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기관


이 문서는 법률에 관한 내용을 다룹니다.

이 문서가 다루는 내용은 대한민국 헌법 및 법령에 따라 제정 또는 승인된 법률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따라서 신중하고 사실에 근거해 편집해주시기 바랍니다. 왜곡된 사실이나 허위 사실을 게재하는 경우 경찰 · 검찰 및 기타 관계 기관의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우만위키정확하고 책임있는 법률지식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의 정보는 기초 상식 및 학술적인 설명으로만 이용해주시기 바라며, 이와 다른 용도로 이용해 불이익이 발생한 경우 우만위키는 법적으로 책임지지 않습니다. 또한 이 문서는 법률의 개정과 상이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전문 법조인에게 법률 상담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1 개요

수사를 할 권한이 있는 공무원 또는 그가 소속된 관청.

2 일반 수사기관

대한민국 형사소송법은 수사기관을 검사과 검사 외의 수사기관(사법경찰관리)으로 구분하고 있다.
사법경찰관리는 검사의 지휘가 있는 때에는 이에 따라야 한다(형사소송법 제196조 제3항 전문).

검사의 지휘에 관한 구체적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데(같은 항 후문), 이에 따라 검사의 사법경찰관리에 대한 수사지휘 및 사법경찰관리의 수사준칙에 관한 규정이 제정되어 있다.

수사의 개시는 각 수사기관이 할 수 있으나, 종결은 즉결심판이나 통고처분(범칙금)에 의할 사건 외에는 검사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법경찰관이 사건을 입건하여 수사를 종결하였을 때에는 이를 모두 관할 지방검찰청 검사장 또는 지청장에게 송치하여야 한다(검사의 사법경찰관리에 대한 수사지휘 및 사법경찰관리의 수사준칙에 관한 규정 제81조)(소위 전건송치주의).
특별사법경찰관 역시 수사를 종결한 때에는 관할 지방검찰청 검사장 또는 지청장에게 사건을 송치하여야 한다. 다만, 통고처분을 하거나 검사의 지휘를 받아 입건하지 아니한 사건은 그러하지 아니하다(특별사법경찰관리 집무규칙 제62조).

기소권뿐만 아니라 독자적인 수사권까지 쥐고 있다는 데에 대한민국 검찰의 막강한 권력의 근거가 있다고들 이야기하고 있다.

2.1 검사

검사는 범죄의 혐의 있다고 사료하는 때에는 범인, 범죄사실과 증거를 수사하여야 한다(형사소송법 제195조).

그 밖에, 검사직무대리도 문자 그대로 검사의 직무를 대리하나(검찰청법 제32조 제1항, 제2항), 검사의 직무를 대리하는 사람은 법원조직법에 따른 합의부의 심판사건은 처리하지 못한다(같은 조 제3항).

다만, 검찰청에서 직접 수리한 사건이라고 하여 반드시 다 검찰에서 직접 수사하는 것은 아니고, 수사지휘권에 근거하여 경찰서 등 다른 수사기관으로 하여금 수사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2.2 사법경찰관리

사법경찰관리는 그 수사권이 특별한 사항에 한정되지 않는지 한정되는지 여부에 따라 일반사법경찰관리와 특별사법경찰관리로 구분된다.
전자는 쉽게 말해 경찰공무원과 검찰공무원을 말한다.

형사소송법에서는 왜 굳이 '경찰' 앞에다 '사법'(司法)이라는 수식어를 붙이느냐면, 한국 법체계상 그냥 '경찰'이라고 하면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경찰법 제3조 제7호)를 의미하는데 이는 기본적으로는 행정작용이기 때문이다(사법작용으로서의 경찰과 구분하기 위해 강학상 '행정경찰'이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물론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심각하게 해치는 일은 대개 범죄에도 해당하므로, 행정경찰과 사법경찰은 실제적으로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2.2.1 일반사법경찰관리

사법경찰관은 범죄의 혐의가 있다고 인식하는 때에는 범인, 범죄사실과 증거에 관하여 수사를 개시·진행하여야 하며(형사소송법 제196조 제2항), 사법경찰리는 수사의 보조를 하여야 한다(같은 조 제5항).
실제 수사활동은 대개 후자가 하지만, 하여간 법에는 위와 같이 규정되어 있고, 그 결과 사건송치 역시 사법경찰관의 결재를 받아 사법경찰관 명의로 하게 된다.

