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직제도

교회의 성직 계급제도

초대교회 때부터 그리스도교 교회는 주교, 신부, 부제의 삼성직으로 이루어진 교계제도를 갖추었다.

사도들은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뽑힌 신약의 대사제이고, 사도들은 자신들이 활동하던 그 시절에 자신들의 후계자를 미리 세워 놓았다. 그리고 그 후계자들은 사도들로부터 신약의 대사제직을 물려받았으며 그들을 주교라고 부른다. 그렇기에 사도들을 최초의 열두 주교라 볼 수 있다.

부제사도행전에 나오듯이 최초의 주교들인 사도들이 자신들은 복음 전파와 기도에만 신경 쓰기 위해 도우미를 뽑은 것에서 연원된다. 그런데 2세기가 넘어가면서 부제들이 미사 때에 복음서를 낭독한다

가장 잘 알려진 부제사도행전에 나오는 성 스테파노 부제 순교자인데, 이 사람이 유대교 의회에서 구약성경에 의거해 예수 그리스도를 증거하다 돌 맞아 죽은 그 사람이다. 사실 유대인들 깠다현 교황이 교황명으로 삼은 성인인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성인도 부제였다.

그리고 신부주교들이 점점 관리해야 할 구역이 넓어지고, 사목할 신자들이 많아지니까 벅차다 싶어서 부제들 가운데에서 성체성사를 집전할 권리를 준 것에서 기원한다.

가톨릭정교회와 그 외의 오리엔트 정교들은 이 3개의 성직이나 이 3개 성직이 중심이 되는 성직계서제를 사용한다.

여담으로 교황은 최초의 열두 주교 중 으뜸인 사도 베드로의 후계자이기 때문에 모든 주교들 중에서 으뜸이고, 사도 베드로가 사도단의 수장이었기에 교황은 주교단의 수장이고, 베드로가 사도회의를 이끌고 결론지었기에 교황도 공의회를 열고 이끌고 결론지을 권한이 있다.[1]

그리고 교황이 로마의 주교인 것은 베드로가 로마에서 순교하면서 로마에 있는 자신의 후계자에게 자신의 모든 권한을 넘겨준 것에서 기원한다.

덧붙여서 개신교성공회감리교를 제외하고는 만인사제설을 주창하기에 성직자 자체가 없다. 그렇기에 성직제도도 없다.[2]
  1. 어렵게 설명하긴 했는데, 헷갈리지 마라. 교황도 주교다. 모든 주교들 중의 으뜸이지.
  2. 착각할 수도 있는데, 목사도 엄연히 평신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