는데, 이 시기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의 상임지휘자는 본좌 푸르트벵글러와 브루노 발터였다. 프랑스에서 지휘자로 전향한 뮌휘는 보스턴에 입성한 후 전속사였던 RCA에 많은 녹음을 남기고 해외 공연도 적극적으로 추진해 악단의 두 번째 전성기를 이끌었다. 뮌슈는 프랑스 출신 지휘자 중 가장 네임드라 할 수 있는데, 때문에 프랑스 음악 녹음 가운데 명연주가 상당히 많다. 하지만 그의 음악적 베이스라 할 수 있는 베토벤, 브람스 등 독일 정통 레퍼토리에서도 좋은 해석을 들려 주었다. 특히 엄청난 열정으로 가득찬 베토벤 교향곡 제9번 음반은 최근 국내에서도 재조명되고 있다.

뮌슈의 후임으로 오스트리아 출신의 에리히 라인스도르프가 69년까지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이끌었다. 라인스도르프는 재임기간 동안 엄청난 양의 레퍼토리를 다루었는데 같은 레퍼토리를 다시 올리는 일이 거의 없었다고 한다. 베토벤 교향곡 제5번 조차 보스턴 재임 기간에 단 두 번 연주했다고 한다. 특히 전임자들이 다루지 않았던 말러와 브루크너를 레퍼토리에 올린 것은 그의 공적이다. 다만 토스카니니의 제자답게 한 성격해서 막판에 단원들과의 관계는 좋지 않은 편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재임 마지막해에 녹음한 베토벤 교향곡 제9번은 매우 훌륭한 연주로 라인스도르프가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얼마나 훌륭하게 조련했는지를 잘 보여준다. 이 연주는 오랫동안 미국에서만 유명했지만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재평가되면서 매우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라인스도르프가 물러난 이후 독일 출신의 유대인 윌리엄 스타인버그가 그 뒤를 이었다. 보스턴 심포니에 취임하기 전 스타인버그는 피츠버그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성공적으로 이끌었고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와도 여러 차례 공연하면서 호평을 받은 바 있었다. 하지만 보스턴 심포니에 취임한 이후 건강이 크게 나빠져 3시즌만에 사임했다. 1971년에는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유럽 순회 공연을 이끌었다.

1973년에는 창단 이래 최초의 동양인 지휘자인 일본 출신의 오자와 세이지가 제15대 음악 감독에 부임했다. 오자와는 2002년 사임할 때까지 거의 30년 가까이 악단을 이끌어 쿠세비츠키가 세운 역대 최장기 재임 기록을 갈아치웠고, 도이체 그라모폰과 필립스, EMI, 텔락 등에 많은 음반을 취입했다. 오자와는 초기에 프랑스 음악, 차이코프스키, 말러 교향곡 등으로 다양한 레퍼토리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고, 베를린 필의 차기지휘자 후보로 거론될 만큼 승승장구했지만 오히려 나이가 들수록 음악적 재능이 떨어지는 느낌을 주었다. 1990년대 중후반 무렵부터 탱글우드 음악제의 개편을 둘러싸고 심한 갈등이 빚어지기 시작했고, 그 동안 별 탈 없이 흘러갔던 오자와와 악단 사이의 관계도 갑자기 흔들리기 시작했다. 언론까지 합세해 오자와를 디스했고, 2002년에 빈 국립 오페라의 예술 감독에 취임하게 되면서 보스턴 심포니의 상임지휘자직에서 물러났다.

오자와 사임 후에는 약 두 시즌 가량 음악 감독 공석인 상태로 활동했고 [5], 2004/05년 시즌부터 창단 이래 최초로 미국 본토 출신 지휘자인 제임스 러바인이 음악 감독에 부임했다. 러바인은 현대음악 작품의 연주에 특히 힘을 쏟고 있으며, 악단에서도 젊은 예술가를 지원하기 위한 기금을 마련하는 등 좀 더 대중 친화적인 제스처를 취하고 있다. 러바인의 재임 기간은 2011/12년 시즌까지로 잡혀 있었으나, 지병 문제로 2011년 봄 상임지휘자에서 사퇴하여 2011-12년 시즌은 벌떼마무리 상임지휘 없이 여러 지휘자들을 초빙할 예정. 2013년 5월 라트비아 출신의 지휘자 안드리스 넬손스를 2014~2015년 시즌의 새 음악 감독으로 내정했다. 안드리스 넬손스는 현재 2016~2017 시즌의 상임 지휘자를 연임하고 있다.

1.1 역대 음악 감독

부임 예정인 지휘자는 기울임체로 표기했다.

