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명의 영화는 평양성(영화) 문서로.
주의. 이곳은 여행금지 국가·지역입니다.
이 지역은 대한민국 여권법에 의한 여행금지 또는 기타 법률에 의해 출입이 금지된 지역입니다.
해외 여행 시 반드시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사이트에서 해당 국가 또는 지역에 대해 정보를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1 개요
고구려 장수왕대에 국내성에서 안학궁(+대성산성)으로 천도를 했고, 평원왕대에 장안성으로 천도를 했다. 안학궁과 장안성은 둘 다 현재의 평양 안에 있으며, 거리도 그렇게 멀지 않다. 정확히는 장안성이 안학궁의 서쪽에 있다. 위의 그림은 장안성의 구조도이다. 넓은 의미의 평양성은 안학궁과 장안성을 모두 가리키는 말이지만, 좁은 의미의 평양성은 보통 장안성만을 가리킨다. 고구려의 수도로 유명하지만 고조선 마지막 수도였던 왕검성도 평양에 있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낙랑군도 요즘은 평양설 쪽으로 많이 기울었고, 최씨낙랑국은 말할 것도 없다. 즉, 고대에는 한반도의 확실한 요충지였다.
일단 수도로서는 너무 좁아터진 곳이며 방어적인 측면에서나 상당한 수준일 뿐이지 적군의 입장에서 본다면 적진 한 가운데에 수도가 있다보니 위 예들을 보면 알 수 있다시피 희한하게 수도를 여기로 천도했던 나라들은 어김없이 외침으로 궁지에 몰렸고, 배신으로 망했다.북한이 망할 수밖에 없는 이유 한 침공 - 우거왕 암살 / 고구려 대무신왕 + 호동왕자 침공 - 자명고는 울지 않고...[1] / 당 침공 - 연개소문 사후 사분오열 크리. 결과론적인 얘기지만. 광무제가 다시 깔아서 미천왕 때 망한 낙랑군이 있긴 한데 이건 나라는 아니다.
결국 고구려가 망한 후 남북국시대에는 야만족이 들끓는 완전히 몰락한 성터 수준으로 방치되어 안습한 시절을 보내기도 했다(기록으로 보아 완전히 몰락하지는 않고, 어느 정도 독립적인 세력이 있었다는 설도 있고, 헌덕왕 등이 대동강까지 올라가 성을 쌓기도 했다.). 고려 때에는 다시 서경의 지위에 올랐고 3대 왕 정종 때 수도가 될 뻔하기도 했지만 결국 묘청의 반란크리로 초토화…. 이후 동녕부로 몽골 밑에 있다가 다시 애매한 위치에 놓이는 등 각종 수모를 겪는다. 심지어 임진왜란 때는 왜군(일본군)에게 함락되었다가 명나라 군대에게 되찾아지기도 하고... 제너럴 셔먼호가 쳐들어 오질 않나... (이건 성은 아니었지만) 여러모로 수난 참 많이 겪은 성이다. 그리고 현재는 김씨 왕조 치하에 놓여있기도 하고.
고구려 시대 평양성의 방어력이 상당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연 해자가 둘러쳐져 있고 산을 끼고 있으며 여기에 내성, 외성, 중성, 북성을 둘러 한국의 콘스탄티노플이라고 부르는 이도 있다. 3중 성벽구조는 전국시대의 일본이나 여러 환란을 겪는 중국에서도 그리 드문편이 아니었으며 중세 유럽에서도 여러차례 시도된 바가 있기에 그리 특출난 사항은 아니었다. 성의 요새화를 그다지 적극적으로 시도하지 않았던 한반도에 있어서는 특이한 것은 맞다. 헌데 저런 3중 성벽의 장점을 극대화하려면 적어도 외성을 제외한 제2성벽과 제3성벽에는 외부로 통하는 성문을 내지 말아야 한다.
크게 외성, 중성, 내성, 북성으로 나뉘어져 있었는데 외성에는 일반인(평민,하층민)들이 살았고 중성에는 귀족의 거주구역과 관청이 있었으며 왕궁 등은 내성에 있었다. 일반인 거주구역인 외성이 압도적으로 넓을 것 같지만 그렇지는 않고 귀족 거주구역인 중성보다 좀 넓은 수준. 내성은 왕궁만 있어서 좁을 것 같지만 거의 중성만한 크기이다. 파레토의 법칙을 제대로 보여주는 예.
평양성은 또한 평지성과 산성이 결합한 평산성이다. 평양성만 그런 것은 아니었고, 산지로 둘러싸인 도시지역의 경우 이런 경우가 꽤 많으며 일단 한양도성부터 평산성이다. 국내성과 그 근처의 환도산성처럼 두 성이 나뉘어 전시에는 평지성을 버리고 이동하여 산성을 사용하는 당시까지의 방식과 차이점이 있다. 고구려가 망한 것이 내부 배신자 때문이라는 점도 이를 높이 사는 의견에는 더욱 고무적인 요소이다.
하지만 후대에는 성 보수를 제대로 안 한 건지 아니면 세월의 탓인지 제법 많이 털렸다. 평양직할시 항목에서 확인하자.
안타깝지만 지금으로서는 갈 수 없는 곳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