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라

1 修羅

불교용어로 불교의 팔부신중의 하나인 아수라의 줄임말이다. 아수라가 좋아하는 싸움과 연관지어서 싸움 때문에 막장으로 치달은 사람이나 그런 상황을 묘사할 때 사용한다. 여기서 따온 낱말로 수라장이 있다.

갈 것인가 수라의 길로라는 대사가 유명하다.

1.1 백석의 시 "수라"

가족의 흩어짐으로 인한 고통과 가족 공동체 회복에 대한 소망을 담은 시이다. 일제 강점기 시절 시인 백석이 지었다.
중학교 국어② 천재교육 노미숙 교과서에 비평문과 함께 실려 있다.

1.2 각종 매체

1.2.1 사무라이 스피리츠

사무라이 스피리츠 잔쿠로 무쌍검부터 아수라 참마전까지 나오는 개념. 외수판에서는 'Slash'. 캐릭터 선택시 수라와 나찰을 고를수 있으며, 그 둘은 각각 기술이 다르다던가, 승리 포즈가 다르다든지 등의 차별화를 두었다. 대체적으로 나찰보다는 덜 거친 편이다.

1.2.2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의 수라계 사람

수라(슈퍼로봇대전) 참조.

1.2.3 북두의 권

수라국에 사는 남자들로서, 어렸을때부터 혹독한 단련을 통해 감정을 버리고 오로지 투쟁만을 위해 존재하는 기계가 된다. 그야말로 약육강식을 몸소 실천하고 있는 투사들.

1.2.3.1 북두의 권 -심판의 쌍창성 권호열전-의 고수

초/중수는 모히칸이라고 한다. 북두 성지인 나카노 TRF 게임센터에서는 모히칸 졸업시험을 통과하면 수라가 될 수 있다. 졸업한 시점부터 모히칸 대회에는 엔트리 불가.

1.2.4 네이버 웹툰 쿠베라의 주요 용어 수라

과 대적하는 종족. 상급수라인 라크샤사 쯤 가면 신과 동격이고 태초에는 실제로 신과 수라가 아닌 아스티카와 나스티카라는 유사한 호칭으로 불렸다. 인간들도 신측, 수라측으로 나뉘어 신의 힘을 빌리는 신성마법과 수라의 힘을 빌리는 마성마법 둘 모두를 구사했다. 그러나 하급수라인 마라들에게 꾸준히 피해를 입은 인간들이 수라를 저버리고 마성마법을 버리며 현재는 인간들도 수라를 적대한다. 더 자세히는 수라(쿠베라)문서 참조.

1.2.5 엘소드의 플레이어블 캐릭터 아라 한의 2차전직

아라 한/수라 문서 참조.

1.2.6 은혼의 엔딩곡 修羅

애니메이션 은혼 50~62화까지 쓰인 엔딩곡으로, DOES가 불렀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로.

2 水刺

임금의 식사를 일컫는 말. 고려 말에 몽골어로 음식을 지칭하는 '슐라'에서 넘어왔다고 한다. 임금에게 올리는 식사를 올려놓는 상을 수라상이라고 한다. 조선시대 궁중에는 임금의 식사를 담당하는 수라상궁이 있었다. 밥의 높임말인 진지의 왕실 한정 극존칭어. 참고로 왕이 수라를 드는 것을 "젓수다"라고 하였으며, 수라상궁은 음식에 독이 있는지를 확인키 위해 항상 임금의 식사 전에 자신이 먼저 한 젓가락씩 먹어본 후 이상이 없으면 왕에게 "젓수십시오."라고 하였다.[1]

조선시대에는 각 반찬별로 재료가 겹치지 않도록 하며 각 지역의 특산물로 만들었는데, 흉년이 들거나 좋지 못한 일이 생기면 해당 반찬이 양이 줄거나, 빠지거나 바뀌어서 왕이 밥상에서도 그것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의도가 담겨 있었다.
조선시대의 임금은 하루에 총 5번의 수라를 받았는데 이 중 12첩 정식은 오전 10시와 오후 5시 두번이며, 이를 전후로 하여 아침은 초조반상, 점심은 낮것상, 밤에는 야참이라 하여 국수나 미음, 약식 등 간단한 상을 차렸다.

