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쌔신(메이플스토리2)

한 번 목표를 삼은 적은 절대로 놓치는 적이 없는 어둠 속 암살자.
분신술로 적을 교란시킨 후 멀리서 표창을 날려 치명상을 입힌다.
메이플스토리2의 직업
전사 계열무도가 계열마법사 계열궁수 계열도적 계열
모험가
나이트

위자드

레인저

시프

버서커

프리스트

헤비거너

어쌔신
영웅
룬 블레이더

스트라이커

소울 바인더

1 개요

메이뷰 어쌔신 직업소개 가이드

온라인 게임 《메이플스토리2》의 도적 계열 직업. 표창을 사용한다. 메이플스토리 1나이트로드, 나이트워커에서 모티브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

2 스토리

어쌔신이 어떤 이들인지는 물론, 그들의 존재 자체에 대해서도 알려진 바가 없다. 다만, 확실한 것은 다크윈드를 이끌던 윈 스틸턴이 사망하고 세상이 혼란에 빠진 후, 이전에는 없던 부도덕하고 무자비한 사건들이 부쩍 늘어났다는 사실이다.

최근에는 윈 스틸턴이 이끌던 다크윈드가 비밀리에 어쌔신이라는 암살병기들을 양성하고 '정의'라는 명목 하에 도덕적이지 못한 행동을 했다는 소문이 퍼져나가면서, 그의 죽음 앞에 애도의 눈물을 흘렸던 많은 사람들에게 충격을 주고 있다.

3 정보

3.1 능력치

  • 조작 난이도 : ★★☆☆☆
  • 속성 : 물리, 암흑, 화염[1]
  • 주요 능력치 : LUK, 크리티컬 대미지
  • 유용한 보조 능력치 : 크리티컬 명중, 방어 관통력, 공격 속도, 이동 속도

3.2 아이템

3.2.1 주무기 : 쌍수 표창

원작과 달리 아대 없이 직접 들고 던질 수 있는 표창은 은밀하고 민첩하게 움직이는 어쌔신들이 주로 사용합니다. 양 손에 각기 다른 표창을 들 수도 있고, 충전도 필요 없답니다.

Throwing Star

전작과는 달리 아대 없이 직접 들고 던질 수 있고 충전도 필요 없다. 양손에 각기 다른 표창을 들 수 있다. 다만 두 손에 다 장착하지 않고 어느 한 손만 표창을 끼면 SP 수급스킬 사용이 불가능하다.

4 직업 전용 대사

엘리트 등급 이상 몬스터 처치 시

"내 적수가 못 되는군"
"그만 사라져라"
"이걸로 끝이다"
"간단하군?"
"내 표창은 빗나가는 법이 없어"

엘리트 등급 이상 몬스터 막타 시

"고통없이 끝내주마"
"여기까지다!"
"싱거운 상대였군?"
"예상했던 결과다"

타 플레이어 처치 시

"미안하군"
"언제든 다시 상대해주지"
"방심은 곧 죽음!"
"나에게 죽는걸 영광으로 알도록"
"아직 멀었어"
"바보같으니"

사망 시

"크윽... 방심했군..."
"수치다..."
"복수해... 주마..."
"기억... 해두지..."
"잊지... 않겠다..."

타인에 의해 부활 시

"고맙군"
"긴장을 늦추지 마"
"잠시 방심했군"
"내 실수였어"
"너에게 빚을 졌군"

5 스킬

메이플스토리2/스킬로 돌아가기.

