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新星, Nova
갑자기 밝기가 확 밝아지는 별이 나타나다보니 과거 사람들은 새로운 별이 탄생한 것이라 생각하여 새롭다는 의미를 지닌 라틴어인 '노바'로 불렀고, 지금까지도 그 이름을 계속 쓰고 있다. 그러나, 사실 알고보면 새로운 별이 탄생한게 아니라 별이 갑자기 폭발하여 수십분~수일 내에 광도가 수백~수만배정도로 올라갔다가[1] 다시 어두워지는 별을 말한다. 폭발변광성의 한 종류이다.
최대 절대 등급은[2] -7등 정도이며, 그 후의 감광은 완만하여 밝기가 1/10이 되는 데는 수일~수년이 걸린다. 밝기가 증대하고 있는 중에는 보통의 흡수 스펙트럼을 볼 수 있지만, 최대 광도에 도달하고 나서 수시간~수일 후에는 고도로 이온화한 원자의 강한 스펙트럼이 나타난다
연성계 중에서도 근접쌍성계, 그중에서도 적색거성과 백색왜성이 쌍을 이루는 곳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정확히 밝혀진 것은 아닌데 지금까지 확인된 신성들의 경우 대부분 이 조건을 만족하기 때문에 옳은 주장으로 판단하고 있다.
적색거성의 경우 수소 핵융합 반응의 부산물인 헬륨의 비중이 높다보니 상태가 불안정해져 팽창하려는 힘과 중력으로 인해 수축하려는 힘의 균형이 맞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다보니 열심히 팽창을 하다보면 인근 백색왜성의 중력권[3]까지 팽창을 하게 되는데,[4] 이 때 백색왜성이 팽창한 적색거성의 외부 물질들을 빨아들이게 된다. 이러한 물질들이 계속 축적되다보면 백색왜성이 불안정상태에 놓이면서 핵폭발을 일으키게 되는데, 그로 인해서 고온의 가스와 함께 상당한 에너지를 방출하게 된다.
이 영향으로 밝기가 급격하게 밝아지게 되는데 사람들이 보기에는 마치 새로운 별이 탄생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일시적인 에너지의 과포화로 발생한 현상이기 때문에 일정한 시간이 흐르고 나면 백색왜성은 안정을 되찾게 되고 서서히 어두워지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이 보기에도 별이 사라진 것처럼 느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적색거성이 그 수명을 다하거나 백색왜성의 질량이 충분히 증가해 블랙홀이 될 때까지 계속된다.
참고로 똑같이 폭발변광성의 하나인 초신성은 신성의 수백~수만배의 최대 광도를 발하며, 신성과는 구별된다.
2 神聖
언어별 명칭 | |
한국어 | 신성 |
한자 | 神聖 |
라틴어 | Nūmen(누멘) |
영어 | Divine(디바인) |
일본어 | しんせい(신세이) |
거룩하고 성스러움. 고유명사에 붙은 예로서는 신성로마제국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고려 태조 왕건의 대표 시호인 '신성'이 바로 이것.
박건 작가의 신드로이아 연대기에 나오는 신성은 만물동조 문서 참조.
3 Fate 시리즈의 스킬
서번트(Fate 시리즈)/스킬 문서 참조.
4 고구려의 인물 信誠
연개소문의 아들이었던 연남건의 심복으로, 승려임에도 불구하고 군사에 대한 업무를 주로 담당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668년, 당의 명장이었던 이적이 계필하력 등과 더불어 군사를 이끌고 고구려의 수도인 평양성을 포위하였는데, 이때 오사(烏沙), 요묘(饒苗) 등과 함께 이적과 내통하여 성문을 열어 주었다. 이적은 열린 성문 안으로 군대를 몰고 들어가 평양성을 함락시켰으며, 고구려는 멸망하고 말았다.
어떻게 보면 매국노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이미 이전에 고구려왕이었던 보장왕이 먼저 백기를 들고 성 밖으로 나가 이적에게 GG 항복해 버렸기 때문에 사실상 이미 멸망한 것이나 다름없었다. 왕이 항복을 선언하는 등 이미 패배가 확정된 상황에도 불구하고 연남건이 끝까지 당군에 맞서려 하자 이에 불만을 품고 당군과 내통하여 성문을 열어준 것으로 보인다.
드라마 대조영에서 김영기가 분했다. 신홍의 형이며, 처음에는 연남건을 보좌하며 연남건이 권력을 잡는 데에 일조한다. 실제 역사대로 평양성의 성문을 열어주는 천하의 개쌍놈으로 등장한다. 이후 평양성이 함락되어 고구려가 멸망하자 부기원과 함께 설인귀 휘하에 들어가 안동도호부의 수뇌부가 된다. 이 때문에 그는 대조영이 이끄는 동명천제단의 살생부에 오른다. 이후 요동성의 안동도호부에서 부기원의 오른팔로 지내면서 동명천제단을 소탕하려 하지만, 얼마 가지 않아 안동도호부에 쳐들어 온 대조영에게 죽는다.
5 新城
고구려의 성(城) 중 하나. 신성은 2군데에 있었다. 하나는 동북 동해안 지역에 있던 성이 있었고,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고국원왕 5년조에 "나라 북쪽에 신성을 쌓았다"고 한 그것은 현재의 요녕성 혼하(渾河) 북안의 고이산산성(高爾山山城)으로 여겨지고 있다. 고국원왕대에 동북쪽 신성을 신축하면서 서북지역의 신성은 이와 구별하여 돈성(敦城)으로 불리었다.[5]
667년 9월, 사부구 등이 신성 성주를 결박하여 이적에게 항복하여 결국 당나라군에 함락되었다. 하지만 삼국사기에 따르면 신성은 고구려가 멸망한 이후인 669년 2월에 당나라에 항복하지 않은 11개 성들 중 하나라고 한다.[6]- ↑ 네이버 지식백과 화학대사전에선 5000~100000배 정도로 올라간다고 나온다.
- ↑ 32.6광년에 별이 있다고 했을 경우의 등급이다.
- ↑ 백색왜성은 크기가 작지만 중력이 상당히 강하다.
- ↑ 이 때의 별의 팽창 속도는 수천 km/s, 별의 지름은 처음의 100~400배가 된다고 생각된다. 폭발 전의 별의 상태는 A형의 준왜성으로, 폭발 후 수년이 지나면 온도 30000~60000℃ 정도의 O형 별과 비슷한 별이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
- ↑ 임기환, 「고구려 초기의 지방통치체제」, 『경희사학』 14, 1987, 한국교육학술정보원, 60쪽 참조.
- ↑ 이외에도 666년에 연남생 등과 함께 항복한 국내성이나 667년 신성이 함락된 후 당나라에 의해 함락당한 목저성이나 남소성이 당시 항복한 성으로 분류된 점 등 미스테리한 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