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운뎃점에서 넘어옴)

수학 기호에 대해서는 점 연산자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문장 부호
한글 맞춤법 부록에 수록된 문장 부호
마침표(.)물음표(?)느낌표(!)쉼표(,)가운뎃점(·)[[:|쌍점]](:)빗금(/)
큰따옴표#s-2.1(“ ”)작은따옴표#s-2.2(‘ ’)소괄호(( ))중괄호({ })대괄호([ ])겹낫표(『 』)
겹화살괄호(《 》)
홑낫표(「 」)
홑화살괄호(〈〉)
줄표(―)붙임표(-)물결표(~)드러냄표(˙)
밑줄(_)
숨김표(○, X) 빠짐표(□)말줄임표(……)
한글 맞춤법 부록에 수록되지 않은 문장 부호
물음느낌표(?!)쌍반점(;)칼표(†), 겹칼표(‡)고리점(。)모점(、)

1 개요

기호의 일종.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가운데 위치에 찍는 점이다. 아래아가 아니다.

유니코드에서 가운뎃점은 U+00B7에 MIDDLE DOT이라는 이름으로 배당되어 있다. 일본어의 나카구로, 수학 내적기호를 제외하고서는 대부분 이 가운뎃점을 쓴다.

2 한국어에서

한국어 사용자들 중, '한글 자모 아래아'ㆍ(U+318D, HANGUL LETTER ARAEA)를 대신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가운뎃점의 용도로 이 글자가 쓰였다면 고쳐 주자. 그런데 국립국어원의 한글 맞춤법 부록에는 가운뎃점을 전부 아래아로 써 놓았다 그러니 가운뎃점 대신 아래아를 쓰는게 맞다?

2.1 개정 전

한글 맞춤법 개정 전 가운뎃점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쓰인다.

  1. 쉼표로 열거된 어구가 다시 여러 단위로 나누어질 때 쓴다.
    • 철수·영이, 영수·순이가 서로 짝이 되어 윷놀이를 하였다.
    • 공주·논산, 천안·아산·천원 등 각 지역구에서 2 명씩 국회 의원을 뽑는다.
    • 시장에 가서 사과·배·복숭아, 고추·마늘·파, 조기·명태·고등어를 샀다.
  2. 특정한 의미를 가지는 날을 나타내는 숫자에 쓴다.
    • 3·1 운동, 8·15 광복
  3. 같은 계열의 단어 사이에 쓴다.
    • 경북 방언의 조사·연구
    • 충북·충남 두 도를 합하여 충청도라고 한다.
    • 동사·형용사를 합하여 용언이라고 한다.

그러나 두벌식 자판으로 쉽게 입력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 때문에 1과 3의 경우 반점(,)으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슬래시(/)로 대체하여 쓰기도 한다. 2의 경우 온점(.)으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아래아(ㆍ)로도 대체되어 널리 쓰인다.[1] 실제로 나무위키의 문서명에도 3.1 운동, 8.15 광복과 같이 ·을 쓰지 않고 .을 쓰고 있다. `{} 등 가운뎃점보다 훨씬 덜 중요한 문장 부호가 두벌식 자판에서 가운뎃점보다 우선 자리를 배치받은 것은 두벌식 자판이 쿼티의 문자 배열을 전혀 수정하지 않고 한글 자모만 영문자 자리에 추가하여 쓰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자표나 ㄱ 한자로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천만 낱자 중에서 약 7400개의 빈도를 보여주며, 두벌식 자판에 없는 기호들 중에 가장 많은 빈도 수를 보여주었다는 통계가 있다.#

2.2 개정 후

이런 현실을 문화체육관광부국립국어원도 더 이상 외면할 수 없었는지, 2014년 10월 27일 한글맞춤법 일부 개정안을 고시하면서 가운뎃점의 사용법을 바꾸게 된다. (적용은 2015년 1월 1일부터) 새로 바뀐 가운뎃점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출처