5.1 액티브

5.1.1 럭키 세븐

럭키 세븐
양손에 장비한 표창의 반발력을 높인 뒤 전방 7m (8m) 영역 내의 적에게 랜덤하게 던져 각각 52% (72%)의 대미지를 입히고 반경 3m 내의 적 1명에게 튕겨서 37% (57%)의 대미지를 입힌다. 공격이 명중할 때 마다 대상 수 별로 SP를 4 (6) 회복한다.
습득 레벨10속성물리
쿨타임-마스터 레벨10


레벨사정거리(m)왼손/오른손 대미지(%)튕긴 후 대미지(%)SP 회복량
1752/52374
254/5439
356/5641
47.558/58435
560/6045
662/6247
764/6449
8866/66516
968/6853
1072/7257
끝이다..! / 이걸 피할 수 있을까..? / 빨리 끝내주지![2]

메이플스토리2 최강의 SP 수급 스킬연사속도는 최하위지만 사실 어쌔신의 스킬구조가 럭키 세븐의 퍼센트 대미지를 높일수밖에 없다
어쌔신의 알파
우리가 어쌔신을 하는 이유

어쌔신의 SP 수급 스킬. 전직 후 배우게 되는 첫 스킬이자 SP 수급을 위한 기술이다. 럭키 세븐 스킬 업그레이드 시 사거리·대미지·SP 수급량이 증가한다. 전작과 달리 적 여럿을 공격할 수 있다.

이 스킬의 성능은 다른 직업의 SP 수급 스킬과 차원을 달리한다. 다른 직업의 SP 수급 스킬은 평타보다 대미지가 떨어지는 편이고 안쓰면 스킬을 쓰기 힘들어지기 때문에 울며 겨자 먹기로 쓰지만, 어쌔신의 럭키는 평타보다 대미지, 사거리, 투사체 속도, 공격 대상 수 등등 모든 것이 우월하기 때문에 이것만 써줘도 된다. SP 회복량은 보통 수준이지만 하나의 적에게 2회, 나머지 2명의 적에게 1회 타격하기 때문에 실제 SP 회복량은 4배이다. 몬스터를 하나 상대할 때는 회복량이 떨어지는 편이지만 이 스킬의 뛰어난 성능 때문에 별 문제가 되지 않는다.

SP 소모량이 많은 편인 어쌔신의 약점을 상쇄시키는 완소 스킬. 사실상 평타이기 때문에 다른 직업이 적당히 업그레이드하는 SP 수급 스킬을 어쌔신은 꼭 마스터 해줘야 한다.

2015년 10월 29일 패치로 대미지가 상향되었다.
<1레벨 대미지-37%→40%> <10레벨 대미지-57%→60%>
2015년 12월 17일 패치로 대미지가 상향되었다.
<1레벨 대미지-40%→42%> <10레벨 대미지-60%→62%>
2016년 3월 31일 패치로 대미지가 상향되었다.
<1레벨 대미지-42%→48%> <10레벨 대미지-62%→68%>
2016년 8월 25일 패치로 대미지가 상향되었다.
<1레벨 대미지-48%→52%> <10레벨 대미지-68%→72%>

5.1.2 서클 오브 스타

서클 오브 스타
SP를 20 소모하여 몸을 회전하며 표창을 사방으로 던져 반경 4.5m 내의 적 8명에게 62% (82%)의 대미지를 입힌다.
습득 레벨10속성물리
쿨타임-마스터 레벨10


레벨왼손 대미지(%)오른손 대미지(%)
16262
26464
36666
46868
57070
67272
77474
87676
97878
108282
숨을 거둬주마...!내가[3] / 자.. 어떠냐..!

근중거리 원형 광역기. 쌍수 공격이기 때문에 스킬 설명에 표기된 대미지의 2배를 입힌다.

360도 사방으로 표창을 날리며 대미지를 입힌다. 범위가 4.5m나 되기에 사냥에서 닷지와 연계하면 제법 쓸만하다. 보스 레이드에서 쓸 일은 적은 편이지만 부메랑 스타와는 달리 선딜. 없고 대미지도 나름 높은 편. 골든 타워 엘리베이터 같은 협소한 공간에서 많은 적들이 덮쳐오는 상황에서 진가를 발휘한다. 이 스킬 덕분에 어쌔신은 근접전에서도 약하지 않다. 물론 어쌔신 자체는 물몸이므로 이 스킬만 믿고 몬스터 무리에 닥돌하는 일은 없도록 하자.

