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어

1 개요

신라에서 쓰였던 고대 언어를 뜻한다.

2 상세

고구려, 백제에 비해 그나마 자료들이 많이 남은 고대 언어로, 삼국사기삼국유사 등에 기록된 여러 고유명사, 향가 등 문학, 당대 자료인 금석문, 그리고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신라어 관련 자료들이 남아 있다. 그러나 언어를 구체적으로 고찰해내기에는 자료들이 턱없이 부족하다. 그리고 신라는 약 천 년이나 지속됐고 중간에 삼국통일전쟁 등의 격변을 많이 겪었기에 초기와 후기의 언어도 상당히 달랐을 것으로 짐작하기도 하지만 이런 것까지 밝혀내기는 어려운 상태다. 신라어 연구는 주로 중세 국어와 일치하는 부분을 찾아내는 정도에 머물러 있다.

지금의 경상북도 경주시를 중심으로 시작해 차츰 신라의 정복전쟁으로 영역을 넓혀 최종적으로 676년 삼국통일을 이룬 후, 약 200여년간 한반도 대부분 지역을 지배하면서 한국어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신라어만이 한국어의 기반이 되었으며 고구려, 백제 계통의 언어는 아무 영향도 끼치지 못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고려 이후로는 한반도 중부지방의 언어가 1000년이 넘게 한반도의 중심언어가 되어왔으므로 고구려, 백제 접경지역의 방언 또한 큰 영향을 끼쳤다는 반론 또한 만만치 않다. 다만, 이러한 주장들은 남북대립에 의한 정치적 의도의 영향을 깊게 받기도 했기 때문에 가려서 들을 필요가 있다. 오직 순수한 학문적 연구성과에 의해 사실이 밝혀지는 게 가장 타당하겠지만 현실적으로 고대 한국어는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정확한 연구가 힘들다.[1]

신라의 수도인 서라벌이 지금의 경상도 지역인 점과 연결시켜 일부 창작물에서는 신라어를 현대 경상도 사투리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당연한 이야기지만 현대 경상도 사투리는 시간이 흐르면서 많은 변화를 겪었기 때문에 신라어와는 많이 다를 수밖에 없다.

3 자료

신라인명 · 지명 · 관명 등의 표기는 《삼국사기》 · 《삼국유사》를 비롯한 내외의 사적(史籍)에서 역사서에 나타난 지명인명, 여러 금석문에서 이두, 향찰, 구결, 서기체와 같은 한자로 표기된 내용을 통해 알 수 있다.
  1. 이러한 자료 및 연구의 미비는 국어 연구가 정치권 및 각종 유사과학의 입김을 받기 쉽게 만드는 커다란 원인 중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