쉼표

이 문서는 콤마 · ,으로도 들어오실 수 있습니다.

1 문장 부호

문장 부호
한글 맞춤법 부록에 수록된 문장 부호
마침표(.)물음표(?)느낌표(!)쉼표(,)가운뎃점(·)[[:|쌍점]](:)빗금(/)
큰따옴표#s-2.1(“ ”)작은따옴표#s-2.2(‘ ’)소괄호(( ))중괄호({ })대괄호([ ])겹낫표(『 』)
겹화살괄호(《 》)
홑낫표(「 」)
홑화살괄호(〈〉)
줄표(―)붙임표(-)물결표(~)드러냄표(˙)
밑줄(_)
숨김표(○, X) 빠짐표(□)말줄임표(……)
한글 맞춤법 부록에 수록되지 않은 문장 부호
물음느낌표(?!)쌍반점(;)칼표(†), 겹칼표(‡)고리점(。)모점(、)

쉼標, (영어)comma

문장부호의 하나로, 콤마라고 부르기도 한다. 우리가 흔히 쉼표의 대명사로 생각하는 반점(,) 외에 가운뎃점(ㆍ), 모점(、), 쌍점(:), 빗금(/) 등이 큰 의미에서는 모두 쉼표로 분류되고 있는데, 한국어에서는 가로쓰기에서는 반점을 사용하지만 세로쓰기에서는 모점을 사용하였으나, 2015년부로 모점이 폐지되고 세로쓰기에도 반점을 쓰게 되었다. 중국어의 경우는 명사를 나열할 경우는 모점을 사용하며 문장의 구분에서는 반점을 사용하고, 일본어의 경우는 문장 속에서의 구분은 모두 모점을 사용한다.

2015년 1월 1일부터 반점을 쉼표로도 부를 수 있게 되었다.# 정확하게는 ‘쉼표’가 기본 용어이고, ‘반점’으로 부를 수도 있게 되었다.

1,234,567(123만 4567)처럼 수를 끊어 읽을때도 쓰인다. 한국어에서는 수를 만단위로 끊어 읽으므로 이러한 실정을 반영해서 네자리씩 끊는 게 옳다는 주장도 있으나, 관행적으로 세자리씩, 즉 천단위로 끊어쓴다.[1] 또한, 보통 부르는 말이나 대답하는 말 뒤에, 또는 문장 내부에서 끊어 읽을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쓴다. 자세한 사용법은 아래의 사용 유형 문단을 참고하라.

이모티콘에서는 (^,^) (-,-) 등 (^.^) (-.-) 보다는 입술을 삐죽 튀어나오게 한 듯한 귀엽게 바람 부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박태원이 특히 자기 작품에 쉼표를 매우 많이 쓴 걸로 유명하며, 1936년 발표한 '방란장 주인'은 마지막 끝맺음 부분에 마침표를 찍은 것을 제외하고 모든 내용을 오로지 쉼표로만 끝맺음하여 사실상 전 내용을 단 한문장만으로 정리하는 무시무시함을 선보이기도 했다. 자세한건 해당 문서를 참고하자.

1.1 사용 유형

한글 맞춤법 규정의 부록에서 반점의 사용 유형은 15가지로 분류되어있다.국립국어원 링크

(1) 같은 자격의 어구를 열거할 때 그 사이에 쓴다.

근면, 검소, 협동은 우리 겨레의 미덕이다.
충청도의 계룡산, 전라도의 내장산, 강원도의 설악산은 모두 국립 공원이다.
집을 보러 가면 그 집이 내가 원하는 조건에 맞는지, 살기에 편한지, 망가진 곳은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5보다 작은 자연수는 1, 2, 3, 4이다.

다만, (가) 쉼표 없이도 열거되는 사항임이 쉽게 드러날 때는 쓰지 않을 수 있다.

아버지 어머니께서 함께 오셨어요.
네 돈 내 돈 다 합쳐 보아야 만 원도 안 되겠다.

(나) 열거할 어구들을 생략할 때 사용하는 줄임표 앞에는 쉼표를 쓰지 않는다.

광역시: 광주, 대구, 대전……

(2) 짝을 지어 구별할 때 쓴다.

닭과 지네, 개와 고양이는 상극이다.

(3) 이웃하는 수를 개략적으로 나타낼 때 쓴다.

5, 6세기
6, 7, 8개

(4) 열거의 순서를 나타내는 어구 다음에 쓴다.

첫째, 몸이 튼튼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무엇보다 마음이 편해야 한다.

(5) 문장의 연결 관계를 분명히 하고자 할 때 절과 절 사이에 쓴다.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저는 신뢰와 정직을 생명과 같이 여기고 살아온 바, 이번 비리 사건과는 무관하다는 점을 분명히 밝힙니다.
떡국은 설날의 대표적인 음식인데, 이걸 먹어야 비로소 나이도 한 살 더 먹는다고 한다.