2015년 10월 29일 패치 이후로 대미지가 상향되었다.
<1레벨 대미지-50%→56%> <10레벨 대미지-70%→76%>
2016년 3월 31일 패치로 대미지가 상향되었다.
<1레벨 대미지-56%→62%> <10레벨 대미지-76%→82%>

2015년 12월 31일 패치로 추가된 '극한의 암살'세트로 이 스킬을 강화할 수 있다.
무기는 SP 소모량 3 감소/대미지 13% 증가이고, 방어구는 각각 대미지가 13%/13%/13%/13%/13%씩 증가한다.
풀셋 착용시 대미지는 156.62%. 쌍수 공격이라서 2배가 된다. 최종적인 대미지는 313.24%.

5.1.3 부메랑 스타

부메랑 스타
SP를 15 소모하여 회전력이 강한 대형 표창을 날려보낸다. 표창은 전방 7m (9m) 지점까지 날아갔다가 다시 돌아오면서 경로 내의 적 8명에게 93% (133%)의 대미지를 2회 입힌다.
습득 레벨12속성물리
쿨타임-마스터 레벨10


레벨사정거리(m)오른손 대미지(%)
1793
297
3101
48105
5109
6113
7117
89121
9125
10133

원거리 직선 광역기. 어쌔신의 주 딜링기 중 하나.

블럭 기준 약 4~6칸정도 사거리로 부메랑처럼 표창을 던지고 받는다. 표창은 던진 후에 이동을 해도 자신을 따라오며, 날릴 때뿐만 아니라 돌아올 때에도 공격 판정이 있다. 다른 공격 스킬들에 비하면 선딜이 약간 있는 편이며 한 번 던지면 표창이 최대 거리까지 도달했을 때 스킬을 누르면 다시 표창을 던질 수 있다.

이 스킬의 진가는 바로 사거리. 일반 및 보스 사냥에서 긴 사거리를 이용하면 레벨 차이가 많이나는 구간에서도 여유롭게 던지면서 한 대도 맞지 않고 사냥이 가능하다.

이 스킬의 장점을 활용한 어쌔신만이 가능한 테크닉이 있다. 일명 럭부. 부메랑의 후딜이 없다는 것을 이용하여 사이사이에 럭키 세븐을 넣는 것이다. 사용법은 부메랑 키를 계속 누른 채 럭키 세븐 키를 연타. 2016년 1월 28일 패치로 추가된 '콤팩트 키'를 이용하면 연타할 필요가 없다. 필드 사냥에서는 스킬은 계속 쓰는데 SP가 오히려 회복하는 진풍경이 벌어지고, 보스 레이드에서도 딜량 상승과 함께 SP 고갈 속도를 늦춰주는 효과가 있다.

심각한 버그가 있는데 가끔씩 안돌아와서 1타만 때리고 증발하는 경우가 생긴다. 생각보다 약하다는 말을 듣는 주범 중 하나일지도.

예전에는 이 스킬이 초보자 스킬 '달팽이 던지기'보다 약하다는 평을 들었다. 하지만 이는 이제 옛말이 되었다. 지금은 부메랑 스타가 훨씬 강하다.

2016년 7월 28일 패치로 추가된 '그림자 원정대' 콘텐츠에서만 사용 가능한 이 스킬을 강화하는 특성을 배울 수 있다. 부메랑 스타의 대미지 증가, SP 소모량 감소, 부메랑 스타 사용 시 적 하나를 쫓는 4개의 작은 표창 생성, 연속해서 5번 사용할 경우 짧은 시간동안 그라인드 스타 스킬이 강화되고 SP를 회복하는 특성이다. 그런데 스타 버스트의 특성이 너무 좋다보니 부메랑 스타의 특성은 사실상 버리게 되었다.

