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의 토론방에서 토론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의견 개진을 원하는 사용자는 해당 토론으로 이동해 주시길 바랍니다. 토론이 종결되면 해당 틀을 떼어주시기 바랍니다.
충북선 | |||||
조치원 방면 조치원 | ← 4.4 km | 오 송 | → 7.0 km | 봉양 방면 청 주 | |
오송선 | |||||
서창 방면 서 창 | ← 4.6 km | 오 송 | 시종착 | ||
경부고속선 | |||||
금천구청 방면 천안아산 | ← 28.6 km | 오 송 | → 35.1 km | 부산 방면 대 전 | |
호남고속선 | |||||
분기점 (경부고속본선) | ← 0.7 km | 오 송 | → 43.8 km | 광주송정 방면 공 주 | |
↓ 여객열차 운행계통 보기 ↓ | |||||
↓ BRT 운행계통 보기 ↓ |
이 역과 청주역 사이에 미호역이 있었으나 1974년에 폐역되었다. |
五松驛 / Osong Station
오송역 |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Osong |
한자 | 五松 |
중국어 | 五松 |
일본어 | オソン |
278px 구역사 | |
278px 신역사 | |
주소 |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가락로 123 (舊 봉산리 370-31) | |
일반 철도 | |
운영기관 | 코레일 대전충남본부 |
개업일 | 1921년 11월 1일 |
KTX 운행 개시일 | 2010년 11월 1일 |
무궁화호 운행 개시일 | 1984년 1월 1일 |
O-train 영업개시일 | 2013년 4월 12일 |
역 등급 | 충북선 : 관리역 KTX : 배치간이역 |
파일:Attachment/stamp 1 21 1.gif
▲ 오송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판 내용은 오송역/비판 문서로 이관되었으니 그쪽에서 쓰시기 바랍니다. |
목차
1 개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가락로 123 (舊 봉산리 370-31번지)에 위치한 철도역. 경부고속선 - 호남고속선의 분기역이자 충북선과의 환승역이다.
원래는 충북선상에 위치한 화물 취급용 간이역으로 여객 취급도 1983년 2월 1일 부로 중단되었었다. 그러나 1991년 9월 19일 경부고속선이 충북선 오송역 바로 위를 지나가는 것으로 경로가 최종 확정되면서 이 역의 운명이 바뀌었다. # 충청북도 소재 철도역으로는 유일하게 KTX가 정차하는 역으로, KTX가 정차하기 시작한 2010년 11월 1일부터 모든 충북선 여객열차가 정차하는 역이 되었으며 2014년 7월 1일부터 조치원역 출퇴근으로 TMO가 설치되었다.[1] 실적이 좋을 시 상설화할 예정이다.
천안아산역처럼 일반철도는 아래에, KTX 전용역은 고상에 설치되어 있다.
현재 세종특별자치시 행정중심복합도시 지역에서 가장 가까운 KTX 정차역으로, 정부세종청사 및 기타 국책기관의 수요가 있어 세종특별자치시 BRT가 오송역과 행정중심복합도시를 연결하고 있다.
외곽지에 있는 관계로 개통 초기에는 하루 평균 4000명이 이용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이러한 예상을 완벽하게 뒤엎고 개통 약 2년만인 2013년 하루 평균 이용객 5000명대를 돌파하였고, 세종특별자치시 개발 이후 더욱 가파르게 성장하여 호남고속선 개통 직전인 2015년 1분기 기준 하루 평균 이용객 9182명, 호남고속선 개통 후 11556명으로 초기 예상 이용객의 세 배에 가까운 괄목할 만한 실적을 보였다. 이는 2013년까지 이용객 수가 비등하던 포항직결선 개통 직전의 신경주역 이용객 수(6500명)보다도 많고 호남고속선 개통 이후의 광주송정역(11000명)과 비슷한 수준이다. 기사 또한 같은 시기에 누적 이용객 8백만명을 달성하고 호남고속선 개통으로 정차 편수가 두 배 가까이 늘어나 늘어난 수요에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
2015년 7월 지역 언론에서 나온 보도에 따르면 하루평균, 15000명에 가까운 이용객이 이용하는 그야말로 폭풍성장의 결정판을 보여 주고 있으나, 저 이용객의 대부분은 BRT 타고 15분 거리에 있는 세종시의 행정중심복합도시로 간다. 기사1기사2기사3기사4 오송역 옹호론을 펼치는 이들은 청주에서도 30%가량 탄다며 궤변을 늘어놓지만[2] 이건 사실상 자폭 수준이다. 거리도 더 가깝고 인구도 훨씬 많은(청주시 인구 80만 이상, 세종시 인구 20만) 지자체를 위해 선형을 휘어가며 유치한 역을 정작 본인들은 거의 쓰고 있지 않다는 것이기 때문.
