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 워

(아적전쟁에서 넘어옴)
마이 워 (2016)
My war
我的战争
감독 옥사이드 팽[1]
출연 류예, 왕뤄단, 황지충, 양여우닝 등
장르 전쟁
제작사 중국전영집단공사
(中国电影集团公司)[2]
배급사 추가바람
개봉일 2016년 9월 14일
상영 시간 124분
총 관객수 추가바람

1 개요

마이 워(중국어: 我的战争)는 6.25 전쟁 당시 중화인민공화국이 열세에 몰린 북한을 돕기 위해 인민해방군한반도에 파병한 것[3]을 다룬 영화이다. 중국판 제목 그대로 아적전쟁이라고도 불린다. 뜻은 '나의 전쟁'으로 영어판 제목 마이 워와 의미는 동일하다. 2016년 9월 15일 개봉.

2 홍보

2.1 마이 워 홍보 동영상 논란

마이 워 개봉 전에 2분 분량의 홍보 동영상을 올렸는데, 이 동영상이 중국군의 한국전쟁 참전을 미화했다는 논란이 일어 중국내외에서 논란이 되었다.

홍보 영상에는 서울을 방문한 중국 노인들이 한복 차림의 한국인 여성 가이드와 만나 대화하는 내용이 담겼다. 한국인 여성 가이드가 이들에게 서울 여행이 처음이냐고 묻자, 중국 노인들은 한국 방문이 처음이 아니라고 밝힌다. [4]그러나 이들 여권에는 이전에 한국을 방문한 기록이 없었기 때문에 가이드는 당황한다. 가이드가 당황하는 사이 중국 노인들은 자신들이 붉은 기를 들고 한국에 왔었으며, 그 당시에는 서울이 아닌 한성이었다고 말한다. 그리고는 단체로 항미원조 보가위국(抗美援朝 保家衛國)[5]을 외치며 끝난다.

이 홍보 동영상이 공개되자 당사자인 한국 측에서는 당연히 공분했으며[6], 중국 내에서도 너무 지나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홍보 동영상이 영화 내용과 관련된 것도 아니였고, 하필 전쟁에 참전한 당사자인 한국을 끌어들여 자국의 애국심 고취에 이용했기 때문에 해외는 물론 중국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거새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에 의하면, 중국인들조차 이 홍보 동영상을 '한국에 대한 역겹기까지 한 무례'라고 하였다고 한다. 하얼빈 사범대의 린치 교수는 웨이보에서 '일본 노인 단체관광객이 난징에 와서 자신들이 70여 년 전 난징대학살욱일기를 들고 왔었다고 여행가이드에게 말한다면 어떤 생각이 들겠느냐'라고 본 홍보 동영상의 문제를 적나라하게 비판하기도 하였다. #

홍보 영상이 논란이 되자 옥사이드 팽 감독은 '그 홍보 동영상은 본인의 입장과 다르다, 영화에서는 참혹하게 희생된 가족 간 이별 등이 다뤄진다.'라고 밝혔다. 그리고 제작자 류춘 역시 영화 제작에는 참여했지만 홍보 동영상 제작 및 기획 작업에는 참여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홍보 동영상을 제작한 베이징전영학원 연기과 교수 리란란은 웨이보에서 밝히길 '왜 서울 관광 부분을 넣느냐에 대해 현장에서도 이견이 있었다, 결과를 생각하지 않고 습관적으로 촬영을 했으며 교훈을 받아들이겠다'고 하였다.

한편으로 제작자들의 입장이 밝혀지자 중국 네티즌들은 '한국 역시 중국인을 모욕하곤 한다.' 면서 박보검만리장성이라는 이름의 상대방과 대결을 벌인 CF를 거론하기도 하였다.

결론적으로 마이 워 홍보 동영상은 현재 중국공산당과 일부 중국인들의 의식을 보여주는 것이기에 우려가 많다. 또한 사드 문제, 중국어선들의 불법 어업, 일부 재한 중국인들의 행패 등으로 대한민국 내에서도 반중 감정이 심해졌기 때문에 본 홍보 동영상은 더욱 논란을 부채질할 것으로 보인다.

2.2 논란 관련 참고 기사

3 개봉 이후

개봉 첫주에 8위로 데뷔했고, 불과 2주차에 순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1주차 흥행은 2500만 위안에 그쳤고, 개봉 첫 주에 스크린 당 관객수가 평균 10명(...)을 찍는 안습한 좌석점유율을 기록했다고 한다. # 중국 네티즌들의 평가도 박한 편. 1만 5천 명의 중국 네티즌이 평점을 준 더우반(豆瓣)의 네티즌 평점은 불과 5.2점으로, 전체 평점의 40% 가량이 최하점인 1점이다.#

결국 개봉 전에는 흥행수익 5억 위안을 목표로 삼았다고 하지만, 개봉 후 영화가 벌어들인 수입은 16년 10월 현재 약 3,500만 위안(약 58억 원)으로, 일일 박스오피스도 10만 위안 수준인지라 4000만 위안(약 66억 원)은 못 넘을 게 확실해 보인다. 참고로 흥행수익 60억이면 영화 시장 규모가 중국보다 작은 한국 기준으로 봐도 연간 박스오피스 50위에도 못 드는 저조한 수익이다.
  1. 원래부터 중공 출신이 아니라 홍콩 출신의 감독이다. 중국어 이름은 펑순(彭順).
  2. 영문명칭으로 차이나 필름이라고도 함. 중국 국영기업 중국전영유한공사의 자회사이다.
  3. 중국에서는 이를 항미원조(抗美援朝)라고 부른다.
  4. 여기서 중국 노인들이 각각 자신이 강도련, 문공단(모두 인민해방군 소속)이었다며 60년 전에 (한국을)왔었다고 말한다. 즉 한국전쟁 당시 중공군으로 참전했다는 소리.
  5. 마오쩌둥이 주장한 구호로, 미국에 맞서 조선을 돕자는 뜻이다. 즉 북한과 종공을 대적한 대한민국 땅 안에서 그것도 한국인을 면전에 두고 중공군의 참전을 노골적으로 찬양하고 있는 것이다.
  6. 중공군의 참전으로 남북통일을 눈 앞에 둔 대한민국은 퇴각할 수 밖에 없었고, 현재까지도 통일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한마디로 중국 때문에 통일을 못한 것인데 그것을 대놓고 조롱하고 있으니 화가 날 수 밖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