현대인에게 반찬 12개는 군주의 반찬치고는 좀 적은게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 수도 있는 데, 이건 현대인이 차려먹는 밥상에 원래 들어가는 반찬은 첩수만 늘었지 퀄리티가 떨어지기 때문에 드는 착각이다. 즉 원래 전통 반상은 첩수가 올라가면 양만 느는게 아니라 질도 하나하나가 서양으로 치면 Entree 급으로 돌변하며, 수라상 클라스까지 오면 반찬 하나하나가 흠좀무한 클래스로 바뀌어있어 조선 왕조 최고의 미식/대식가였던 세종대왕도 반도 못먹을 듯한 분량을 자랑한다. 근데 이 반찬 분량과는 별개로 밥의 양은 막걸리 떠먹을 듯한 국그릇 스케일의 그릇에 꽈악 채웠다. 게다가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12첩 반상은 대한제국 수립 후 곤룡포, 면류관, 곤복 등을 국왕용에서 황제용으로 승격할때 함께 승격된 것이고, 대한제국 수립 전에는 9첩 반상을 수라상으로 받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수라상의 경지에 와도 밥상의 주인은 원칙적으로 이지만, 수라상 수준은 커녕 7첩 수준만와도 밥상의 주인인 밥이 묻힐 정도다. (...) 이 반상이란게 딱 보면 3첩 조차도 어지간히 부유한 양반이 아니면 못 해먹을 상차림이다. 5첩만 와도 무슨 코스요리 수준이며 7첩을 넘어가면 호화스러움이 안드로메다로 떠나기 시작한다. (...)

당시 고기가 부족해서 3첩, 5첩상이 소박해 보이는 것일 뿐... 만약 당시에 고기가 지금 처럼 흔했다면 5첩상만 와도 스테이크가 날아다니고 있었지도 모른다. (...) 조선의 왕이 지는 업무는 정말 무지막지한 수준이었기 때문에 이정도로 잘 먹지 않으면 버틸 수가 없었다고...

당연히 임금도 사람인지라 세부적인 반찬들의 종류는 임금의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바뀌기도 하였다. 가령 세종의 경우 고기 반찬이 항상 빠지지 않은 반면, 영조는 서너 가지의 채소 반찬으로 단촐하게 차린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수라상은 크게 3개의 상을 쓴다. 주된 상인 대원반에는 밥와 국, 장류와 김치, 반찬, 토구[2]를 올렸고 곁반에는 팥밥, 곰국, 기타 별식 등을 올렸다. 마지막으로 책상반에는 찜과 조치(찌개), 전골류를 올렸다.

대장금 등 대중매체의 영향으로 수라상을 100% 궁녀들이 차린다고 흔히 생각하는데, 실제론 대령숙수라 부르는 남자요리사들이 수라상을 차렸고, 궁녀들은 숙수들이 퇴근한 야간에 급히 식사가 필요할때나 왕실 어른들의 간식 정도만을 만들었다고 한다. 100% 궁녀들이 차렸다는 오해는 일제강점기가 되면서 남자 숙수들은 궁을 떠나 요릿집에 취업하여 궁에 남아있던 궁녀들이 어쩔수 없이 수라상을 전담하게 되었는데 그 궁녀들이 해방 이후 궁중한식을 전수하게 되면서 생긴 오류였다고 하며 음식전문가 황교익 씨가 이 문제에 대해 몇차례 칼럼을 통해 지적한 바 있다.
  1. 왕 또는 왕실에 대한 극존칭어는 여럿 있는데, 왕의 배설물을 "매화"라 부르던 게 대표적이다.
  2. 생선 가시나 뼈 등 음식을 먹은 뒤 생긴 이물질을 담는 그릇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