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모

1 개관

말 그대로 '밥해주는 사람'이라는 뜻의 한자어(食母).[1] 1960년대에서 70년대 한국의 도시사회에 나타났다가 현대에 와서는 사실상 사라져버린 여성 직업 중 하나이다.[2]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남의 집에서 숙식하며 그 집의 부엌일을 위주로 각종 가사노동을 도맡아해주던, 10대~20대 정도의 어린 여성들을 뜻하던 말이었다. 나이 지긋하신 분들은 요즘도 식당에서 보조로 일하는 아줌마들을 식모라고 하는 경우도 가끔 있다.

남의 집에서 숙식을 하면서 가사일을 한다는 것만 놓고 보면 그냥 가정부메이드랑 별 차이가 없어보이나, 그들은 노동만큼의 월급을 받는 반면에 식모는 가난한 시골에서 '굶어죽지나 않으려고', 즉 가족들이 입 하나라도 줄이려고[3] 도시로 식모살이 보낸 여성들이었다. 대충이나마 먹고살 만한 집에서 먹여주고, 재워주고, 나중에 선자리 주선해서 시집보내거나, 시집갈 때 장롱이나 하나 장만해주는 조건으로 그녀들을 고용했다.

때문에 아무리 못살아도 세끼는 꼬박 챙겨먹을 수준이면 식모를 한 명 두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숟가락 하나만 더 얹으면 쓸 수 있었으니까. 드라마 육남매에서 장미희의 가족도 가난했지만 식모 소녀 한 명을 데리고 사는 모습이 나온다. 한 마디로 돈을 받는 건 꿈도 꾸지 못할 소리. 먹여주고 재워만주면 되었던 것이다.

1970년대에 지어진 아파트를 보면 부엌 쪽에 자그마한 쪽방이 있는 경우가 꽤 많았는데, 이 방의 이름은 "식모방"이었다. 식모를 많이 두던 시대상이 아파트 설계에도 반영된 결과이다.

본격적으로 산업화가 이루어지면서 여공들을 구하는 공장들이 많아지자 식모라는 직업은 사실상 사양길을 걷기 시작한다. 식모들은 당연히 돈 못 받는 식모보다야 제때제때 월급받는 여공이 되길 택하거나 안내양 등의 다른 직업을 택해 떠나버려서 나중엔 식모 구하기가 그야말로 하늘의 별따기가 되었다고 한다. 심지어 다른 집의 식모를 빼내오려다가 그 집이랑 대판 싸움이 일어나기도 했을 정도.[4] 이후 1980년대로 넘어오면서 식모는 대부분 사라졌고, 그 빈자리는 돈 주고 고용하는 파출부가정부가 대체했다.

각종 창작물에서의 가사도우미들이 그렇듯이, 주인댁 사장님이랑 불륜을 저지르거나 강간을 당하는 등의 클리셰에 쓰이기도 한다.

2 관련항목

  1. 과거 조선시대의 '~모'들과 비슷한 작명이다. 옷을 바느질하는 '침모'(針母), 반찬을 만드는 '찬모'(餐母) 등... 동명의 만화로 알려지게 된 '다모'(茶母)도 마찬가지.
  2. 안내양도 이 중 하나.
  3. 끼니조차 잇기 힘들 정도로 가난한 집에서는 입 하나 덜어주는 걸로도 엄청난 효도였다. 당시의 한국 경제가 얼마나 힘들었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다.
  4. 박완서 씨의 단편소설집인 '친절한 복희씨' 중 '그리움을 위하여'라는 단편에 이런 언급이 나온다.
  5. 지붕뚫고 하이킥에서 식모 역을 맡았다가 이 이미지가 꽤 오래 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