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소동

(쌀 폭동에서 넘어옴)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실제로 발생한 사건·사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합니다. 불법적이거나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이용자들이 불쾌할 수 있으니 열람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실제 사건·사고를 설명하므로 충분히 검토 후 사실에 맞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틀을 적용하시려면 적용한 문서의 최하단에 해당 사건·사고에 맞는 분류도 함께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분류 목록은 분류:사건사고 문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add114062e4c1c568abe8529dd7f46c_1434180338.24.jpg
소동으로 불에 타버린 스즈키 상점 고베 본사 사옥.

2_050.jpg
소동의 발단이 된 곳. 우오즈의 쌀 소동(魚津の米騒動)이라고 적혀 있다.

米騷動/米騒動(こめそうどう)

1 개요

일본에서 유통량이 감소하고 가격이 폭등하게 되어 발생하는 혼란을 말한다. 일본은 쌀이 주식이고 생활필수품이므로 쌀 소동은 필연적으로 민중의 폭동을 초래한다. 원인은 흉년, 사재기 등 여러 가지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사태 자체는 언제나 있어왔다. 쌀 소동이라는 말 자체는 에도 시대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에는 1890년, 1897년, 1918년, 1993년에 '쌀 소동'이라 지칭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다만 1993년의 쌀 소동은 당시 일본의 흉년으로 인해 쌀 가격이 폭등해 발생한 건 맞는데, 쌀 소비량 자체가 많이 줄어들고 일단 식량 사정이 이전에 비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나아졌기 때문에,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한 식량 부족이나, 그로 인한 폭동이 일어나지는 않았다.

역사적으로는 1918년의 쌀 소동이 가장 유명하며, 그래서 쌀 소동이라는 말 자체가 1918년 쌀 소동을 의미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1918년의 쌀 소동은 도매상이 가격을 담합해서 쌀 가격이 폭등하자 일본 농민들 사이에서 일어난 대규모 유혈사태 시위를 일으키며 발생했다. 이후 내용은 1918년의 쌀 소동을 설명한다.

2 원인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승전국이 된 일본은 공업화에 박차를 가한다. 공업화가 진행될수록 농촌의 생산인구는 도시로 유출되었고, 이로 인해 일본의 생산량은 줄어들 수밖에 없었다. 또한 러시아 제국에서 공산혁명이 일어나 공산주의 세력 파급을 막기 위한 시베리아 출병이 확실해지자 값이 폭등할 것이라 예상한 쌀 도매업자들이 가격담합 등의 짓거리를 하면서 쌀값이 폭등하게 된다. 당시 일본의 식단은 철저히 곡류 중심이었고 육류어류 등은 잘 오르지 않았기 때문에 불만이 가증될 수밖에 없었다.

3 경과

결국 1918년 7월 22일 도야마 현의 우오즈(魚津) 항에서 처음으로 불만이 폭발했다. 당시 쌀 1석에 대한 가격 그래프. 소동이 일어난 1918년에는 0원 크리(…) 홋카이도로 가져갈 을 싣고 있는 배를 300여 명의 주부들이 에워싸고 쌀을 팔라고 시위를 벌인 것이다. 도야마는 일본에서 논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이었지만, 이곳에서마저 당장 오늘 먹을 것을 걱정해야 될 지경이 되었던 것이다. 이후 8월 3일 역시 도야마에서 200여 명의 시민들이 쌀 도매업자들을 규탄하는 집회를 열었고, 이 소요를 시작으로 폭동이 교토·나고야등의 대도시뿐만 아니라 일본 전국으로 퍼져나가게 되었다. 성난 군중들은 쌀가게와 유통회사를 불태우는 등 매우 공격적이었고, 고베에서는 유통 재벌인 스즈키의 본사가 불타는 등 걷잡을 수가 없었다.

도시와 농촌을 뒤흔든 이 폭동은 탄광촌에까지 퍼졌고 사회는 9월 12일까지 혼란에 빠진다. 이에 당시 일본 정부는 식민지이던 조선에서 산미증식계획을 실시하였고, 조선에서 늘어난 쌀, 아니 늘어난 것뿐만 아니라 조선 사람들이 먹어야 할 쌀까지 일본으로 유출시켰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영향 부문 참고.

4 결과 및 영향

당시 총리대신이던 데라우치 마사타케[1]는 쌀 소동에 대한 언론 보도를 금지하는 조치를 취하고 군을 출동시켜 폭동의 수습을 꾀하였다. 50일간 369회의 소요가 발발해 10만 명의 군이 소요 진압에 투입되었다. 7,786명을 기소했으며 그중 2명은 사형, 12명에게는 무기징역이 선고되는 등 잔혹하게 진압했고 그로 인해 민심이 흉흉해지자 내각이 사퇴하게 된다.