2015년 8월 20일 패치 이후로 사정거리 중 높이가 상향되었다.
2015년 9월 22일 패치 이후로 대미지가 상향되었다.
(1레벨 대미지-65%→67%), (10레벨 대미지-95%→97%)
2015년 10월 29일 패치 이후로 대미지와 레벨당 대미지 상승량이 상향되었다.
(1레벨 대미지-67%→73%), (레벨당 대미지 상승량-3%→4%), (10레벨 대미지-97%→113%)
2015년12월 17일 패치 이후로 대미지가 상향되었다.
(1레벨 대미지(73%→83%), (10레벨 대미지-113%→123%)
2016년 3월 31일 패치로 대미지가 상향되었다.
(1레벨 대미지-83%→93%), (10레벨 대미지-123%→133%)

5.1.4 다크 사이트

다크 사이트
그림자 속에 몸을 숨겨 자신의 존재를 감춘다. 12초동안 이동속도가 20% (30%) 만큼 증가하고 은신 상태에서 적을 공격하는 경우 기습에 성공해 1초 동안 기절시킨다. 스킬 또는 아이템을 사용하거나[4] 적으로부터 공격을 받으면 즉시 은신 상태가 해제된다.
습득 레벨16속성암흑
쿨타임30초마스터 레벨5


레벨이동속도 증가량(%)
120
222
324
426
530

어쌔신의 기동성에 날개를 달아주는 스킬 누구는 비슷하지만 지속시간은 1/6인 스킬을 EP 전량 소모하며 쓰는데...
모든 어쌔신은 은신을 사용했으며, 그 중에는 칼질을 하는 이도 있었다[5]
어쌔신이 피눈물에서 유리한 이유

은신, 이속 증가, 스턴이 붙은 스킬.

일정 시간 동안 은신 상태가 된다. 이때 자신에게 걸린 어그로가 풀리며, 이동속도가 소폭 증가한다. 은신 상태에서는 적이 공격하지 않기 때문에, 보스 몬스터의 광역 공격을 피하는데 도움이 된다. 스킬 유지시간 동안 무적이 아니기 때문에 적의 광역기에 맞으면 바로 해제되므로 주의.

은신 중에 공격할 경우, 공격 받은 적을 1초간 기절시킨다. 거의 모든 스킬이 광역기인 어쌔신의 특성상 여러 마리의 적에게 메즈기를 걸 수 있다.[6] 어쌔신이 파티 퀘스트에서 좋은 이유.

스킬을 쓰거나 아이템을 쓰면 해제된다고 나와있지만, 어째 비행 풍선과 암벽 등반으로는 풀리지 않는다.

그리핀, 그리피나, 호루스처럼 플레이어를 정확히 노려서 폭격하는 보스들 상대로도 유용하다. 보스 몬스터가 플레이어를 인식하지 못하니 폭격도 하지 않기 때문. 그러나 장판 피격은 그대로 받기 때문에 교통 사고를 주의하는게 좋다.

2015년 12월 17일 패치 이후로 쿨타임이 감소되었다.
<45초→30초>

5.1.5 스타 버스트

스타 버스트
SP를 30 소모하여 양손에 장비한 다수의 표창에 화염을 일으킨 뒤 교대로 날려 전방 9m 영역 내의 적 8명에게 183% (283%)의 화염 대미지를 2회 입힌다. 데스 마크의 표식이 새겨진 적에게 명중하는 경우 표식에 깃들어 있던 에너지를 폭발시켜 193% (293%)의 화염 대미지를 추가로 입힌다. 폭발과 함께 데스 마크 표식은 사라진다.
습득 레벨18속성화염
쿨타임10초마스터 레벨10


레벨왼손 대미지(%)오른손 대미지(%)데스 마크 폭발시 추가 대미지(%)
1183183193
2193193203
3203203213
4213213223
5223223233
6233233243
7243243253
8253253263
9263263273
10283283293

어쌔신의 오메가

원거리 부채꼴 광역기. 강력한 대미지와 짧은 딜레이, 넓은 범위와 긴 사거리까지 갖춘 완전체 스킬이다.

