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류왕

1 백제의 군주

" />?width=50
백제의 역대 국왕
10대 분서왕 부여분서11대 비류왕 부여비류12대 계왕 미상
시호비류왕(比流王)
부여(扶餘)
비류(比流)[1]
생몰년도음력? ~ 344년 10월 (미상)
재위기간음력304년 10월 ~ 344년 10월 (41년)

1.1 개요

백제의 시조 온조의 형 비류하곤 무관하다. 그리고 한자 표기도 다르다.

백제의 제11대 국왕/건길지. 삼국사기에는 사반왕의 아우라고 적혀있는데... 아무리봐도 이상하다. 구수왕이 죽은 지 70년이 지난 뒤에 왕위에 올라 40년을 재위했다니... 130년 넘게 살 지 않는 이상 불가능하다.

그리고 초고왕의 아들이라고도 하는데, 이렇게 되면 나이가 지나치게 많아져 삐꾸난다. 일단 여기에 근거하여 비류왕-근초고왕-근구수왕-침류왕으로 이어지는 왕통을 초고왕계라고 부른다.

이로 인해 나오는 추정은 비류왕의 즉위 때 백제왕실 지파(枝派)들 사이의 세력교체[2]와 함께 이루어졌다고 추정하고 있으며 비류왕의 혈족관계와 재위년 사이의 모순도 그같은 왕실 지파간의 세력교체에 대한 역사서술과 관련된 것일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혹은 삼국사기에 비류왕을 민간 출신이라고 하는 점으로 미루어 의제된, 왕족이긴 하지만 직계에선 상당히 먼 편으로 새로 등장한 왕통이라 보기도 한다.

책계왕분서왕이 모두 낙랑과의 분쟁에서 전사, 암살당했고 이로인해 고이왕계의 세력은 큰 타격을 입게 되었다. 초고왕계인 비류왕의 즉위는 바로 이때 이루어졌고 이후 계왕이 쫒겨나고 근초고왕이 즉위하는 걸로 봐선 정황상 맞는 말.

그리고 분서왕의 죽음에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관련이 있을거라고 본다.

1.2 업적

별다른게 없다. 40년 내내 평화정책만 고수했다(…) 이거야 말로 진정한 덕이 있는 군주의 최고의 업적 아닌가? 전쟁과 관련된 기록은 없고 천재지변, 반란, 선정에 대한 기록만이 전해진다.

312년 음력 2월 신하들을 보내어 백성들의 질병과 고통을 살펴보고, 홀아비, 과부, 고아, 그리고 늙어서 자식없이 외롭게 지내는 사람들을 도와주었다. 그 중에서도 스스로 생활할 수 없는 자에게는 곡식을 한 사람당 3섬씩 주었다.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복지국가

321년 봄 정월에 왕의 서제(庶弟) 우복(優福)을 내신좌평(內臣佐平)으로 삼았으나 우복은 오히려 북한산성을 근거지로 반란을 일으켰지만 진압당했다. 배신의 결말

330년에는 벽골제를 건설했다.

337년 봄 음력 2월 신라와 수교하였다.

자세히 보면 기록이 부실하다

1.3 자연재해

업적보다 자연재해 기록이 더 많다. 캐안습

308년 봄 정월 초하루 병자 : 일식이 발생했다.
316년 봄 : 가뭄이 발생했다.
321년 가을 음력 7월 : 태백성(太白星)이 낮에 나타났다. 나라 남쪽에 우박이 내려 곡식을 해쳤다.
327년 가을 음력 7월 : 붉은 까마귀와 같은 구름이 해를 끼고 있었다.
331년 봄, 여름 : 가뭄이 크게 들어 풀과 나무가 마르고 강물이 말랐다. 음력 7월에 이르러서야 비가 왔다. 이 해에 기근이 들어 사람들이 서로 잡아먹었다.
333년 여름 음력 5월 : 별이 떨어졌다.
335년 겨울 음력 10월 초하루 을미 : 일식이 발생했다.
336년 봄 정월 신사 : 혜성(彗星)이 별자리 규(奎)에 나타났다.

1.4 삼국사기 기록

一年冬十月 비류왕이 즉위하다
五年春一月一日 일식이 일어나다
九年春二月 관리를 파견하여 지방을 순회하다
九年夏四月 동명왕의 사당을 배알하다
九年 해구를 병관좌평으로 임명하다
十年春一月 남쪽 교외에서 천지신명에게 제사지내다
十三年 가뭄이 들고 큰 별이 서쪽으로 흘러가다
十三年夏四月 서울에 우물이 넘치고 흑룡이 나타나다
十七年秋八月 대궐의 서쪽에서 활쏘기 연습하다
十八年春一月 우복을 내신좌평으로 임명하다
十八年秋七月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二十二年冬十月 하늘에서 풍랑이 부딪치는 소리가 들리다
二十二年冬十一月 구원에서 사냥하다
二十四年秋七月 이상한 모양의 구름이 형성되다
二十四年秋九月 내신좌평 우복이 반란을 일으키다
二十八年 봄과 여름에 큰 가뭄이 일어나다
三十年夏五月 대궐에 화재가 발생하여 민가로 번지다
三十年秋七月 대궐을 수리하다
三十年冬十二月 우레가 치다
三十二年冬十月一日 일식이 일어나다
三十三年春一月 혜성이 규성좌에 나타나다
三十四年春二月 신라에서 사절을 보내 예방하다
四十一年冬十月 비류왕이 죽다

자연재해, 즉위, 사망 기록, 사냥, 제사 기록을 빼면 6줄 뿐.

2 드라마 근초고왕의 등장인물

배우 윤승원이 연기. 원래 제위 계승 서열에서 멀리 떨어져있던 인물이었으나 분서왕이 암살당한 후 그 아들인 부여준이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아버지 흑강공에 의해 왕위에 올랐다. 당연히 부여준과는 철천지 원수 사이.아들 부여구가 태자를 제치고 왕의 기운이 흐른다는 말에 요서로 내쫓아 소금장수를 시키는 비정한 아버지로 묘사된다. 고국원왕과 대방 분할 문제로 정상회담을 하다가 고국원왕의 뒷치기에 죽을뻔 했지만 부여구가 달려와서 겨우 죽음은 면했으며 태자가 막장짓을 하여 국경의 성들을 고구려에게 깡그리 빼앗기고 태자까지 포로로 잡혀버린다.고구려의 사신들이 대방땅을 전부 내주면 태자를 석방하겠다는 조건을 제시하지만 오히려 태자를 죽여도 좋다는 폭탄 발언을 내뱉는다. 이후 부여구를 태자로 삼으려다가 태자건으로 원한을 품은 제1왕후와 계왕(부여준)의 음모로 독살 당한다.
  1. 수정 전에는 비류왕의 이름을 구태, 여비라 되어 있었다. 그러나 비류왕의 이름이 구태라 기록된 책은 없다. 괴작 드라마 근초고왕에서나 비류의 이름을 구태라고 했다. 또 여비는 중국 사서에 기록된 비왕의 이름이다.
  2. 여태까지의 서술로 본다면 이 지파들은 각각 온조계/초고왕계/비류계/고이왕계 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