  • 조지 헨셸 (George Henschel, 재임 기간 1881–1884)
  • 빌헬름 게리케 (Wilhelm Gericke, 재임 기간 1884-1889, 1898-1906)
  • 아르투르 니키슈 (Arthur Nikisch, 재임 기간 1889-1893)
  • 에밀 파우어 (Emil Paur, 재임 기간 1893-1898)
  • 칼 무크 (Karl Muck, 재임 기간 1906-1908, 1912-1918)
  • 막스 피들러 (Max Fiedler, 재임 기간 1908-1912)
  • 앙리 라보 (Henri Rabaud, 재임 기간 1918–1919)
  • 피에르 몽퇴 (Pierre Monteux, 재임 기간 1919–1924)
  • 세르게이 쿠세비츠키 (Serge Koussevitzky, 재임 기간 1924–1949)
  • 샤를 뮌슈 (Charles Munch, 재임 기간 1949–1962)
  • 에리히 라인스도르프 (Erich Leinsdorf, 재임 기간 1962–1969)
  • 윌리엄 스타인버그 (William Steinberg, 재임 기간 1969–1972)
  • 오자와 세이지 (小澤 征爾, Seiji Ozawa, 재임 기간 1973–2002. 퇴임 후 계관 지휘자(Conductor Laureate) 호칭 수여)
  • 제임스 러바인 (James Levine, 재임 기간 2004–2011)
  • 안드리스 넬손스 (Andris Nelsons 재임 기간 2014-)

이외에도 베르나르트 하이팅크가 명예 지휘자(Conductor Emeritus) 호칭을 받았다.

2 특징

경쟁 악단인 뉴욕 필하모닉이 1980년대 이후로 주춤하고 있는 상황에서, 북동부의 자존심을 대표하는 악단으로서 아직까지 강한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다. 특히 뉴잉글랜드 음악원(New England Conservatory, 약칭 NEC)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음악 교육 분야에도 투자를 하고 있어서, 단원 수급에도 비교적 안정적이라는 강점도 갖고 있다.

2009년에는 베네수엘라의 음악 교육 프로그램인 엘 시스테마가 미국에서도 보스턴을 중심으로 도입되었고, 여기에서도 보스턴 교향악단이 뉴잉글랜드 음악원의 교수진들과 합동으로 관현악 연주 지도를 맡고 있다.

2.1 공연장

상주 공연장으로는 1900년 완공된 보스턴 심포니 홀을 쓰고 있는데,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의 상주 공연장이었던 두 번째 게반트하우스를 벤치마킹해 건립된 건물이다. 유럽식의 매우 육중한 모습이 꽤 인상적인 건물로, 미국 정부에서 역사적인 건축물(National Historic Landmark)-한국 기준으로 따지면 사적급-로 선정되어 있기도 하다. 그렇다고 외관만 간지인 것도 아니고, 홀 음향도 굉장히 좋아 유럽 유수의 콘서트홀도 버로우시킬 정도라고 한다.[6] 다만 2006년에 대규모 개보수 공사를 하면서 음향이 약간 달라졌다고 한다.

2.2 공연

BSO의 시즌은 크게 10월초-5월초까지의 정규 시즌과, 7월초-9월초까지의 여름(탱글우드) 시즌으로 나뉘어진다.

정규 시즌은 일부 휴가기간[7]을 제외하고 거의 매주, 적어도 주 2회, 많게는 오픈 리허설 포함 주 5회까지 가진다[8]. 상임 지휘자가 1/3에서 반 정도를 지휘하고, 나머지는 이름있는 지휘자들을 초빙해서 연주한다. 보스턴 시민들이 오케스트라에 거는 관심이 크고[9], 학생 비율이 높은 보스턴의 특징과 BSO 특유의 티켓정책 덕분에 젊은 연령대의 관객들도 많아 꽉꽉 들어찬다. 게다가 오케스트라의 이름값에 걸맞는 걸출한 협연자들이 끊이지 않고, 첼리스트 요요마는 보스턴 근처[10] 에 사는터라 매년 협연을 한다[11].

여름 시즌(탱글우드 시즌)은 보스턴에서 차로 2시간정도 떨어진 매사추세츠 주 Lenox의 Tanglewood에서 공연한다. 메인 공연장은 천장과 뒷벽만 있고 바깥쪽 외벽은 없는 야외 공연장 구조로, 공연장 뒤의 넓은 잔디밭에 앉아서 공연을 감상할 수 있다[12] [13]. 레파투아는 주로 클래식이지만 보스턴 팝스가 공연하기도 하고, 대중음악가수들이 오는 경우도 있으며, 마지막 한두 주 정도는 재즈 페스티벌을 한다. 또 해마다 Movie night에는 보스턴 팝스의 계관지휘자인 존 윌리엄스가 와서 자기가 만든 영화음악을 지휘하면서(...) 직접 곡설명을 한다.[14]

크리스마스 휴가 기간과 5-6월에는 보스턴 팝스가 심포니홀에서 공연한다. 특히 5월 말 졸업식 시즌에는 날마다 보스턴 지역 대학[15]들을 기념하는 팝스의 공연이 있다. 이 공연들의 컨셉은 해당 학교 교가+레드삭스 찬양.

