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터미널 정류장

세종특별자치시 BRT
990
반석역 방면
반석역

10.0 km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지상)

1.6 km
오송역 방면
한솔동첫마을
1001
대전역 방면
보람동호려울마을
대평동해들마을

0.9 km
세종터미널
(지하)

1.6 km
오송역 방면
한솔동첫마을

世宗터미널 / Sejong Terminal

세종터미널 정류장
5101151012
5112251121

300px
2016년 7월의 정류장 모습 크게보기
세종특별자치시 BRT
BRT 990 개업일2013년 4월 22일
BRT 1001 개업일2016년 7월 20일

1 개요

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 한누리대로 지하에 위치한 세종특별자치시 BRT의 정류장. 1001번은 지하정류장을, 990번은 지상의 임시정류장을 사용하고 있다.

2 정류장 정보

990, 1001번 노선이 경유한다. 유성 방면 노선이 한누리대로에 접속하게 되는 지점으로, 정류장은 한누리대로 지하와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앞의 갈매로로 빠져나가는 지상도로에 위치해 있다.

개통 당시 정류장명은 행정도시 교통계획상 명칭인 남측환승터미널이었으나, 터미널이 건설되면서 BIS상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과거 정류장명은 옛 터미널 앞 정류장 시설물이나 개발계획상 명칭으로 사용 중이다.

2008년 만들어진 BRT 설계 기본계획[1]에서는 원래 지금보다 서쪽으로 한 블럭 떨어진 지점에 일반 지상 정류장으로 지어질 예정이었으나, 지구계획 수정으로 인한 교통 혼잡 우려로 한두리대교 남단부터의 3-1생활권 구간이 전부 지하화되고, 남측환승터미널 부지가 현 대평동해들마을 정류장(가칭) 위치에서 갈매로를 건너 지금의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위치로 옮겨오게 되면서 이 정류장을 지금의 위치로 옮겨와 남측환승터미널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 정류장과 대평동해들마을 정류장(가칭) 사이의 정류장 간 거리가 이상할 정도로 짧은(300m!) 이유가 이것. 기본계획에서는 약 600m 정도의 역간거리로 계획되어 그렇게까지 짧은 거리는 아니었다.

지하 정류장은 환기를 위해 천장이 뚫려있다. 그 외에도 성큰광장 등 충분한 환기 대책을 갖추고 있는 편.

3 정류장 주변 정보

남측환승터미널이라는 별칭답게 바로 앞에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이 위치해 있고, 인근에 시내버스 차고지가 위치해 있어 여러 지/간선 노선과 모든 600번대 지선버스가 이곳을 기점으로 운행한다. 주변의 3-1생활권지역은 2018년 입주를 목표로 현재 공사가 진행중이고, 이외에 대평삼거리 방향으로 600m 거리에 한국산업안전공단이 위치해 있으며 코스트코가 개점할 예정이다. 한두리대로 건너 북쪽으로는 모델하우스촌이 형성되어 있다. 나중에는 모델하우스촌 부지에 종합운동장이 지어질 예정.

4 연계 교통

4.1 고속 · 시외버스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문서 참조. 2017년경 BRT와 터미널이 통합된 복합환승센터가 건설될 예정이다.

4.2 시내버스

  • 차고지에서 BRT의 반석역 방면 진출입로에 위치한 정류장을 통해 출발하는 노선은 BRT 전용 지하도로를 일부 경유하며, 오송 방면 정류장에 종착하는 노선은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남쪽 도로변에 승객을 하차시킨 뒤 차고지로 들어간다.

오송역 방면 진출입로 정류장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반석역 방면 진출입로 정류장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갈매로 임시정류장 조치원 방면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2]

갈매로 임시정류장 대전 방면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3]

  1. 「행정중심복합도시 상급BRT 기본계획」 349·352·358쪽, ㈜유신
  2. 대평삼거리 건너 오른쪽에 위치해 있다.
  3. 터미널 앞 공터쪽 도로변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