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활주로

1 개요

전시나 기타 여러가지 이유 등으로 공항이나 공군기지의 활주로가 파괴되어 사용할 수 없을 때를 대비하여 국도 및 고속도로에 건설된 활주로이다. 활주로 자체가 군사시설로 보호를 받으며, 인근 지역이 비행구역으로 지정되기 때문에[1] 인근 주민들이 재산권 행사 등에 제약을 받기도 한다.꿀이 철철 넘처 흐르는 양봉장 겉보기에는 일반도로와 거의 동일하지만 중앙분리대 철거가 쉽도록 이동식 중앙분리대를 사용하거나, 국도의 경우에는 아예 중앙분리대 자체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사실 원래 고속도로에도 중앙분리대 설치를 하지 않았는데, 고속도로는 차가 말 그대로 고속으로 달리므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 위험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이에 1994년 한국도로공사는 건설부(현 국토해양부)를 통해 이동식 중앙분리대 설치를 제안했다. #관련기사 국방부는 비상시 빠른 대처가 힘들다는 점을 들어 거부하다가 1995년에야 합의, 이동식 중앙분리대가 설치되었다. #관련기사

나름 활주로 역할을 해야 하므로 활주로와 동일하게 방위각, 활주로 거리표지판, 비상조명등을 갖추고 있으며 이외에 소규모지만 급유시설 등을 갖추고 있기도 하다. 다만 군용 목적이므로 전투기나 수송기 정도는 착륙이 가능하더라도 여객기는 보잉 737이나 A320 등 중소형기가 아닌 이상 무리가 있으며, 보잉 747이나 A380은 거의 불가능.

2 위치

구체적인 위치는 군사보안에 해당하므로 대외적으로 보도된 곳이나 기초자치단체 소재지 이외의 상세한 위치는 밝히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폐쇄되었다고 언론에 보도가 된 곳은 밝혀도 무방. 그런데 교통방송 등에서는 위치를 공공연하게 밝히고 있다는 게 함정.

2.1 현재 운용중인 곳

사실 몇 곳 더 있지만 공군에서 운용중인 공군공감 사이트의 내용과 위키백과에 공개된 것들만 기재하였다.관련글[2]

2.2 지정 해제된 곳

검색창에 경부비상활주로라 치면 이 문단으로 리다이렉트된다.
  • 신갈비상활주로 #
분당선 죽전차량기지 근처에서 신갈JC 직전까지의 구간이었는데, 초창기에는 경부고속도로도 왕복 4차로에 신갈에서 분기하는 영동고속도로도 왕복2차로여서 비상활주로 운용에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영동고속도로가 확장되고 덩달아 1991년에 인천쪽으로 연장되면서 신갈JC가 크게 확장, 사용이 사실상 불가능해져서 거의 버려지다시피 했다. 신갈JC 근처에 넓은 터가 남아 있는데, 이게 비상활주로에 붙어 있던 비행기 계류장이다. 위성지도로 보면 숲속에 관련 시설로 보이는 낡은 건물 몇 채가 남아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16년 현재 그 주변을 방문해 보면 '현위치 매각' 이라는 현수막이 붙어있다.
  • 성환비상활주로 #
북천안IC 근처에 있는 비상활주로였다. 신갈과는 달리 꽤 오래 온전히 남아있던 비상활주로였다. 주변이 허허벌판이기도 했고.... 2005년에 지정해제되자 북천안IC가 생기고 34번 국도가 확장되면서 비상활주로를 넘어가는 고가도로가 생기는 등 이래저래 변화를 겪었다. 역시 남쪽에 넓은 계류장이 남아 있고[3]북천안IC 북쪽에도 마찬가지로 계류장으로 보이는 공터가 남아있다. 근처 산 속에 있던 관련시설은 모두 철거되었다.
  • 구미비상활주로 #
경부고속도로와 나란히 따라가는 경부선으로 따지면 딱 대신역아포역 사이에 있는 비상활주로였다. 역시 아포읍 쪽에 계류장과 관련시설을 볼 수 있다.
  • 언양비상활주로 #
서울산IC 남쪽에 있는 비상활주로였다. 꽤 오랫동안 온전하게 남아 있던 곳으로, 남쪽에는 계류장과 더불어 격납고 비스무레한 시설까지 있었다. 해제된 이후 시설이 모두 철거되어 빈 터만 남아 있다. 부산기점 35.2km 지점 동쪽(상행기준 우측)에 웬 아스팔트 공터가 있는데 그것이 격납고의 흔적이다.
  • 정읍비상활주로 #
유일하게 호남고속도로상에 있는 비상활주로인데 어째서인지 경부비상활주로에 포함되어있다. 정읍시 제2청사 근처에 있는 비상활주로로, 이 구간 호남고속도로가 아직 왕복 4차로이기 때문에 좁다란 고속도로로 달리다가 이 구간에 들어서면 갑자기 길이 널찍해 지는 것을 볼 수 있다.[4] 사실 다른 곳도 원래 이랬는데 다른 곳은 이미 왕복 8~10차로로 확장된 구간이 대부분이라.... 역시 이곳도 계류장 터가 남아있는 것을 볼 수 있다.
  1. 비행장과 똑같이 고도제한을 받는다.
  2. 엄밀하게 분류하면 예비항공 작전기지만 해당된다. 다른 곳을 기재하면 코렁탕의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요망
  3. 주차장 표시와 건물 터가 있는 걸로 봐서는 휴게소로 쓰이다 철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4. 현재 3, 4차로는 졸음쉼터로 사용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