전방 부채꼴 범위에 불타는 표창을 두번 던져 화염 속성 대미지를 가한다. 어쌔신의 콤보를 완성시켜주는 스킬. 부메랑 스타와 비슷한 사거리에 부채꼴 범위, 그리고 대미지가 상당히 높다. 일단 배우고 나면 필드사냥이 눈에 띄게 빨라진다. 부메랑 스타 넣고 빠지고를 반복하며 잡던 몹들을 sp만 있다면 가만히 서서 녹일 수 있다.[7] 범위가 넓어서 몹의 어그로를 끌기도 편하고 시전속도도 빠르고 범위가 넓어 못 맞추기도 어렵다.

보스전에서도 쿨마다 써줘야 하는 딜링기. 데스마크로 인한 추가대미지도 상당하다. 기존에는 데스마크를 터뜨리면 파티원 딜량에 지장이 커서 온갖 욕을 들어먹었지만 2016년 3월 31일 패치 이후로 데스마크 발동 확률이 상향돼서 데스마크를 계속 터뜨려도 금방 다시 걸리기 때문에 파티원 딜량에 큰 지장은 없게 되었다. 다시 말해 욕 먹을 일이 없어졌다.

전방으로 범위가 넓기 때문에 은신 중 공격 시 피격체에게 스턴이 걸리는 다크 사이트와의 조합도 좋다.

2016년 7월 28일 패치로 추가된 '그림자 원정대' 콘텐츠에서만 사용 가능한 이 스킬을 강화하는 특성을 배울 수 있다. 그 특성은 '스타 버스트의 대미지 증가, SP 소모량 감소, 쿨타임 제거, 스타 버스트가 크리티컬로 적중할 때마다 적중된 표창 갯수만큼 SP 회복, 크리티컬로 적중하면 맞은 적은 0.5초 스턴, 3번 연속으로 사용할 경우 다음 스타 버스트는 무조건 크리티컬로 적중, 크리티컬 대미지 상승, 크리티컬 명중 증가'. 이러한 이유로 그림자 원정대에서는 스타 버스트를 무한으로 쓸 수 있다. 그리고 0.5초 스턴이 별 것 아닌 것 같지만 이게 쿨타임이 없다! 게다가 던전 내 엘리트 몬스터한테도 걸린다! 때문에 어쌔신은 그림자 원정대에서 강력한 직업으로 평가받는다.

2015년 10월 29일 패치 이후로 대미지가 상향되었다.
<1레벨 대미지-140%→150%> <10레벨 대미지-210%→220%>
2015년 12월 17일 패치 이후로 대미지와 레벨당 대미지 상승량이 상향되었다.
<1레벨 대미지-150%→160%> <레벨당 대미지 상승량-7%→8%> <10레벨 대미지-220%→240%>
2016년 3월 31일 패치로 대미지와 레벨당 대미지 상승량과 데스 마크 폭발 대미지가 상향되었다.
<1레벨 대미지-160%→170%> <레벨당 대미지 상승량-8%→9%> <10레벨 대미지-240%→260%>
<1레벨 데스 마크 폭발 대미지-180%→193%> <레벨당 데스 마크 폭발 대미지 상승량-9%→10%> <10레벨 데스 마크 폭발 대미지-270%→293%>
2016년 8월 25일 패치 이후로 대미지가 상향되었다.
<1레벨 대미지-170%→183%> <10레벨 대미지-260%→283%>

5.1.6 분신:다크 블레이더

분신:다크 블레이더
바닥에 반경 3m 영역에 어둠의 표식을 남긴다. 어둠의 표식은 10초 동안 유지되며 표식 안의 적 3명에게 170% (260%)의 암흑 대미지를 입히고, 대상의 몸에 암살자의 낙인을 새겨 10초 동안 명중을 20 (30) 감소 시킨다.
습득 레벨24속성암흑
쿨타임40초마스터 레벨10


레벨오른손 대미지(%)명중 감소치
117020
217921
318822
419723
520624
621525
722426
823327
924228
1026030
나와서 나를 도와라! / 자, 지금이다! / 집합! / 하압! / 가랏!

어쌔신의 디버프기.