(6) 같은 말이 되풀이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일정한 부분을 줄여서 열거할 때 쓴다.

여름에는 바다에서, 겨울에는 산에서 휴가를 즐겼다.

(7) 부르거나 대답하는 말 뒤에 쓴다.

지은아, 이리 좀 와 봐.
네, 지금 가겠습니다.

(8) 한 문장 안에서 앞말을 ‘곧’, ‘다시 말해’ 등과 같은 어구로 다시 설명할 때 앞말 다음에 쓴다.

책의 서문, 곧 머리말에는 책을 지은 목적이 드러나 있다.
원만한 인간관계는 말과 관련한 예의, 즉 언어 예절을 갖추는 것에서 시작된다.
호준이 어머니, 다시 말해 나의 누님은 올해로 결혼한 지 20년이 된다.
나에게도 작은 소망, 이를테면 나만의 정원을 가졌으면 하는 소망이 있어.

(9) 문장 앞부분에서 조사 없이 쓰인 제시어나 주제어의 뒤에 쓴다.

돈, 돈이 인생의 전부이더냐?
열정, 이것이야말로 젊은이의 가장 소중한 자산이다.
지금 네가 여기 있다는 것, 그것만으로도 나는 충분히 행복해.
저 친구, 저러다가 큰일 한번 내겠어.
그 사실, 넌 알고 있었지?

(10) 한 문장에 같은 의미의 어구가 반복될 때 앞에 오는 어구 다음에 쓴다.

그의 애국심, 몸을 사리지 않고 국가를 위해 헌신한 정신을 우리는 본받아야 한다.

(11) 도치문에서 도치된 어구들 사이에 쓴다.

이리 오세요, 어머님.
다시 보자, 한강수야.

(12) 바로 다음 말과 직접적인 관계에 있지 않음을 나타낼 때 쓴다.[2]

갑돌이는, 울면서 떠나는 갑순이를 배웅했다.
철원과, 대관령을 중심으로 한 강원도 산간 지대에 예년보다 일찍 첫눈이 내렸습니다.

(13) 문장 중간에 끼어든 어구의 앞뒤에 쓴다.

나는, 솔직히 말하면, 그 말이 별로 탐탁지 않아.
영호는 미소를 띠고, 속으로는 화가 치밀어 올라 잠시라도 견딜 수 없을 만큼 괴로웠지만, 그들을 맞았다.

[붙임 1] 이때는 쉼표 대신 줄표를 쓸 수 있다.

나는 ― 솔직히 말하면 ― 그 말이 별로 탐탁지 않아.
영호는 미소를 띠고 ― 속으로는 화가 치밀어 올라 잠시라도 견딜 수 없을 만큼 괴로웠지만 ― 그들을 맞았다.

[붙임 2] 끼어든 어구 안에 다른 쉼표가 들어 있을 때는 쉼표 대신 줄표를 쓴다.

이건 내 것이니까 ― 아니, 내가 처음 발견한 것이니까 ― 절대로 양보할 수 없다.

(14) 특별한 효과를 위해 끊어 읽는 곳을 나타낼 때 쓴다.

내가, 정말 그 일을 오늘 안에 해낼 수 있을까?
이 전투는 바로 우리가, 우리만이, 승리로 이끌 수 있다.

(15) 짧게 더듬는 말을 표시할 때 쓴다.

선생님, 부, 부정행위라니요? 그런 건 새, 생각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따, 딱히 널 위해 그런건 아니라구!
[붙임] ‘쉼표’ 대신 ‘반점’이라는 용어를 쓸 수 있다.
원칙적으로는 '반점은 이럴 때 쓴다' 는 식으로 규정이 정해져 있기는 하지만, 현실적으로 문장 사용에서 지키는 경우는 거의 없다. 왜냐하면 한국어 문장은 조사와 어미의 사용에서 성분 관계가 명확하게 드러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굳이 쉼표를 사용해서 상관관계를 구분해야 할 경우가 드물기 때문이다. 하지만 문장구조가 지나치게 복잡해져서 여러 가지 뜻으로 해석할 수 있게 되는 경우는, 말에서는 억양으로 구분하고, 글에서는 말도 안 되는 뜻들을 생각하지 않고 문맥상 가장 그럴듯해 보이는 하나로 알아듣기 때문에 적어보일 뿐, 생각보다 많다. 가끔 글을 쓰다 그런 중의성이 신경쓰이면 쉼표를 적절하게 써주자.

