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 국도

일본의 국도 제1호선에 대해서는 일본 국도 1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현재 개통하지 않은 역 또는 노선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 또는 공사가 진행 중이거나, 개통했지만 이 역을 지나는 다른 노선이 공사 중인 역이 서술되어 있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해야 하며, 나무위키는 잘못된 정보에 의한 피해를 책임지지 않습니다. 또한, 공정이 중단되면 틀:공사중단으로 바꿔 주시고, 공정이 완료되면 틀을 제거해 주십시오.

국도 목록
종축1 · 3 · 5 · 7 · 13 · 15 · 17 · 19 · 21 · 23 · 25 · 27 · 29 · 31 · 33 · 35 · 37 · 39 · 43 · 45 · 47 · 59 · 67 · 75 · 77 · 79 · 87
횡축2 · 4 · 6 · 14 · 18 · 20 · 22 · 24 · 26 · 28 · 30 · 32 · 34 · 36 · 38 · 40 · 42 · 44 · 46 · 48 · 56 · 58 · 82 · 88
1번 국도
300px
목포~신의주
시점전라남도 목포시 달동(고하도)
종점통일대교(자유IC)[1]
판문점[2]
평안북도 신의주시 상반동[3]
총 구간496.05km
895km(북한지역 포함 시)
경유지전라남도 무안군, 함평군, 나주시
광주광역시 남구, 서구, 북구, 광산구
전라남도 장성군
전라북도 정읍시, 김제시
전라북도 전주시, 완주군, 익산시
충청남도 논산시, 계룡시
대전광역시 유성구
충청남도 공주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북도 청주시[4]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천안시
경기도 평택시, 오산시, 화성시
경기도 수원시, 의왕시, 안양시, 광명시[5]
서울특별시 금천구, 영등포구
마포구, 은평구
경기도 고양시, 파주시

1 개요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출발하여 평안북도 신의주시까지를 잇는 대한민국의 종축 국도 중 하나이다. 두말 할 필요 없이 길이가 길고 아름답다.국내 최초의 국도로도 알려져 있다.

국도의 호남선이다. 서울특별시-고양시-파주시만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의 구간은 철도 호남선 계통이 지나는 곳은 대부분 지나간다고 보면 된다. 반면에 국도의 경부선은 없다.[6]
경수산업도로는 바로 이 국도 1호선의 수원 - 서울 구간을 가리키고 역사적으로도 옛날부터 쓰인 길이 몇 곳 있다고 한다.[7]

경부고속도로의 영향 때문에(경부고속도로의 번호가 하필이면 1번이라...) 1번 국도도 부산에서 시작해서 신의주로 가는 줄 아는 사람들이 많다. 헷갈리지 말자.

그런데 사실 우리나라 국토를 종축으로 나누는 국도 중에서 제일 서쪽을 맡는 도로가 1번 국도인데 정작 그 1번 국도를 따라 가다보면 서해안 구경은 하지 못한다.서해안을 따라 달린다는 어떤 고속도로도 정작 서해안 구경은 하지 못하는게 함정 7번 국도랑 가장 큰 대조를 이루는 부분인데, 이는 도로 자체가 도쿄 행 쌀가마니 셔틀 쌀의 징발 및 대륙진출 만주 침공을 위해 일제가 이렇게 만들어 놓았기 때문. 정 서해안 구경을 하고 싶다면 77번 국도를 이용하자. 하지만 완공까지는 머나먼 여정

마지막까지 2차선으로 남아있었던 장성군~정읍시 구간의 확장공사가 끝나면서 실질적으로 남한에서만큼은 전구간이 왕복 4차로 이상의 국도가 되었다. 근데 이 구간이 호수를 끼고 은근히 돌아간다.

2 역사

1번 국도의 일부 구간은 조선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고 있었다!!!

서울에서 수원까지의 구간은 조선 정조 시기 놓인 시흥대로, 경수대로와 겹치며, 서울에서 의주까지 이어지던 조선 시대의 의주로는 중국과의 사신 왕래에 사용되는 주요 도로였기 때문에 국가에서 관리하였으며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는 지금의 1번 국도와 겹친다. 의주로는 책문을 넘어 베이징까지 이어지기에 연행로라고도 하였다.

일제 강점기에 들어 일제는 목포에서 서울을 거쳐 신의주까지의 도로를 정비하여 국도3호선(목포~경성)국도2호선(경성~신의주)으로 각각 명칭하였다. "신작로"라 불린 새 도로는 대부분 조선시대의 대로를 사용하였으나 여러 구간에서 이전의 도로망을 버리고 새로 조성하였다. 이는 일제가 기존 도읍 사이의 지리적 관계보다는 직선 도로를 선호하였기 때문이다. 서울 북부의 경기도 구간에서는 고양시 덕양구 선유동에서 파주시 문산읍 신원리까지의 통일로 구간은 조선시대의 의주로와 겹치나 의주로의 그 이외 구간은 지금의 1번 국도와 39번 국도 그리고 307번 지방도에 걸쳐 있다. 천안 이남의 구간에서는 조선 시대 우로였던 제7로의 구간 대신 대부분 새로 길을 조성하였다. 조선의 7로는 천안 - 차령 - 공주 - 논산으로 이어졌으나 1번 국도는 천안 - 조치원 - 대전 - 논산으로 연결된다. 일제는 이렇게 놓인 1번 국도를 이용하여 서울 이북 구간은 만주 침략의 이동로로 호남 구간은 징발된 쌀의 운송로로 사용하였다.

