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주작의 활)

1 소개

이노우에 준야의 만화 주작의 활에 등장하는 무기.

흔히 알려진 주작,청룡,현무,백호의 4방신을 모티브로 만들어진 가공의 무기이다.

과거[1] 미야코노를 위협했던 로쿠죠 시게오미와 그가 불러낸 요괴군단인 권족을 물리치기 위해 시게오미의 친형이자, 당대 미야코노의 영주였던 로쿠죠 카즈오미가 가신들의 도움을 받아 불러내었다.

각각 주작의 , 청룡의 , 현무의 방패, 백호의 발톱이 있으며, 이 신기를 내려주는 4방신들은 힘을 빌려주는 대가로 신기 사용자의 가장 소중한 것을 제물로 바칠것을 강요한다. 강매

신기 소유자들은 거의 실수이거나 원하지 않았어도 제물을 바쳐 신기를 가지게 되고, 권족과의 싸움에서 이기면 대가를 돌려받을지도 모른다는 작은 희망을 가지고 싸워나가게 된다.

1.1 주작의 활

주작의 힘을 가진 이다. 사용자는 스루가 요스케. 요스케가 지불한 대가는 "미래"로, 수명을 뜻한다.

스루가 요스케의 팔에서 돋아난 듯한 모습을 하고있으며, 머리 부분이 발사대, 양쪽으로 벌린 날개부분을 활 몸통으로 삼고 있다. 뒤쪽으로 돋아난 꼬리깃이 3개[2] 있으며 이것을 화살삼아 날린다. 아무것도 걸려있지 않은 시위를 당기면 이 꼬리깃이 하나 소모되며 화살이 날아가고, 발사된 화살을 미사일처럼 유도시키거나 산탄처럼 5발로 분열시켜 적에게 명중시킨다. 물질을 통과하는 것도 가능해 적의 방어를 뚫고 반드시 명중한다. 소모된 화살은 약 2시간 뒤에 모두 충전된다.

유도와 분열, 우수한 사거리의 대가인지 파괴력은 가장 떨어진다. 중간에 나온 격투전에 특화된 권족이 화살을 잡아서 저지할 정도.

화살이 전부 떨어졌을시 주작과의 거래를 통해 본명성공의 화살이라는 새로운 꼬리깃을 얻을수가 있는데, 이 대가가 화살 한대에 하루분의 수명이라고 한다.

1.2 청룡의 창

청룡의 힘을 가진 . 사용자는 에조 류이치다.

기본적으로는 창의 형상을 하고 있는데, 일자로 쭉 뻗어있는 청룡의 몸통이 창대가 되며, 머리 부위의 입 안쪽에서 창날이 튀어나와있는 모습이다.

아무래도 창이기 때문에 주작의 활과는 달리 사용에 제한이 없으며, 사용자인 에조의 역량에 따라 창대가 휘거나 늘어나기도 하고, 청룡이 직접 상대를 공격하기도 하는 등,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모양이다.

이야기 중간에 느닷없이 하나가 늘어나는데, 에조 선생이 청룡과의 대화를 통해 두번째 대가[3]를 바치고 하나 더 얻었다고 한다.

길쭉한 창이기 때문에 중~장거리에서도 제 역할을 해내는 올라운더이지만, 에조 선생이 대가를 제대로 바치지않아 주작의 활이나 백호의 발톱에 비해 파워가 떨어진다. 백호의 발톱으로 원킬 가능한 권족을 청룡의 창으로 공격했더니 실피남고 살아남았다.. 정도면 대충 설명이 가능하리라. 로쿠죠 시게오미의 가신들과의 최후의 싸움 도중, 청룡의 파워의 한계를 느끼며 절망하는 에조의 앞에 나타난 청룡이 설명해 주는데, 애초에 계약을 맺을 당시, 가장 소중한 것을 빼앗기는 것을 두려워한 젊은날의 에조가 잔머리엉겁결에 자신에게 가장 하찮은 것[4]첫번째 제물로 바쳤기 때문이라 한다. 그리고 청룡은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며 세번째 제물을 바칠것을 강요하는데, 에조 선생은 시각을 바치고, 청룡의 창이 각성한다. 각성한 청룡의 창은 커다란 언월도로 변해 엄청난 위력을 보인다.