1.2 오류 및 주의사항

한국어에 비해 쉼표가 매우 많이 쓰이는 일본어나, 쉼표를 정확하게 쓰지 않으면 문장의 의미 자체가 달라져버리기 때문에 쉼표 등의 문장부호가 매우 중요시되는 영어 등의 영향으로 쓸데없이 문장 속에서 쉼표를 많이 쓰는 경우가 흔히 보인다. 당장 서브컬처 계열 사이트로 출발했던 엔하위키와 그 후신인 나무위키에서만 해도, 쉼표를 사용할 이유가 전혀 없는 멀쩡한 간결체 문장 안에도 쉼표를 남발한 서술을 흔히 볼 수 있다.

또한, 문장 완결 능력이 미흡한 사람들이 저지르는 실수로, 아예 서로 독립적인 두 문장을 억지로 쉼표로 묶어버리는 일도 있다. 제대로 쓰인 쉼표는 긴 문장을 읽을 때 말 그대로 쉬어가는, 즉 호흡을 가다듬는 역할을 해 독해를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지나치게 많이 쓰게 되면 쉼표에 쉼표가 끝없이 꼬리를 무는 만연체로 변질될 수도 있으므로, 되도록이면 적절한 상황에서만 써야 한다. 따라서 글의 초안(草案)을 쓰고 나면 가장 먼저 재검토해서 쳐내야 할 요소 중 하나이다. 이런 문장이 바글바글한 글의 경우 독자가 충분히 주의해서 읽지 않으면 한 문단을 다 읽어놓고도 저자가 무슨 소리를 하는 건지 제대로 이해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인터넷 환경에서는 쉼표가 들어갈 자리에 말줄임표가 들어가있는 경우가 많다. 대개 맞춤법이 익숙하지 않거나 지킬 생각을 하지않는다는 점이 원인이나, 쉼표가 마침표와 형태상 확연하게 다른 부분이 적다는 점도 원인 중 하나로 보인다. 비슷한 경우로는 큰따옴표의 잘못된 활용이 있다. 찌라시의 경우 직접 한 이야기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강조의 의미로 '큰따옴표'를 써서 독자나 해당 인물을 엿먹이는 경우가 있다. 나무위키에서도 찌라시와 마찬가지로 직접 한 말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큰따옴표'로 엮어서 인용 처리를 해버리는 바람에 크고 작은 왜곡이 벌어지기도 한다.

반점(,)을 사용한 후에는 띄어쓰기를 해줘야 한다. 그런데 나무위키의 문서들을 찾아 보면 안 띄어 쓴 게 꽤 많다. 또한 지나칠 정도로 쉼표가 남발되는 경우[3]도 많다. 다만 이 규칙은 원고지에서는 예외이다. 반점이 원고지칸의 절반을, 또 띄어쓰기가 절반을 차지하는 것으로 취급하므로 반점과 띄어쓰기가 한 묶음으로 원고지 한 칸을 차지하는 것이다. 그런데 '반점 후 띄어쓰기'라는 것만 알고는 반점 후에 원고지 한 칸을 아예 비워버리고 쓰는 사람도 의외로 꽤 있다. 그렇게 쓰면 반점 뒤에 띄어쓰기 두 번을 한 셈이 되니 원고지를 사용해서 글을 쓸 일이 있다면 알아두자. 이 점은 온점도 마찬가지이다.

당장 이 문서의 '또한'만 봐도 쉼표를 붙였다가 뗐다가 한다.

2 음악 기호

쉼標, (영어)rest

음악에서 음을 표시하지 않는 구간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기호. 박자를 나타낼 때 음표와는 달리 점선으로 표시한다.

음악에서도 반점을 사용하긴 하지만 이것은 쉼표라고 부르지 않는다. 음악에서 (,)는 숨표라고 부르며 쉼표가 없는 구간에서 숨을 가다듬으라는 의미로 쓰인다.

위 문단의 '반점'이 기본용어가 '쉼표'로 바뀐것도 이 문단의 '쉼표'가 어느정도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1. 출처
  2. 이게 무슨 말인가 하면, 단어들 사이의 수식 관계가 불분명해서 생기는 중의성을 없애주는 역할이라는 것이다. 그러니까 쉼표 없는 "갑돌이는 울면서 떠나는 갑순이를 배웅했다."라는 문장의 경우, 울고 있는 사람이 갑돌이가 될 수도 있고("갑돌이는 울었다."+"갑돌이는 떠나는 갑순이를 배웅했다."), 갑순이가 될 수도 있다("갑돌이는 갑순이를 배웅했다."+"갑순이는 울면서 떠났다.").
  3. 물론 사람마다 그 기준이 다르긴 하지만, 거의 단어 두세 개당 쉼표를 한 개씩 넣는 정도면 지나치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