1번 국도는 한국 전쟁 이후 그 구간이 임진각까지로 잠시 한정되었다. 그 뒤에 1979년부터 1983년까지 논산시과 대전광역시 구간, 완주군 삼례읍과 논산시 연무읍 구간, 1994년부터 1999년까지 연기군 조치원읍 구간이 4차선으로 확장, 완공되었다. 2000년에는 경의선 도로 연결 공사로 개성공업지구와 연결되었다. 2010년, 전주시를 우회하는 새로운 국도 1호선이 완공되었다. 세종특별자치시의 설치에 따라 행정도시를 관통하는 구간이 왕복 6차로로 확장 되었다.

2012년 6월 29일, 목포대교가 개통이 되어 국도 제 1호선 기점이 유달산우체국 부근에서 목포대교 종점인 고하도 ~ 허사도 (신외항)로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2012년 기준 국도 제1호선의 총 연장은 943.37km로 이전 길이 939.1km 보다 약 4.27km가 연장되었다. 실제 노선 변경은 2013년 2월 28일이 되어서야 이루어졌다.

3 경로

450px-%EA%B5%AD%EB%8F%841%2C2%ED%98%B8%EC%84%A0%EC%8B%9C%EC%9E%91%EC%A0%90.JPG
목포시 구목포 일본영사관 앞에 가보면 1번 국도, 2번 국도 기점 기념비 표지석이 있다. 참고로 현재 2번 국도 시작점은 신안군 장산면이고, 1번 국도 시작점은 목포시 달동(고하도)이다.

전체적인 노선을 보면 목포시-무안군-함평군(학교)-나주시-광주광역시-장성군-정읍시-김제시(금구)-전주시-완주군(삼례)-익산시(금마)-논산시-대전광역시[8]-세종특별자치시(중간에 청주시 오송읍 상봉리를 스친다.)-천안시-평택시-오산시-화성시(병점)-수원시-의왕시-군포시-안양시-광명시-서울특별시-고양시-파주시-판문점[9] 순으로 올라온다.

의외로 서울 도심을 지나지 않는다. 서울역 앞에서 구파발까지 이어지는 통일로를 1번 국도 구간이라고 착각하기 쉬운데, 현재는 국도구간에서 해제되었다. 과거에는 시흥대로-여의대방로(당시 대방로)-한강대교-한강대로(당시 한강로)-통일로(당시 의주로+통일로)가 1번 국도였지만, 현재는 성산대교가 이 구간에 들어가 있으며 이남으로는 헬게이트 서부간선도로가 경수산업도로와 연결되고, 북으로는 상암월드컵경기장 주변을 돌아 서울 지하철 6호선 라인과 만나서 증산로-연서로를 타고 연신내역까지 와서 통일로를 통해 구파발-벽제-금촌-문산으로 빠져나간다.

현재 시흥대교가 왕복 6차로로 9월에 확장되었다.

북한 지역 구간은 -판문점-개성시-평산군(남천읍)-사리원시-평양시-안주시(신안주)-정주시-선천군을 거쳐 신의주시에서 끝난다.

3.1 도로명

북쪽부터 남쪽으로 통일로 - 연서로 - 증산로 - 월드컵로 - 농수산시장로 - 성산로 - 서부간선도로 - 안양천로 - 금하로 - 시흥대로 - 경수대로 - 경기대로 - 천안대로 - 세종로 - 반포세종로 - 금백로 - 백운로 - 계백로 - 논산대로 - 득안대로 - 호남로 - 선비로 - 정읍대로 - 하서대로 - 북문대로 - 죽봉대로 - 대남대로 - 서문대로 - 영산로 - 예향로 - 영산로 - 고하대로이다.

이 도로 중 서울특별시 은평구 연신내역 사거리~경기도 파주시 진서면 어룡리 구간을 통일로[10]로, 서울 남부의 안양천변 둔치 구간을 서부간선도로로 지정해서 따로 관리하고 있다.[11] 게다가 수원시에는 비상활주로가 1번 국도로 지정되어 있었다.[12] 흠좀무. 활주로를 국도로 쓰다니!!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유사시 전투기가 써야 하는 곳이었다.[13] 나주시 산포면 (구) 1번 국도 선상에도 비상활주로가 있었으나 이 쪽은 90년대 말에 우회도로 완공으로 국도에서 지정해제되었다.