일반사법경찰관리에 해당하는 공무원은 다음과 같다(같은 조 제1항, 제5항, 검찰청법 제46조, 제47조 제1항).

사법경찰관사법경찰리
경찰공무원경무관, 총경, 경정, 경감, 경위경사, 경장, 순경
검찰공무원검찰수사서기관, 검찰사무관, 검찰주사, 마약수사주사, 검찰주사보, 마약수사주사보검찰서기, 마약수사서기

2.2.2 특별사법경찰관리

삼림, 해사, 전매, 세무, 군수사기관 기타 특별한 사항에 관하여 사법경찰관리의 직무를 행할 자와 그 직무의 범위는 법률로써 정한다(형사소송법 제197조).

이에 따라 사법경찰관리의 직무를 수행할 자와 그 직무범위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있는데, 누가 특별사법경찰관리로 규정되어 있는지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교도소장 등 (제3조)
  • 산림 보호에 종사하는 공무원 (제4조)
  • 검사장의 지명에 의한 사법경찰관리 (제5조). 대략적으로 말해서, 다음과 같은 사람 등이 이에 해당한다.
  • 근로감독관 등 (제6조의2)
  • 선장과 해원 등 (제7조)
  • 국립공원관리공단 임직원 (제7조의2)
  • 국가정보원 직원 (제8조)
  • 군사법경찰관리 (제9조)
  • 자치경찰공무원 (제10조)

3 군수사기관

(군)검찰관과 군사법경찰관은 범죄 혐의가 있다고 생각될 때에는 범인, 범죄사실 및 증거를 수사하여야 한다(군사법원법 제228조 제1항).

3.1 (군)검찰관

(군)검찰관은 해당 군검찰부가 설치되어 있는 부대의 장에게 소속되며(군사법원법 제37조 전단), 원칙적으로, 각 군 참모총장이 소속 군법무관 중에서 임명한다(같은 법 제41조 제1항 본문).

다만, 국방부와 국방부직할통합부대의 검찰관은 국방부장관이 소속 군법무관 중에서 임명하며(같은 조 제1항 단서), 국방부장관은 각 군 참모총장의 의견을 들어 각 군 소속 군법무관 중에서 국방부와 각 군의 검찰관을 임명할 수 있다(같은 조 제2항).

3.2 군사법경찰관리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은 군사법경찰관으로서 범죄를 수사하되, 군사법원 관할사건을 다음 구분에 따라 수사하고, 범죄 수사에 관하여 직무상 상관의 명령에 복종하여야 한다(군사법원법 제43조 내지 제45조).

종류수사한계
헌병과(憲兵科)의 장교, 준사관 및 부사관과 법령에 따라 범죄수사업무를 관장하는 부대에 소속된 군무원으로서 범죄수사업무에 종사하는 사람기무부대나 국가정보원이 수사할 죄 외의 죄
기무부대에 소속된 장교, 준사관 및 부사관과 군무원으로서 보안업무에 종사하는 사람내란의 죄, 외환의 죄, 반란의 죄, 이적의 죄, 군기누설죄, 암호부정사용죄, 국가보안법위반죄, 군사기밀보호법위반죄, 남북교류협력에관한법률위반죄,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위반죄(국가보안법위반죄를 범한 사람이 범한 경우만 해당)
국가정보원 직원으로서 국가정보원장이 군사법경찰관으로 지명하는 사람내란의 죄, 외환의 죄, 반란의 죄, 암호부정사용죄, 군사기밀보호법위반죄, 국가보안법위반죄, 국정원 직원의 직무와 관련된 범죄
군검찰부의 검찰수사관(제한없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은 군사법경찰리(軍司法警察吏)로서 검찰관 또는 군사법경찰관의 명령을 받아 수사를 보조한다(같은 법 제46조).

  • 헌병인 병
  • 기무부대에 소속되어 보안업무에 종사하는 병
  • 국가정보원장이 군사법경찰리로 지명하는 국가정보원 직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