2015년 9월 19일 뉴시스의 기사에 따르면, 오송역 일평균 이용객은 4월부터 꾸준히 1만명대를 기록하고 있다고 한다. 2016년 이후에도 정착률 증가로 인한 이용 패턴 변화와 고속버스의 선전으로 1만명대 초반을 벗어나지 못하는 중.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동년 7월 대전역 방면 BRT가 개통되어 일정 수준 존재하던 경부선 하행 수요도 대거 이탈할 것으로 보인다.
2 승강장
2.1 충북선
↑ 조치원 | |||||||
ㅣ | 11 | 12 | ㅣ | ㅣ | 13 | 14 | ㅣ |
청주 ↓ |
11·12 | 충북선 | 무궁화호 | 조치원·대전·서울 방면 |
13·14 | 충북선 | 무궁화호 | 청주·충주·제천 방면 |
아주 특별한 일이 없는 이상 여객열차용으로 11,14번은 사용하지 않는다.
2.2 KTX
↑ 천안아산 | |||||||||||||||||||||||||||||||||||||||||||||||||
ㅣ | ㅣ | 8 | 7 | ㅣ | 6 | 5 | ㅣ | ㅣ | ㅣ | ㅣ | 4 | 3 | ㅣ | 2 | 1 | ㅣ | ㅣ | ||||||||||||||||||||||||||||||||
공주 ↓ | 대전 ↓ | 공주 ↓ |
1·2 | 호남고속선 | KTX | 목포·광주송정·여수·순천·전주·익산·공주 방면 |
3·4 | 경부고속선 | KTX | 부산·포항·동대구·진주·마산·대전·서대전·익산 방면 |
5·6 | 경부고속선 | KTX | 인천공항·서울·광명·천안아산 방면 |
7·8 | 호남고속선 | KTX | 인천공항·용산·광명·천안아산 방면 |
경부고속선의 통과선은 정중앙에, 호남고속선의 통과선은 맨 바깥에 있다.
3 역 주변 정보
역 북쪽으로 역세권개발사업의 일종인 오송생명과학단지가 조성되고 있으며 오송산단 남쪽에는 궁평리 시가지가 위치해 있고 역 서남쪽으로 오송읍 시가지가 위치해 있다. 역 서북쪽으로 경부고속선을 따라 오송고속철도시설사무소가 위치해 있다. 오송역세권개발사업도 다시 추진 예정이다.
4 연계교통
4.1 시내버스
4.1.1 세종특별자치시 BRT 오송역 정류장
세종특별자치시 BRT | |||||
990 | |||||
반석역 방면 한별리 | ← 13.5 km | 오송역 | 시종착 | ||
1001 | |||||
대전역 방면 한별리 | ← 13.5 km | 오송역 | 시종착 |
五松驛 / Osong Station
오송역 정류장 | |
13012 | |
| |
세종특별자치시 BRT | |
BRT 990 개업일 | 2013년 4월 22일 |
BRT 1001 개업일 | 2016년 7월 20일 |
세종특별자치시 BRT 990번, 1001번 노선의 종점이다. 국책기관 방면 정류장을 승/하차장으로 사용한다. 반석역 정류장과는 달리 청주시 BIS에 등장하지 않는다.
행정도시 최초 계획 당시에는 행정도시-오송 간 연결도로의 시점이 6생활권 지역(現 난수로-한누리대로 교차점, 舊 북측환승터미널)이었으나, 2010년 모종의 이유로 계획이 변경되면서 북측환승터미널과 함께 현재의 5-3생활권 지역으로 옮겨졌다. 오송역으로 가는 BRT가 뜬금없이 세종오송로 진입부에서 멀쩡한 지하 입체교차로를 비껴가는 이유가 이런 이유. 덕분에 원안보다 운행거리가 수백 m 증가해 소요시간이 소폭 늘어났다.
4.1.2 청주시 시내버스
급행버스 747번이 가경터미널을 거쳐 청주국제공항으로 간다. 배차간격은 25분. 가경터미널까지의 소요시간이 기존 45분에서 20분으로 대폭 단축되었다.# 하지만 747을 이용할 때 주의할 점이 있다. 시내에서 747을 타고 오송역으로 들어올 때 불법주차차량들[3] 때문에 정류장으로 진입을 못해서 버벅이다가 다른 길로 우회해서 들어갈 때 많다. 의외로 이 과정에서 시간을 많이 잡아먹으므로 기차시간에 유의.