쌀 폭동으로 흉흉해진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 다이쇼 덴노메이지 유신 이후 최초로 평민 출신 총리를 임명했고, 국민의 삶의 질을 조금은 높여주는 대처를 한다. 이 시기를 다이쇼 데모크라시라고도 부른다. 그래 봤자 30년대 이후로는 삶의 질이고 뭐고 다 망했어요... 일본에서 노동자의 목소리가 커진 것도 바로 이 시기이다. 또한 보도 통제에 맞서 이 소동을 적극적으로 보도한 아사히 신문은 메이저 신문사로 발돋움하게 된다.

J33-00-62-04%EC%82%B0%EB%AF%B8%20%EC%A6%9D%EC%8B%9D%20%EA%B3%84%ED%9A%8D%EA%B3%BC%20%ED%9A%8C%EC%82%AC%EB%A0%B9-02.jpg
중학교 때부터 고등학교 때까지 역사 시간에 죽어라 봤을 그래프

그러나 쌀 폭동으로 가장 큰 영향을 받은 곳은 당시 식민지이던 조선이었다. 쌀 폭동에 놀란 일본은 조선에서 산미증식계획을 세워 조선의 쌀 생산량을 증가시켰다. 산미증식계획 시기에는 쌀 생산량이 늘고 일본으로 이출량도 증가하였지만, 생산량보다 이출량의 증가가 급격하였고, 또 조선내 쌀값은 지속적인 상승세로 벼를 자가 소비하는 것보다 판매하는 것이 금전적으로는 이득이었으므로 조선인 1인당 미곡 섭취량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이에 조선인들은 식량 부족으로 만주에서 들여오는 질 낮은 잡곡 등으로 식량을 충당해야만 하였다. 또 조선의 농민들이 얻은 이익은 거의 없었고 오히려 수리 시설 수리 비용과 비료 값, 종자 값을 빚으로 고스란히 떠안아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만주 등지로 떠나거나 화전민이 되는 등 큰 수난을 겪기도 하였다. 단 여기에는 반론이 있다.

기존의 학설은 만주산 잡곡등의 유입으로 농민의 섭식은 오히려 악화되고, 농작상황의 악화로 유랑민이 증가하여 만주로 이민을 가는 경우가 많았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낙성대경제연구소를 중심으로 상반되는 연구결과등이 발표되어 반론이 제기되었다.
전반적으로 일제시대는 인구증가의 시기였던 데다가 식료구입의 총량이 증가하였고, 평균신장이 증가하였기 때문에 단순히 1인당 쌀섭취량의 감소가 생활수준과 식생악화로 이어질 수 없다는 것이다. 게다가 재래 조선의 농업은 논농사보다 밭농사의 비중이 많았고, 애초부터 쌀보다 잡곡의 섭취량이 많았으므로 다른 식품군의 섭취를 제껴두고 쌀의 섭취량 감소만 두고 식생수준이 악화되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어찌됐건 산미증식계획 실시기의 농촌 빈부격차는 확연하게 커졌지만, 빈부격차 외에 농민의 식생수준이나 신장등의 생활수준 자체가 악화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종합하면 이시기 빈부격차는 농민의 소득이나 삶이 크게 저하됐다기 보다 지주의 소득이 급격하게 올라가서 벌어졌다고 보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2] 한편, 이시기를 경유하여 조선지주[3]들의 재력이 강해져 전통적인 고율의 소작료율이 굳어지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산미증식계획 항목을 참조.

5 여담

  • 일본어 위키백과에서는 1993년 쌀 사태(1993年米騒動) 역시 찾아볼 수 있는데, 이 항목은 이상기후로 낮아진 기온 탓에 미곡의 수확량이 현저히 줄었기 때문에 일어난 사건이다. 이 해에는 일본의 식량 자급률이 40퍼센트 이하로 내려갔다고 한다.
  • 또한 일본에는 THE★쌀소동(THE★米騒動)(이름이 뭔가 병맛. 이름이 애니 제목같다....)이라는 인디 록 밴드가 존재한다. 현재는 2014년을 기점으로 잠정적 활동 중단 상태다.
  1. 초대 조선총독을 지낸 그 자가 맞다.
  2. 애초에 지주는 소작농들이 농사를 지어서 수확한 쌀의 일정한 량을 소작료로 받아 수입을 얻는 사람들이다. 때문에 소작농의 수확량이 많아져야 자신들의 이익도 증대된다. 다시말해 지주가 성장하려면 소작농도 성장해야된다는 이야기다.
  3. 조선에 거주하는 일본인까지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