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타리 5200

2세대 게임기
가정용
페어차일드 채널 F아타리 2600마그나복스 오디세이²인텔리비전
카세트 비전콜레코비전벡트렉스아타리 5200
휴대용
게임 & 워치
width=250
아타리의 게임기
가정용
[[퐁|]][[스턴트 사이클|]][[비디오 핀볼|]]
[[아타리 2600|]][[아타리 5200|]][[아타리 7800|]]
[[아타리 XEGS|]][[아타리 재규어|]][[아타리 플래시백 시리즈|]]
휴대용
[[아타리 링스|]]


1982년 11월에 아타리에서 출시한 아타리 2600의 후속모델. 정확한 이름은 아타리 5200 슈퍼시스템(Atari 5200 SuperSystem)이다.

1982년 8월에 등장한 콜레코비전이 당대 최고의 스펙으로 동키콩 같은 닌텐도 아케이드 게임을 뛰어난 완성도로 이식하면서 단기간에 엄청난 판매율을 올리자, 이에 긴장한 아타리에서 콜레코비전을 견제하기 위해 만든 기기이다.
CPU는 커스텀 6502C 1.79MHz, 램 16KB, 320x192 ANTIC, GTIA 16색 그래픽 아타리 400/800 컴퓨터를 기초로 해서 설계되었는데,[1] 구조는 비슷하지만 미묘하게 다르기 때문에 이들과의 호환성은 없다.

그래픽은 나름대로 괜찮지만 여러가지 내포된 문제 때문에 그대로 묻혔다. 이 모든걸 10분안에 요약정리한게 AVGN의 리뷰.

콜레코비전을 견제하기 위해서 만든 기기이고, 기술적으로는 콜레코비전보다도 진보된 면도 일부 있으나, 이 게임기의 문제점은 컨트롤러인데, 콘솔 게임 처음으로 아날로그 조이스틱을 도입한 것은 좋지만 생산성을 위해 너무 저가의 회로를 쓴 바람에 감도가 나쁘고 연결방식이 복잡하다는 것이다. AVGN에서도 이것 때문에 5200이 망했다고 일갈했을 정도로 심각한 문제. 게다가 버튼형이 아니라 이상한 숫자 키패드를 써서 조작감도 나빠서 이 컨트롤러만 서드파티에서 수십 종류가 발매가 되기도 했다.[2] 다만 컨트롤러에 있는 일시정지(Pause)기능은 각광받아서 이후 게임기의 표준으로 자리잡았다. 뒷날, 패미컴에 Start 버튼과 Pause 버튼을 통합했지만.

파일:Attachment/아타리 5200/220px-9 pin d-sub connector male closeup.jpg 와 내 컴퓨터 모니터 선 넣는 구멍이랑 비슷하게 생겼네?
아타리 2600의 컨트롤러 포트는 D-sub 9핀(DE-9)으로 세가 제네시스와 컨트롤러가 호환된다. 사실 콜레코비전, MSX, X68000, FM Towns 등의 기기들도 죄다 2600과 같은 규격을 사용하고, 일본 기기들 사이에서도 이 규격을 그대로 채용한 게 꽤 된다. 구형 PC의 게임 포트로도 많이 쓰였고, PS/2 이전에 있던 시리얼 포트의 규격도 이것이다. 그런데 구버전 5200의 경우는 D-sub 15핀(DA-15), 그러니까 PC용 MIDI/조이스틱 포트의 규격을 썼다.[3] AVGN 아타리 5200 에피소드의 마지막에서도 이걸 모르고 9핀 조이스틱을 20불 즉구로 질렀다가 외마디 욕설만 뱉고 망했다(...).

그리고 두번째 실패는 아타리 2600과의 호환성만을 너무 많이 생각했다는 점이다. '2600 어댑터'라는 것으로 아타리 2600과 호환이 가능하게 만들었는데, 이런 걸 만드느라 5200용의 게임 제작이 늦어졌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게임도 몇가지 없는 5200에서 2600게임도 된다면 그냥 2600을 사고말지 5200을 사는 사람은 없었을테니... 결국 콜레코비전을 견제하기는 커녕 자사 기종인 아타리 400/800 8비트 컴퓨터나 자사 구형 기종인 아타리 2600에게 처참하게 팀킬이나 당하는 신세가 되고 말았다.

게임기 위쪽에 팩을 담는 카트리지 박스가 있는데, 이게 오히려 게임기의 크기를 늘리는 독으로 작용하여, 휴대성이 아타리 2600에 비해 떨어지게 되었다. AVGN은 이 박스 안에 롤링락을 꺼내 마시기도 했다.(...)

결정적으로 이 시기에 아타리 쇼크가 터져버렸다. 그래서 출시는 됐는데 주목을 받지 못하고 그대로 사라졌다. 망한 기종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아타리라는 이름 값은 있었는지 단종때 까지 100만대 이상은 팔렸다고 한다.

5200과 완전히 같으나 컨트롤러 모양만 다른 '아타리 비디오 시스템 X'라는 기종도 나왔는데, 엄청 희귀하다고 한다.

후속기종으로 아타리 7800이 출시되었다.
  1. 이 덕분에 400/800 컴퓨터와 아타리 5200을 함께 지원하는 에뮬레이터가 많다.
  2. 이 중에는 트랙볼을 처음으로 사용한 컨트롤러도 있지만, AVGN 영상을 보면 알 수 있듯 조작감이 최악이라 무지하게 까였다. 컨트롤러 크기가 게임기보다 큰 문제도 있고...
  3. VGA 케이블도 D-sub 15핀이지만, 이쪽은 DE-15로 별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