이외에 청주시 시내버스 청주 버스 52, 청주 버스 53, 청주 버스 57, 청주 버스 63, 청주 버스 500, 청주 버스 511, 청주 버스 525, 청주 버스 750, 청주 버스 751을 이용할 수 있다. 525번을 타고 조치원역과 오송산단, 500, 511, 517번을 타고 시청/도청[4] 및 가경터미널로 갈 수 있으며 배차 간격은 전부 합하면 10~15분이다.
5 비판 및 논란
해당 문서 참고.
6 여담
역구내 안내판에서 東大邱(동대구)라고 적어야 하는 한자 표기를 凍大口(얼 동/큰 대/ 입 구)라고 적어 놨다. # 얼린-생선-대구 (...)
2015년 6월 2일 오송역 안내사항 게시판에 메르스 예방 지침이 공시됐는데, 여기에 일반적인 예방 지침과 더불어 보건복지부에서 미공개 원칙을 밝혔던 메르스 접촉 병원과 발병 지역 목록이 적혀 있어 논란이 되었다. 기사 현재로서는 병원목록이 모두 공개되었기에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7 여객열차 운행계통
현재 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의 토론방에서 토론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의견 개진을 원하는 사용자는 해당 토론으로 이동해 주시길 바랍니다. 토론이 종결되면 해당 틀을 떼어주시기 바랍니다.
고속여객열차 | |||||
경부고속선 KTX | |||||
인천국제공항 방면 천안아산 | ← 28.6 km | 오 송 | → 35.1 km | 부산 방면 대 전 | |
경부선 KTX | |||||
행신 방면 천안아산 | ← 28.6 km | 오 송 | → 35.1 km | 부산 방면[5] 대 전 | |
동해선 KTX | |||||
인천국제공항 방면 천안아산[6] | ← 28.6 km | 오 송 | → 35.1 km | 포항 방면 대 전 | |
호남고속선 KTX | |||||
인천국제공항 방면 천안아산 | ← 28.6 km | 오 송 | → 43.8 km | 목포 방면 공 주 | |
호남선 KTX | |||||
행신 방면[7] 천안아산 | ← 28.6 km | 오 송 | → 33.0 km | 익산 방면 서대전 | |
경전선 KTX | |||||
인천국제공항[8] , 행신[9] , 서울 방면 천안아산 | ← 28.6 km | 오 송 | → 35.1 km | 진주, 마산 방면 대 전 | |
전라선 KTX | |||||
인천국제공항 방면 천안아산 | ← 28.6 km | 오 송 | → 43.8 km | 여수EXPO 방면 공 주 | |
수도권고속선 SRT | |||||
천안아산 | ← 28.6 km | (미개통) | → 35.1 km | 대 전 | |
급행여객열차 | |||||
충북선 무궁화호 | |||||
동대구 방면 조치원 | ← 4.4 km | 오 송 | → 7.0 km | 영주 방면 청 주 | |
충북선 누리로 | |||||
대전 방면 조치원 | ← 4.4 km | 오 송 | → 7.0 km | 제천 방면 청 주 | |
서울 방면 전 의 | ← 18.8 km | → 7.0 km | 제천 방면 청 주 | ||
관광열차 | |||||
중부내륙순환열차 | |||||
서울 방면 천 안 | ← 34.1 km | 오 송 | → 7.0 km | 철암 방면 청 주 |
- ↑ 꽤 구석에 있고, 손님이 오면 기겁할만한 역이다 보니 불친절하다. 참고할 것.
- ↑ 옹호론의 관점에 치우친 수치이고 객관적인 근거가 전혀 없긴 하지만 행정도시 입주 전까지 이용객 수가 3천명대에 머물러 있었음을 생각한다면 이용객 자연 증가를 고려해 대충 저것과 비슷한 수준임을 유추할 수는 있다.
- ↑ 약 십여대의 차량이 길을 메우고 서있는데도 경찰이 단속을 안한다.
- ↑ 511, 517은 시청, 500은 도청
- ↑ 구포 경유
- ↑ 상행 무정차 통과
- ↑ 하행 한정으로 행신역에서 출발하는 열차편이 하루 2편이 존재한다. 상행은 모두 용산행
- ↑ 진주발 한정
- ↑ 마산발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