사용시 자신이 있는 위치에 표식을 남기고 그 위에 적이 접근 시 분신이 소환되어 적에게 낙인을 새기고 사라진다

수동적으로 발동하는 초근거리 기술인데다가 대미지는 좋은 편이나 쿨타임 40초가 걸리고, 명중률 감소는 몹들에게는 크게 와닿지 않는 수준이라 장식에 가깝다. 더욱이나 표식의 인식범위가 요상해서 바로 앞에 있는데도 분신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왕왕 있다. 더욱이나 보스 몬스터들의 경우 제멋대로 움직이기에 움직이는 적에게 사용하기는 좀 그렇다. 다만 어둠의 추적자를 배울 시 깨알같은 보조 딜링 효과가 있다.

PVP에서는 중요한 스킬. 명중이 감소한다는 것은 딜로스를 유발시킨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상대가 붙으려 할 경우에 깔아주면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다. 대부분 박치기를 하려고 접근하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적절히 깔아주면 된다.

언제부터인가 암살자의 낙인의 모양이 변경되었다. 잠수함 패치인 듯.

2015년 10월 29일 패치로 대미지가 상향되었다.
<1레벨 대미지-120%→140%> <10레벨 대미지-180%→210%>
2015년 12월 17일 패치 이후로 대미지와 레벨당 대미지 상승량이 상향되었다.
<1레벨 대미지-140%→160%> <레벨당 대미지 상승량-7%→8%> <10레벨 대미지-210%→240%>
2016년 2월 4일 패치 이후로 공중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개선되었다.
2016년 3월 31일 패치로 대미지와 레벨당 대미지 상승량이 상향되고 명중 감소량이 하향되었다.
<1레벨 대미지-160%→170%> <레벨당 대미지 상승량-8%→9%> <10레벨 대미지-240%→260%>
<1레벨 명중 감소량-30→20> <10레벨 명중 감소량-40→30>

5.1.7 페이탈 어택

페이탈 어택
암살자의 본능을 극대화시켜 적의 약점을 집중 공략한다. 10초 (15초)동안 자신의 모든 공격을 크리티컬로 발동한다.
습득 레벨32속성-
쿨타임160초 (120초)마스터 레벨5


레벨지속시간(초)쿨타임(초)
110160
211150
312140
413130
515120
필살! / 너무 느려![8] / 히압! / 빈틈이 너무 많아! /때가 왔다.

일정 시간동안 모든 공격이 크리티컬이 되는 심플하면서도 강력한 자가버프 스킬이다. 특히나 어둠의 비기 패시브를 통하여 크리티컬 대미지가 상승되며, 냉정한 마음 패시브를 통해 크리티컬 히트시 SP가 추가 수급되는 어쌔신에게 있어서는 굉장히 효율이 높은 스킬이다. 크리티컬 대미지 증가 아이템과의 조합 역시 기대해볼 만 하다.

2015년 12월 17일 패치 이후로 지속시간이 상향되었다.
<1레벨 지속시간-9초→10초> <5레벨 지속시간-14초→15초>

5.1.8 그라인드 스타

그라인드 스타
SP를 30 소모하여 모든 것을 갈아버리는 거대한 톱날 표창을 전방 7m 영역 내 가장 가까운 적에게 던져 반경 3m 영역 내의 적 5명에게 70% (90%)의 대미지를 5회 (7회) 입힌다.
습득 레벨34속성물리
쿨타임15초마스터 레벨10


레벨오른손 대미지(%)타격 횟수(회)총 대미지(%)
1705350
272360
374370
4766456
578468
680480
782492
8847588
986602
1090630

중거리 나선형 광역기.
풍둔! 나선수리검!

스타 버스트에 이은 어쌔신의 두번째 딜링기

필드사냥이든 보스사냥이든 그동안 부족했던 딜을 상당히 보완해준다. 특히 필드사냥때는 다단히트 동안 경직이 있기 때문에 보다 안전한 사냥을 할 수 있다.

