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줄임표

다른 뜻에 대해서는 아래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작가들이 문장을 말줄임표로 끝내는 것은 이야기가 계속될 수도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서이고, 문장 중간이나 문장과 문장 사이에 말줄임표를 넣는 것은 글의 일부가 생략되었음을 알리기 위해서이다. 그에 반해서 비전문가들은 자기들이 사용하고자 하는 수사법이 지나치게 대담하다 싶을 때 말줄임표를 넣는다.

이탈리아는 말줄임표의 존중에 토대를 둔 공화국이다.[1]
「말줄임표를 사용하는 방법」, 『세상의 바보들에게 웃으면서 화내는 방법』 / 움베르토 에코. 1991[2]

「스승님께서 특히 저희를 부르신 것은 달리 하명하실 일이 있어서인 줄 짐작되옵니다만……」

어눌한 것 같으면서도 되도록 말수를 줄이려는 화법이었다. (중략) 이상하게도 한없이 겸손하고 부드럽게 들렸다.
(노식과 유비의 대화 中),『이문열 평역 삼국지』 제1권

1 문장부호의 일종

문장 부호
한글 맞춤법 부록에 수록된 문장 부호
마침표(.)물음표(?)느낌표(!)쉼표(,)가운뎃점(·)[[:|쌍점]](:)빗금(/)
큰따옴표#s-2.1(“ ”)작은따옴표#s-2.2(‘ ’)소괄호(( ))중괄호({ })대괄호([ ])겹낫표(『 』)
겹화살괄호(《 》)
홑낫표(「 」)
홑화살괄호(〈〉)
줄표(―)붙임표(-)물결표(~)드러냄표(˙)
밑줄(_)
숨김표(○, X) 빠짐표(□)말줄임표(……)
한글 맞춤법 부록에 수록되지 않은 문장 부호
물음느낌표(?!)쌍반점(;)칼표(†), 겹칼표(‡)고리점(。)모점(、)

줄임표, 혹은 종종이, 또는 점점점이라고도 한다……. 이 외에도 말없음표, 말줄임표, 무언부, 무언표, 생략부, 생략표, 점줄(點―) 따위의 많은 이름을 가지고 있다……. Microsoft IME로는 ㄱ+한자+PgDnPgDn+1, 알트 입력법으로는 Alt+133으로 입력할 수 있다…….

문장을 완전히 끝맺지 않을 때 쓰는 문장부호이다……. 원래는 “…….”인데, 지금 와서는 ‘……’ 혹은 ‘…’으로 많이 쓰이고……. 특수문자를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귀찮음으로 인해, 모바일 등지에서는 “...”이 자주 사용된다…….[3] 현실이든……, 인터넷이든…… 간에 이것을 자주 사용하면 우유부단한 성격으로 낙인 찍힐 수 있고……. 심할 경우 오덕……으로 몰릴 수 있으므로 쓸 곳에만 쓰자…….

그 외에 나무위키를 비롯한 서브컬처 계열에서 종종 “(…)”형태로 사용된다……. 자신이 설명한 문장이 미묘하거나……, 마음에 들지 않거나……, 혹은 내용이 비상식적이거나 등등…… 하여튼 설명해놓고 왠지 한 마디로 표현하기 힘든……, 여러 가지 생각이 드는 경우 뒤에 갖다 붙인다…….

기원은 여러가지 의견이 많으나……, 90년대 후반의 게임 잡지들의 공략 기사들에서 나왔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당시의 문장들로 추론했을 때……, (…)의 용법은 주로 괄호를 열고 뭔가 부연설명을 해야 하나……. 앞 문장의 상황이 어이 없거나 모순된, 황당한 설명일 경우 괄호 안에 부연설명 대신 “아 씨바, 할말을 잃었습니다…….”라는 의미로 말줄임표를 대신 치환하여 쓰이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만약 “(…)”을 한번이라도 쓰는 글이나 사이트를 발견한다면……. 그쪽은 틀림없이 서브컬처 계열이라고 생각해도 무방하다……. 공식 문서에서 ‘(...)’ 비슷한 표현이 발견되면, 그 문맥에 따라서 폭소를 안겨줄 수도 있다. 실제로 투고자가 군복무를 하던 시절, 현부심을 기다리던 관심병사가 현부심을 기다리는 기간 중에 유격 훈련을 걸리자, 그 때 유격행군 불참자를 공지하는 문서에 다른 불참자들은 정상적인 사유―주로 부상이나 지병―가 적혀있을 때 그 관심병사는 공식 사유가 “...”으로 적혀있는 걸 본 적이 있다. 물론 부대 전체가 폭소의 도가니에 빠져들었다…….

대개 쉼표가 들어가야 할 자리에 말줄임표를 쓰는 경우가 많다.

이 문서는…… 나무위키 암묵의 룰에 따라, 말줄임표 투성이이다……. 해석은 딱히 필요하지 않으니…… 따로 없다…….

그만해...... 미친놈들아......

