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를 마시는 새에 등장하는 부대명. 병력 전원이 레콘으로 구성된 전투부대다.[1]
발케네공 락토 빌파가 치천제를 잡기 위해 준비한 비장의 카드로, 일만 명의 레콘으로 구성돼 있으며 지휘관은 힌치오, 참모는 팔리탐 지소어다.
아라짓 제국군에도 엉겅퀴, 왜솜다리, 고추냉이, 민들레 여단 등 레콘으로 구성된 전투부대가 있지만 각 여단의 병력은 각 천 명뿐이다. 사라티본 부대는 그 열배에 달하는 엄청난 규모로, 첫 출현 시 구만 제국군이 몰살을 각오해야 했을 만큼 파괴적인 병력이다.
스카리 요새의 진정한 목적. 제2차 대확장 전쟁 이후 공격과 방어를 나누는 거점의 형태는 의미가 없어졌다. 뱀단지, 어르신, 딱정벌레 등 전쟁용 통신수단이 혁신적으로 발전한 이후 군사력은 공격과 방어를 모두 수행해야 의미가 있어졌기 때문이다.[2] 그렇기 때문에 험지에 지어지는 요새인 스카리 요새는 시대착오적인 군사시설이었고, 진짜 목적은 요새를 짓는다면 당연히 타고난 공사인력인 레콘이 모일 것을 노린 것. 때문에 원래는 그냥 '스카리 요새군'으로 불리웠다. 이후 발케네 전쟁 중 사라티본 평야에서 벌어진 대회전에 첫 출전한 뒤 물을 맞고 돌아온 이들을 락토 빌파는 사라티본 부대라 명명한다.
사라티본 평야에서 처음 출현한 사라티본 부대를 보고 제국군은 경악을 금치 못했다. 비록 조직력이 엉성하고 훈련이 덜 된 탓에 엉겅퀴 여단에게 발목을 잡히거나, 영웅적인 아홉 부위의 희생과 테룸 나마스 하장군의 기병 돌격에 고무된 제국군의 반격으로 잠시 주춤하기도 했지만, 제국군의 전멸은 거의 확실했다.만화판
그러나 천경유수 지알데 락바이가 감행한 하늘누리 낙수 작전에 의해 상황이 뒤바뀌게 되는데, 물을 뒤집어 쓴 레콘 태반이 미치거나 뿔뿔이 흩어지고 만 것이다. 데뷔 무대가 그대로 고별 무대가 될 뻔 했지만, 물을 뒤집어 쓰고도 제 정신을 유지한 힌치오에 의해 약 육천 명 가량이 무사 귀환한다. 이를 두고 팔리탐은 부대의 사할이 한 순간에 사라진 실패라고 평하지만, 락토나 아실은 무려 육천 명이나 남은 기적적인 성공이라 평가한다. 심각한 공수증 환자인 레콘이 물을 뒤집어 쓰고도 이탈하지 않고 지휘관을 따라 움직임으로써, 비로서 사라티본 부대가 군대다운 군대로 재탄생했다는 것에 의미를 둔 것으로 보인다.
이후로도 몇번 싸우긴 하지만 그닥 큰 결과는 내지 못했다가 하늘누리와 황제가 실종(...), 더불어 락토 빌파가 스카리 빌파에게 죽어버리고 이들은 무한정 대기 모드가 된다. 사실 스카리도 사라티본부대가 꼭 필요했다기보다는 사라티본 부대가 가지는 위광[3] 및 아버지의 유산을 계승한다는 의미 때문에 거둔 것에 가깝다.
이후 락토의 원래 계획은 황제를 이긴 후 사라티본 부대를 해체할 예정이었던 것으로 보이고, 팔리탐도 그것을 종용하나 락토를 승계한 스카리 빌파는 쌩까고부대를 해체하지 않고 유지함으로써 이후 발케네의 여러 정복사업깡패짓에서 핵심적으로 활약한다.
- ↑ 이 말은 바꿔 말하면 수백만에 달하는 인간 부대쯤은 식후 운동쯤으로 날려버릴 수 있는 천재지변과 같은 전투력을 가진 부대라는 뜻이다!
- ↑ 이 점은 현대전과도 유사하다.
- ↑ 실제 행사하지 않더라도, 여차하면 성을 통째로 묻어버릴 수 있는 무력행사가 가능하다는 것 만으로도 이미 영향력은 차고넘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