하지만 보스몹한테는 맞추기 어려운 스킬이다. 일단 단일체에 히트하게 되면 큰 모양의 표창이 생기게 되는데 이게 장판이라서 그 자리에 가만히 있는다. 기동력이 우월한 보스에게 풀 히트 치려면 기회를 노리고 잘 조준을 해야 되며, 투사체가 빗나가게 되면 최대거리에서 큰 표창이 생긴다. 그 외에도 날아가는 도중 고저차가 있는 지형에 걸리면 표창이 바로 아래에 생성되서 대미지가 안 박히는 문제가 종종 생기는 등 제대로 사용할려면 여러가지 신경을 써야 되는 스킬.

2015년 8월 20일 패치 이후로 너무 작은 몬스터를 공격할 수 없었던 문제가 수정되었다.
2015년 10월 29일 패치로 대미지가 상향되었다.
<1레벨 대미지-58%→63%> <10레벨 대미지-66%→71%>
2015년 12월 17일 패치 이후로 대미지가 상향되고 레벨을 올릴 때마다 대미지가 1%씩 올라가게 되었다.
기존 : 63%, 64%, 65%, 65%, 66%, 67%, 68%, 68%, 69%, 71%
변경 후 : 69%, 70%, 71%, 72%, 73%, 74%, 75%, 76%, 77%, 79%
2016년 3월 31일 패치로 대미지가 상향되었다.
<1레벨 대미지-69%→76%> <10레벨 대미지-79%→86%>
2016년 8월 25일 패치로 1레벨 대미지는 하향되었지만 레벨당 대미지 증가량이 상향되었다.
<1레벨 대미지-76%→70%> <레벨당 대미지 상승량-1%→2%> <10레벨 대미지-86%→90%>

2015년 12월 31일 패치로 추가된 '광포한 암살'세트로 이 스킬을 강화할 수 있다.
무기는 쿨타임 4초 감소/SP 소모량 13% 감소이고, 방어구는 각각 대미지가 21%/21%/21%/21%/21%씩 증가한다.
풀셋 착용시 한 방 대미지는 186.5%가 되고, 풀타 대미지는 1291.5%가 된다.

2016년 8월 25일 패치로 추가된 '맹렬한 암살'세트로도 이 스킬을 강화할 수 있다. 스킬 강화 능력은 광포 장비와 동일하지만, 광포 장비보다 능력치가아주 조금 높고 방어구 세트 효과로 최대 체력 증가 효과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이 맹렬한 장비를 얻는 데 걸리는 시간이 보상권이 넘쳐나는 사람을 제외하고상당히 오래 걸리고, 노력에 비해 아이템의 능력치가 광포 장비와 별 차이가 없고0.3강 차이다, 은행 보관도 안 된다. 그래도 풀셋이면 좋다. 풀셋이면.차라리 광포를 사서 쓰지

5.1.9 분신:쉐이드 스플릿

분신:쉐이드 스플릿
그림자 분신을 소환해 전방 8m 영역 내의 가장 가까운 적에게 보내 91% (141%)의 대미지를 입히고, 반경 2m 내의 적 2명에게 튕겨져 91% (141%)의 대미지를 입힌다. 공격이 명중한 대상에게는 5초동안 암살자의 낙인이 새겨진다. 데스 마크 표식이 새겨진 적에게 명중하는 경우 40% (60%) 암흑 대미지를 추가로 입힌다.
습득 레벨44속성암흑
쿨타임14초마스터 레벨10


레벨오른손 대미지(%)데스 마크 추가 대미지(%)
19140
29642
310144
410646
511148
611650
712152
812654
913156
1014160

분신:다크 블레이더의 상위호환. 암살자의 낙인을 원거리에서 안전하게 넣을 수 있는 스킬이다. 노코스트에 상대적으로 짧은 쿨타임(14초)를 가졌으며, 암살자의 낙인 지속시간이 5초이므로 이론상 시전할때마다 어둠의 추적자 효과를 최대 4번 볼 수 있다. 보스 몬스터와 같이 피격판정이 크고 기동성이 떨어지는 몬스터라면 럭키세븐 - 부메랑 스타 연계 테크닉 정도로만 숙달되어도 충분히 5초 안에 4번의 효과를 볼 수 있다.[9] 어둠의 추적자 효과가 4번 발동한다 가정할 때에 최대 대미지는 448%. 다만 쉐이드 스플릿으로 새겨지는 암살자의 낙인은 다크 블레이더와는 달리 명중을 감소시키지 않는다.