1.3 현무의 방패

현무의 힘을 가진 방패이다. 사용자는 미카와 이로리.

전체적으로 현무의 등딱지에 머리와 머리mk-2꼬리만 달려있는 형상이며, 방패 태두리에 털 혹은 갈기 같은 것이 돋아나 있다.

방패이기 때문에 자체적인 공격력은 거의 없지만, 방어에 있어서는 거의 무적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방패에 닿는것을 모조리 튕겨내는 현무의 능력으로, 사용자 미카와 이로리는 이 능력을 응용하여 지면과 공기를 튕겨내며 비행을하는 모습도 보여준다.

이로리는 이 방패를 엄마라고 부른다. 그 이유는 미카와 이로리항목에서...

1.4 백호의 발톱

백호의 힘을 가진 발톱으로, 사용자는 카이 켄지. 켄지가 지불한 대가는 갓파에게 당해 중상을 입은 친구들의 생명.

울버린을 연상시키는 클로가 달린 수갑이다. 사용자의 신체능력을 대폭 늘려, 빠른 속도로 움직일 수 있게 만들어 주며, 주먹질 한방한방에 강력한 파괴력을 부여한다. 그 파괴력은 각성한 청룡의 창 정도만이 넘볼 수 있다. 하지만 격투무기이기에 리치가 짧아 원거리 교전에 취약하다.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2 결말

결국 대가를 돌려받는 다던가 그런거 없다

최종권인 12권에서 로쿠죠 시게오미를 처단하고 드디어 주작스루가 요스케미래를 받아가려고 하는 순간, 요스케를 지키려 하는 이나바 요모기가 신사에 전해져 내려오는 파멸의 주술[5]을 써서 사신들을 모조리 끔살시킨다.

사라지면서 하는 대사가 심히 씁쓸한데...

청룡 : 필요없어지면 신마저 없애다니, 이리도 이기적일 수가. 이것이 인간의 오만이란 말인가!!

에조 선생 : 천만에! 이건 인간의 사랑이다!! 이 도시는 더 이상 신을 필요로 하지 않지!! 사람의 생명이 무엇보다도 귀하다는 사랑의 결단이다!! 해치워 요모기!
(켄지가 자신들이 제물로 바친 소중한 것들을 내놓으라면서 울부짖는 모습이나 이로리가 신기 사용자들 중 누구 하나 당신들을 원해서 받아들인 사람은 없었다고 말하는 걸 보면, 이들은 높은 곳에서 인간을 내려다보면서 일방적으로 소중한 것을 앗아간 강매꾼일 뿐이고 이들을 없애버린 것도 당연한 권리일지 모른다. 작중에서도 이들은 은근슬쩍 제물을 더 내놓을 것을 요구하거나 인간 주제에 자신들과 대등한 입장이라 착각하지 말라고 하는 등 음흉하고 고압적인 모습을 자주 보인다.)

주작 : 인간이란... 이리도... 추한... 생...물...이더냐...

(애초에 권족이 나타나 마을이 위험해 진 건 에조가 청룡의 창을 손에 넣어 봉인을 풀었기 때문이다. 사신들은 자기들끼리 잘 놀고(?) 있다가 카즈오미가 자신들을 소환했기 때문에 권족을 물리치기 위해 힘을 빌려줬을 뿐이고 신기를 가지려면 대가를 바치는 시스템은 아마도 계약 시스템 상 어쩔 수 없는 일이었을 것이다. 이런데 권족과의 싸움에서 아주 큰 결단을 내리며 잘 싸우더니 마지막에 뒤통수를 치는 일은 토사구팽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 아마도 에도시대 쯤
  2. 후반에 4개로 늘어난다.
  3. 후각
  4. 미각
  5. 사신들을 소임에서 해방시켜 미야코노 땅에서 사라지게 만드는 주술이라고 한다. 말이 좋아 해방이지 사실상 신들을 소멸시켜 버리는 주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