4 고속도로 접속

고양시에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통일로IC), 안양시에서 제2경인고속도로 (석수IC)와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평촌IC), 의왕시에서 과천의왕고속화도로 (의왕IC), 영동고속도로 (부곡IC, 북수원IC)[14], 화성시에서 오산화성고속도로 (안녕IC), 오산시에서 경부고속도로 (오산IC)와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북오산IC), 천안시에서 경부고속도로 (천안IC)와 논산천안고속도로 (남풍세IC, 남천안IC), 익산시전주시완주군김제시정읍시장성군광주광역시에서 호남고속도로 (삼례IC, 전주IC, 서전주IC, 금산사IC, 김제IC, 태인IC, 백양사IC, 장성IC, 북광산IC, 광산IC, 동림IC, 서광주IC), 함평군에서 무안광주고속도로 (동함평IC), 무안군에서 서해안고속도로 (무안IC, 목포IC)[15]와 만난다.

5 이야깃거리

  • 1번 국도에 대한 관련 작품으로 2010년 MBC 드라마 로드 넘버 원이 있다.
  • 수원 삼성 블루윙즈안양 LG 치타스/FC 안양더비 매치지지대 더비경수대로 영동고속도로 북수원 나들목 구간에 있는 지지대(遲遲臺) 고개에서 유래됐다.
  • 교통특채로 채용된 경찰이 수원시에 위치한 파장천사거리의 교통신호를 개선하여 속도가 43% 향상된 사례가 언론에 소개된적이 있다.[16]
  • 왕궁온천아파트에서 금마사거리까지 일반도로 구간이 있는데 옛 1번국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실제로 이 구간을 지나다보면 옛날 도로 표지판이 있다. 버스로는 익산버스 66번 65번이[17]이 구간을 지난다
  1. 민간인이 최대로 진입할 수 있는 구간이다. 그 위는 민통선구역이라 출입허가가 없으면 자유롭게 건널 수 없다.
  2. 주소는 경기도 장단군파주시 진서면 어룡리
  3. 종점은 신의주이나 현실적인 이유로 2곳 다 기입
  4. 조치원생활권인 오송읍 상봉리를 잠깐 지난다.
  5. 1번국도중에 지나가는 구간이 가장 짧은 도시다. 1km도 안되는 수준
  6. 당연하게도 거긴 경부고속도로가 있으니깐.... 그래서 서울~부산은 고사하고 대전~부산마저도 단일 번호로 잇는 일반 국도는 없다. 굳이 경부선 연선을 고속도로 이외로만 따라가려면 1번 국도>세종시도 13호선>17번 국도>4번 국도>25번 국도>58번 국도>1022번 지방도>35번 국도>7번 국도 순으로 가시면 되겠다. 77번 국도도 단일번호긴 하지만 뭐 어차피 1~10번 국도가 격자망이라 1>4>7같이 잘 조합해서 부산을 갈 수 있다.
  7. 북쪽으로는 조선시대에 사신 접견을 위해 매우 중요했던 최대 간선로인 의주로, 남쪽으로는 조선시대 정조 대왕이 수원으로 능행을 갈 때 이용되던 길 일명 수원별로(대표 구간은 그 유명한 지지대 고개)와 수원 이하로는 조선시대 주요 간선도로였던 삼남대로와 경상우로(삼례에서 분기)의 일부 구간.
  8. 과거에는 논산에서 서대전으로 진입, 현 계백로를 이용 대전시가지를 관통하여 서대전네거리역에서 계룡로를 이용 유성으로 넘어가는 루트였으나 2000년대 초반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과 공주시 반포면을 잇는 우회도로가 생긴 이후로는 이 도로와 동학사-계룡대 방면 산악도로가 1번 국도가 되어 대전광역시를 지나가지 않게 되었다. 그러다가 2000년대 후반 대전 방동에서 공주시로 넘어가는 계룡터널 및 고속화도로가 생긴 이후로 다시 이곳이 1번국도 구간으로 되어서 현재는 1번국도가 대전광역시살짝 스치고지나간다.
  9. 바로 그 돌아오지 않는 다리가 1번 국도 구간이다.
  10. 통일로 자체의 기점은 서울역 앞이다. 서울역 앞~홍은사거리 구간은 원래 '의주로'(평안도 의주로 가는 길이라 하여 명명하였으며, 법정동명으로 의주로1~2가가 남아 있다)였으나, 2010년 도로명 개편으로 통일로에 통합되어 도로명은 폐지되었다.
  11. 정확히는 금천나들목까지. 즉, 기아대교 있는 쪽은 아니다.
  12. 고도제한 때문에 없어졌다.
  13. 이 경우는 경부고속도로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바로 성환활주로와 신갈교차로~죽전휴게소 구간, 김천분기점 서쪽구간이긴 한데, 성환활주로는 이제 북천안 나들목으로 바뀌어서 더이상 볼 수 없게 되고, 김천구간은 2000년대 초에 활주로에서 해제되었다.
  14. 국도를 기준으로 할 때 접속도로는 의왕시에서 시작함
  15. 무안군 삼향읍 유교리와 목포시 삼향동에 걸쳐 있다.
  16. 연합뉴스 "교통특채 경찰, 교차로 '숨은 10초' 개선..속도 43%↑"(2016년 7월 18일)
  17. 66번은 중간에 학연으로 빠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