2 나무위키에서의 남용(…)

조금만 황당하거나 우스꽝스러운 설명이나 묘사가 있으면 곧바로 “(…)”이 붙어서(…) 읽기에 불편하고 정신이 없는 문서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심한 경우에는 두 문장마다 한 문장 꼴로 ‘(…)’가 붙기까지 한다(...). 그리고 이 문단 역시 나무위키 암묵의 룰에 따라 문장 끝마다 따라붙고 있다(...)

현재 연재중인 만화나 새로이 나오는 게임 등의 문서에서도 특히 많이 보인다(…) 초반부나 발표 당시 A였다가 극이 진행이 되면서, 또는 게임이 출시되면서 새로이 알려진 방식을 추가하는 경우 많이 사용한다(…) 특히 기존 사실을 뒤엎는 정보를 쓸 때 “XX…였지만 사실은 OO였다(…)”라는 식으로 자주 쓰인다(…)

퍼스트 시즌 종영 직후, 루머로 퍼진 더블오 건담이라는 설정화가 있었는데, 6월말에 공개된 잡지 정보에서 진짜로 밝혀져 충격을 준 적이 있었다. 최초에 나왔을 때는 “엔진을 어깨에 매달다니, 제정신이냐?!”라는 반응이 많았지만 디자인을 잘 뜯어보자, 어깨에 장착된 그것은 단순한 버니어인 것으로 밝혀져 잠잠해진듯했는데 아무리 봐도 태양로를 집어넣는 건 어깨 부분이다 (…)

- 더블오 건담 문서에서

세계의 대표적인 3대 종교 중 하나였지만, 요즘은 힌두교의 수가 재평가 되어 4대 종교.

불교문서에서

그러나 말줄임표는 원래 문장 중간에서 쓰이지 않는 기호이기에(…) 굳이 사용할 필요가 없다. 거기다 문장1…문장2…문장3 식으로 가다 보면 전체 문장의 맥락이나 의미에 혼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영 당시 코드 기어스 관련 문서가 카오스였다.

조금 머리가 아플지 몰라도(…) 위키에 쓰는 시간을 좀 더 들여서 문장 추가 시 문맥에 맞게 새로이 문장을 바꾸는 것이 나중을 위해서 좋을 것이다(…).

말줄임표가 남용되는 다른 이유로, 딱히 마음에 들어서 쓴다기보다는 쓸 게 없기 때문인 것도 크다(…). 위키피디아와는 달리, 표현이 비교적 자유롭고, 일정 수준 개드립(...)이 허용되고 있는 나무위키 특성 상, 개드립을 쳐놓고 뭔가 토를 달고 싶은데 이모티콘은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대체재로 (…)질을 하는 것. 즉 ‘-_-’같은 이모티콘이 나올 상황에서 (…)를 쓰는 경우가 많다(…).

이모티콘이 남용되면 본래의 느낌 전달은 커녕(…) 읽는 사람에게 혐오감과 짜증만(…) 선사하게 되는 것처럼, 말줄임표도 양념처럼 어쩌다가 한번 넣는 편이 효과가 훨씬 좋다는 것을 기억하도록 하자(…). 무엇보다 오덕체로 보인다(...). 다른 곳에서 무의식중에 쓰지 않도록 하자. 하지만 ‘덕밍아웃’을 할 거라면야 뭐(...).

백괴사전의 엔젤하이로 문서는 (…)로 도배되어, 말줄임표의 남용을 강렬하게 까고 있다.

3 찌라시에서의 남용

네이버 같은 거대 포털 사이트 등에 뉴스 제목을 올릴 때도 유용하게 사용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것인데,

네이버 제목: 아웃백 스테이크에 공급되는 닭 알고보니… ‘헉’스테이크에 닭을 쓰는구나

실제 기사 제목 : 김인식 체리부로 회장, 닭고기 하나로 매출 4500억원 “1조가 꿈”

제목만 보면 아웃백 스테이크 매장에 공급되는 닭에 문제가 있을 것이라 생각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기사를 클릭해 들어가 보면 노출되는 제목과 실제 기사 제목이 다른 것이 태반이다. 언론사가 클릭을 유도하기 위해 말줄임표와 각종 수식어 (“헉”, “충격”, “알고 보니”, “진실은”)를 사용하는 것이다. 일종의 낚시.

이곳 에서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4 개정

전자 입력시 흔히 쓰이는 2벌 자판 및 휴대폰에 말줄임표가 따로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또한 글꼴의 이유 때문에[4], 그동안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이버 공간에서 말줄임표 대신에 온점을 3개, 혹은 6개 찍고 있었던 것이 현실이다. 또한 영어문화권의 영향으로 말줄임표를 써도 점 3개만 찍는 경우가 아주 많았다.

이런 현실을 고려하여 2015년 1월 1일부터 온점 3개 및 온점 6개, 그리고 점 3개짜리 말줄임표도 기존의 것과 함께 정식으로 국어의 말줄임표에 포함되는 것으로 개정되었다.

5 같이보기

  1. 이탈리아 헌법 제1조(이탈리아는 노동에 기초를 둔 민주 공화국이다.)를 비튼 것이다.
  2. 전문은 # 여기
  3. 그리고 결국 이 역시 공식으로 인정되었다!
  4. 영어 글꼴에서는 말줄임표 유니코드를 써봤자 온점과 다를 게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