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정부세종청사에 정차하는 고속·시외버스 정류장에 대해서는 세종청사고속시외버스정류소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세종특별자치시버스 터미널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조치원공영버스터미널
터미널 건물
터미널 실내
폐쇄 직후의 첫마을 임시터미널 건물

1 개요

2014년 9월 15일 운영을 시작한 세종특별자치시고속버스, 시외버스 터미널. 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 갈매로 37-12에 위치해 있다.

2012년 4월 한솔동첫마을 정류장의 도로변 시내버스 정류장을 승하차장으로 사용하여 임시로 터미널 운영을 시작했다. 임시터미널 당시에도 고속버스 등 발착 노선이 많아 정류장 혼잡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터미널 조기 착공이 논의되면서 남측환승터미널 부지에 간이 터미널 건설이 결정되어 2014년 9월 15일에 현 위치에 이전 개장했다. 원래는 8월 25일 이전되는 것으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공사가 지연되는 바람에 미뤄진 것. 8월 25일 당일에도 진입로가 비포장 상태로 남아 있었다.

행정중심복합도시 3-1생활권의 중심에 위치해 있다. 기존 첫마을 임시터미널의 시설 문제로 인해 이전이 결정된 이후 가건물로 건설되었으며, 터미널 건물은 2017년부터 민간자본 투자를 유치하여 복합환승시설로 지어질 예정이라 매표소, 승객 대기실 등 지상 2층 총 939제곱미터 규모에 승차홈 8구, 하차홈 2구, 버스주차장 18면을 갖춘 비교적 소형 터미널로 지어졌다. 현 시점에서는 시골 터미널과 큰 차이를 느끼기 어려운 수준. 복합환승터미널 건물은 현 부지 내 임시터미널 건물 반대편에 지어질 예정이다.

터미널 내에는 농협은행ATM과 현금인출기, 자판기, 매점, 수유실, 직원 숙소, 정수기, TV와 의자 몇 열이 갖춰져 있다. 주변이 황무지인 이상 매점 뿐이라 여기서 제대로 된 식사를 하기는 힘드니 휴게소나 위쪽 첫마을에서 해결해야 한다.

터미널 이전 이후 한동안 BRT 전용도로로 들어가는 일반 차량과(이쪽은 불법이다.) 시외/고속버스 차량이 자주 보이곤 했다. 보통 한누리대교 끝에서 빠져나가지만 가끔 정부청사까지 쭉 가는 경우도 꽤 있었다. 다만 BRT특별법 시행과 함께 금남교를 통한 갈매로 우회 루트가 정착되면서 꽤나 보기 힘든 풍경이 되었다.

2 노선

2.1 고속버스

서울경부 노선은 정안IC를, 나머지 노선은 남세종IC를 이용한다. 따라서 선산 휴게소에 들어올 수 없다. 그리고 어차피 선산 휴게소를 경유하려면 좋든 싫든 청주JC까지 가야 한다. 물론 방법은 있는데 남청주IC 루트로 바꾸면 된다.
(부산종합행)/울산에 공동 배차하는 경북코치서비스, 대원고속을 제외하면 전 노선을 E-Pass로 승차가 가능하다.

2.2 시외버스

3 시내교통

3.1 세종특별자치시 BRT 세종터미널 정류장

세종터미널 정류장 문서 참조.

3.2 시내버스

1000번 광역버스. 991번 급행버스, 601번 간선버스, 655를 포함한 600번대 지선버스 모두와 215번, 340번 지선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1. 이동 1군 모두가 참여하며 정부세종청사를 경유하는 노선이다.
  2. 이동 2016년 4월 1일부로 증회
  3. 이동 1일 5회 운행, 4회는 자운대발, 1회는 공주발이다. 즉 경유지다.
  4. 이동 2016년 6월부터 유성으로 기점 변경, 향남 경유.
  5. 이동 안양에서 대전복합터미널가는 버스가 하루 3회 이곳을 경유한다.
  6. 이동 구리 경유
  7. 이동 2013년 5월 7일 개통되었으며 대구-구미-세종-평택 노선으로 하루 3회 운행한다. 세종, 구미는 경유지이다.
  8. 이동 2015년 8월 25일 개통, 광주광역시가 기점이다. 3회 운행으로 우등고속으로 운행한다. 몰론 세종 - 광주 구간 승차가 가능하다. 단 공주는 경유하지 않는 무정차다.
  9. 이동 일부 자운대 종착
  10. 이동 공주산성동, 유구
  11. 이동 장항공용정류장 종착
  12. 이동 광천, 내포
  13. 이동 대전과 경상북도청신도시 경유
  14. 이동 1일 9회. 일반형 6회 중 1회는 공주, 광주 경유 함평행, 5회는 공주 경유 광주착이며, 우등형 3회는 무정차 광주착. 요금은 전회 12,700원(함평행 17,100원). 2016년 6월 25일부터 광주 - 세종 - 김포공항 노선이 1일 3회로 감회되면서 심야우등 시간이 사라졌다.
  15. 이동 수원/부천발이 존재한다.
  16. 이동 2015년 6월 11일 개통, 공주, 광주광역시를 경유한다. KOBUS에서 예매가 가능하지만 엄연히 시외버스다. 금호고속에서 운행하며 티머니 E-pass를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수동으로 검표한다.
  17. 이동 순천/여수, 목포 노선은 금호고속 단독으로, 순천/여수는 천안, 목포는 오산이 기점이다. 특히 목포 노선은 과거 목포-광주-세종시/세종청사-서울남부 노선이 (함평)/광주-(공주)-세종 노선으로 통합된 이후 다시 개통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