교향악단 공연 외에 단원들의 실내악 공연도 활발하며, 수석급 단원들이 비시즌기에 조직해 연주 활동을 하는 보스턴 심포니 체임버 플레이어즈(Boston Symphony Chamber Players)가 특히 유명하다.

2.3 티켓 정책과 재정

정규시즌 공연의 입장권 가격은 보통 30-100달러정도이다. [16] 매진이 되는 경우는 비교적 드물어서, 평일 공연 3시간 전(화, 목 5시, 금요일은 낮 공연만 가능하기때문에 오전 10시 반)에 가면 남아있는 티켓 중 100장가량을 선착순으로 일괄 9달러에 판다(..) 재수가 좋다면 3-4등석 자리에서 앉아 공연을 관람하는 호사를 누릴 수 있다.

보스턴은 학생들이 워낙 많은 도시라 BSO도 학생과 청년층에 싼 값으로 공연을 볼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한다.[17] 예로 40세 이하는(자리 관계없이) 무조건 20불 티켓이라든가 컬리지 카드라고 해서 시즌초에 25불을 내면 카드를 주고 그 카드를 가진 학생들에겐 매주 월요일에 그 주 공연 티켓을 선착순 무료배포한다든가... 심지어 MIT 학생들은 익명의 후원자에 의해 저 카드마저 공짜로 받을 수 있다. 근데 다들 너드들이라 관심없잖아 안될거야 아마

BSO의 재정상태는 미국 내 타 오케스트라에 비해 좋은 편인데, 이는 우선 공연장으로 사용하는 심포니 홀이 BSO의 자체소유라 대관비용을 부담하지 않아도 되고, 다른 연주단체의 공연에 대관하는 등을 통한 수익사업이 가능한 것이 크다. 또한 창립자인 헨리 히긴슨[18]으로부터 이어지는 강력한 개인/기업의 후원도 많다. 시즌티켓등을 사더라도 할인혜택같은거 그런거 별로 없는데, 이는 꾸준히 연주회를 보러 오는 보스턴 시민들이 스스로 subscriber(정기권 끊은 관객)가 아닌 patron(후원자)를 자처하기 때문에 가능한 얘기.

2.4 녹음

녹음은 칼 무크 재임기였던 1917년에 시작했을 정도로 오랜 경험을 갖고 있는데, 본격적인 녹음은 뮌슈 재임기에 시작되어 수많은 음반들이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21세기 들어 음반 업계의 불황 때문에 어느 음반 업계와도 전속 계약은 맺지 않고 있으며, 대신 2009년부터 악단 자체 음반사인 BSO 클래식스(BSO Classics)를 만들어 음반과 디지털 다운로드 음원으로 판매하고 있다. 이외에 쉰들러 리스트라이언 일병 구하기 같은 영화OST 녹음에도 참가하고 있다.

3 보스턴 팝스 오케스트라

보스턴 교향악단의 비시즌기에 교향악단 단원들 상당수가 모여 연주하는 비상설 관현악단으로, 1885년에 활동을 시작했다. 이름 그대로 묵직한 교향곡 같은 작품 대신 가벼운 클래식 소품이나 , , 재즈 등의 편곡, 크리스마스 캐럴, 영화음악 등을 주로 공연하며, 1930년에 음악 감독으로 부임한 악단 악장(concertmaster) 출신의 바이올리니스트 아서 피들러(Arthur Fiedler)의 지휘로 세계적인 유명세를 얻게 되었다.

피들러는 1979년에 은퇴하기까지 거의 40년 동안 보스턴 팝스를 이끌었고, RCA를 비롯한 음반사에 수많은 음반들을 취입해 본체인 보스턴 교향악단 못지 않은 높은 평가를 받았다. 피들러의 후임으로 1980년에 부임한 존 윌리엄스도 피들러가 구축한 레퍼토리를 답습하면서 자작 영화음악인 스타워즈인디아나 존스 등을 선보이며 명성을 이어갔다. 윌리엄스는 1995년 퇴임한 후에도 계관 지휘자로 종종 무대에 오르고 있고, 후임인 키스 록하트도 비슷한 노선을 걷고 있다.