  1. 열거할 어구들을 일정한 기준으로 묶어서 나타낼 때 쓴다.
    • 민수·영희, 선미·준호가 서로 짝이 되어 윷놀이를 하였다.
    • 지금의 경상남도·경상북도, 전라남도·전라북도, 충청남도·충청북도 지역을 예부터 삼남이라 일러 왔다.
  2. 짝을 이루는 어구들 사이에 쓴다. 다만, 이때는 가운뎃점을 쓰지 않거나 쉼표를 쓸 수도 있다.
    • 한(韓)·이(伊) 양국 간의 무역량이 늘고 있다. (한(韓) 이(伊) 양국 간의 무역량이 늘고 있다.)
    • 우리는 그 일의 참·거짓을 따질 겨를도 없었다. (우리는 그 일의 참 거짓을 따질 겨를도 없었다.)
    • 하천 수질의 조사·분석 (하천 수질의 조사, 분석)
    • 빨강·초록·파랑이 빛의 삼원색이다. (빨강, 초록, 파랑이 빛의 삼원색이다.)
  3. 공통 성분을 줄여서 하나의 어구로 묶을 때 쓴다. [붙임] 이때는 가운뎃점 대신 쉼표를 쓸 수 있다.
    • 상·중·하위권 (상, 중, 하위권)
    • 금·은·동메달 (금, 은, 동메달)
    • 통권 제54·55·56호 (통권 제54, 55, 56호)

이전과 비교하면 그동안 관용적으로 쉼표를 써 왔던 부분을 아예 명시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특정한 의미를 가지는 날을 나타내는 숫자에 쓰는 용법은 가운뎃점이 아닌 마침표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 되고 가운뎃점은 허용으로 바뀌었다. 출처 3.1 운동, 8.15 광복과 같은 문서명이 더 이상 맞춤법 위반이 아니게 되었다.

이 개정으로 인하여 가운뎃점의 사용 빈도가 공식적으로 이전보다 크게 줄어들었다.

3 입력 방법

가운뎃점을 입력하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 MS 한국어 IME 기준으로 ㄱ + 한자 키 + 두 번째 페이지 + 8로 입력할 수 있다.
    • (텐키리스 키보드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Alt 키를 누른 채 오른쪽 숫자 키패드에서 +, 1, 8, 3을 순서대로 누르고 Alt 키를 떼면 된다. 유니코드 주소를 알고 있다면 십진법 숫자로 변환하여 같은 방법으로 다른 특수문자도 입력할 수 있다.
    • 아래아 한글이 자체 제공하는 '두벌식 표준 2' 자판으로 숫자 1 왼쪽에 있는 `를 치면 ` 대신 가운뎃점이 나온다(기본값은 '두벌식 표준'). 이걸 쓰려면 Alt+F2를 누르면 나오는 입력기 환경 설정에서 '한국어' - '두벌식 표준 2'를 선택하면 된다.
    • 세벌식 391(최종) - 가운뎃점(U+00B7)을 바로 입력할 수 있다(쿼티 기준으로 shift + ').
    • 세벌식 390이나 389 등은 가운뎃점(U+00B7)이 배정되어 있지 않다.
    • 세벌식 중에서 세벌식 3-P3 기호 확장안, 신세벌식 2015, 신세벌식 P, 세벌식 모아치기 e-2016 자판에는 가운뎃점이 배정되어 있다.
  • 애플 OS X
입력 언어를 영어로 설정 후 option + shift + 9 를 눌러 입력할 수 있다.

4 외국에서의 사용

  • 일본어: 일본어에서의 용법은 문서 참고. 일본어의 가운뎃점인 나카구로의 유니코드는 U+30FB로, 명칭은 KATAKANA MIDDLE DOT이다. 이 기호는 일본어에서만 사용되는 기호이므로 일본 이외의 외국어에 사용되어있다면 위의 일반 유니코드(U+00B7)로 고쳐주자.
  • 중국어: 외국어 인명의 성씨, middle name, 이름(given name)을 구분할 때 쓰인다.(예: 威廉·莎士比亚 (Wēilián Shāshìbǐyǎ, 윌리엄 셰익스피어)
  • 고전 라틴어: 단어를 구분하기 위해 쓰였다. (예: DONA·EIS·REQVIEM)
  • 카탈루냐어: l·l(발음 /ɫː/)과 ll(발음 /ʎ/)을 구분하기 위해 쓰인다. (예: cel·la vs. cella)
  • 오크어: s·h(발음 /s.h/)와 sh(발음 /ʃ/), n·h(발음 /n.h/)와 nh(발음 /ɲ/)를 구분하기 위해 쓰인다. 즉 가운뎃점이 들어간 것은 가운뎃점 앞뒤 두 글자의 발음을 각각 따로 하고, 가운뎃점이 들어가지 않은 것은 그 두 글자가 합쳐져서 하나의 발음을 나타낸다.
    • des·har 되돌리다 vs. deishar 떠나다
    • in·hèrn 지옥 vs. vinha 포도
  1. 이건 문자표에서 비슷한 걸로 고르다 보니 쓰는 경우다. 외형상으로 가운뎃점과 아래아는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특히 천지인 자판처럼 아래아가 자판에 기본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이러한 경향이 더욱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