록하트 재임기에는 유튜브마이스페이스 등을 통해 인터넷에서도 연주 동영상이나 사진 등을 선보이고 있고, 보스턴 시내의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노래 경연대회를 여는 등 새로운 기획들을 시도하고 있다. 팝스 홈페이지

  1. 빅 5 중에 굳이 순위를 매기자면 시카고와 클리블랜드가 선두권으로 평가받고, 필라델피아와 뉴욕 필이 하위권, 그리고 보스턴 심포니는 이 사이에 있는 중위권이라 할 수 있다.
  2.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베를린 필과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의 상임지휘자를 역임했다.
  3. 한스 리히터 등과 함께 바그너파를 대표하는 지휘자로 성지 바이로이트의 상징적과도 같은 지휘자였다. 브람스파인 한슬릭 등의 결사적인 반대로 빈 국립 오페라의 음악감독에 오르는데 실패했다.
  4. 그의 이름에 표기된 움라우트에서 알 수 있듯이 독일 출신이다. 원래 이름은 Karl이었다.
  5. 베르나르트 하이팅크가 오자와와 러바인 사이의 2003-2004 시즌에 수석객원지휘자 직책으로 사실상의 상임지휘를 맡았었다. 물론 여러 지휘자들이 돌아가면서 연주를 하긴 했지만
  6. 포풍간지를 내뿜는 쪽은 남쪽 헌팅턴 애비뉴쪽이긴 한데 도시계획의 미스인지 계단을 내려 오면 두 사람이 마주 지나가기가 힘들 정도로 인도가 좁다. 그래서 그런지 낡을대로 낡아 벽에 균열 땜질되고 페인트가 떨어져 나가는 동쪽 매사추세츠 애비뉴쪽을 정문으로 쓰고 박스오피스도 그쪽에 있다. 사실 이쪽도 인도가 그다지 넉넉한 편은 아니지만... 내부도 낡긴 낡았지만 외관만큼 구려보이지는 않다. 다만 홀 내부도 그렇고 로비도 그렇고 2500명이 넘는 수용인원수에 비해 상당히 좁은 편이다.
  7. 크리스마스 2주간은 팝스가 공연한다
  8. 리허설은 수요일 저녁, 화,목,금,토요일에는 8시에 공연이 있고, 특이하게 금요일 낮 공연이 있다. 관객이 별로 없을 것 같지만 천만의 말씀으로 동네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양로원에서 대절버스 타고 오신다
  9. 그렇지만 역시나 야구농구풋볼에 비하면 데꿀멍이라 포스트시즌게임이랑 겹치기라도 하면 그저 안습..
  10. 정확히 말하자면 하버드와 MIT가 있는 강 건너 캠브릿지
  11. 보통 매년 정규 시즌에 한 번, 탱글우드시즌에 한 번 한다. 탱글우드공연의 경우 보통 공연보다 티켓값도 비싸기까지 한데, (수용능력 무한대에 가까운 잔디밭 덕분에) 어지간해선 매진되지 않는 탱글우드 공연조차 종종 매진된다
  12. 와인과 치즈, 제대로 된 디너 테이블과 의자에 초와 꽃까지 가져와서 간지나게 식사하고 공연을 감상하는 사람들도 종종 있다. 그리고 어린아이들도 잔디 뒷쪽에는 앉을 수 있기 때문에 클래식빠 애엄마아빠들의 사랑을 많이 받는다.
  13. 참고로 메인 공연장의 이름은 Koussevitsky Music Shed, 실내악 공연장의 이름은 Ozawa Hall이다. 쿠세비츠키와 오자와가 BSO에 끼친 공헌도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
  14. 한번은 인디아나존스 음악을 연주하는데 스티븐 스필버그가 무대에 갑툭튀한적도 있다. 관람석은 그야말로 열광의 도가니.
  15. 보스턴의 대학이라고 하면 흔히들 Harvard와 MIT만 생각하지만, 대규모 종합대학만도 Boston U, Boston College, Northeastern등 여러 개다
  16. BSO급의 오케스트라가 한국에 온다면 VIP석이 30만원 이상 할 거라는 걸 고려하면 엄청나게 싸게 느껴지기까지하는 가격이다.
  17. 학생들에게 혜택을 주라고 지정되어 기탁되는 기부금이 많기도 하고.
  18. BSO가 창단한 뒤 처음 20여년동안 발생한 모든 재정적자를 혼자 다 메꿨다고 한다. 오오 대인배 오오... 그래서 BSO 후원회중 가장 영예로운 후원자 모임의 이름이 Higginson Society다. 자격은 백만불 이상 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