2016년 7월 28일 추가된 '그림자 원정대' 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특성을 배울 수 있다. 하지만 이 특성 역시 스타 버스트의 막강한 성능 때문에 버려진다.(...)

2015년 9월 22일 패치 이후로 데스 마크가 새겨진 적에게 명중시 추가 대미지를 입히게 되었다.
2015년 10월 29일 패치로 대미지와 레벨당 대미지 상승량이 상향되었다.
<1레벨 대미지-60%→80%> <레벨당 대미지 상승량-3%→4%> <10레벨 대미지-90%→120%>
2015년 12월 17일 패치 이후로 대미지가 상향되었다.
<1레벨 대미지-80%→90%> <10레벨 대미지-120%→130%>
2016년 3월 31일 패치로 대미지와 레벨당 대미지 상승량이 상향되었다.
<1레벨 대미지-90%→91%> <레벨당 대미지 상승량-4%→5%> <10레벨 대미지-130%→141%>

5.1.10 분신:쉐도우 웹

분신:쉐도우 웹
SP를 18 소모하여 그림자 분신 하나를 소환하고 3m 뒤로 회피한다. 그림자 분신은 1초 후에 폭발하며 거미줄을 뿌려 반경 3m 내의 적 5명에게 18% (28%)의 암흑 대미지를 입힌다.
뿌려진 거미줄은 적의 몸을 뒤덮어 4초동안 이동속도를 20% (30%), 점프력을 30% (40%) 감소시키고 매 초마다 5% (10%)의 대미지를 추가로 입힌다. 다른 스킬 사용 중에도 이를 취소하고 즉시 발동이 가능하다.
습득 레벨50속성암흑
쿨타임-마스터 레벨10


레벨대미지(%)추가 대미지(%)이동속도 감소(%)점프력 감소
11852030
22062232
32272434
42482636
528103040


PvP 전용 스킬. 적 플레이어의 공격을 회피하면서 동시에 이동속도 저하 디버프와 경직을 걸 수 있는 매우 준수한 성능에다가 쿨타임도 없다. 회피거리가 아쉽긴 하지만 닷지가 있는 어쌔신에게 그다지 와닿지는 않는 부분. 물론 어디까지나 PvP에서 쓸만하다는거다.
PvE에서는 쓰레기. 전 직업을 통틀어 가장 의미없는 스킬이다. 처참하기 짝이없는 대미지와, 너무나도 짧은 회피거리, 긴 후딜, 높은 SP 소모량 때문에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다. 회피한다면 닷지가 있고, 이동속도 저하는 엘리트/보스 몬스터에게 효과가 없는데다가, 그렇잖아도 SP소모가 심한 어쌔신의 SP를 25나 깎아먹는다. 타 직업에 비해 딜 기대치가 낮은 어쌔신의 PvE에 관짝을 박은 것이나 다름없는 스킬. 가득찬 SP가 꼴보기싫을때 속시원히 없애주는 스킬이라 카더라하지만 2016년 7월 28일에 추가된 '그림자 원정대' 콘텐츠에서 굉장히 쓸만한, 아니 필수적인 스킬이 되었다. 그림자 원정대에서는 체력 많은 몬스터 수십마리가 한 번에 덤벼들기 때문에 닷지와 스타 버스트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EP가 없을 때 위험하다 싶으면 쉐도우 웹으로 도망치면서 스타 버스트를 계속 꽂아주면 된다. 스타 버스트의 특성으로 인해 SP도 사실상 무한이다. 몬스터가 느려지는 효과는 덤인가.

고수들은 회피할 때나 이동할 때 이 스킬을 적극 활용하기도 한다. EP가 부족한데 위험할 때 이 스킬로 회피하고, 노말 던전에서 죽었는데 빠르게 합류할 때 닷지와 섞어서 사용한다.

여담으로 3번의 테스트[10]중에서 알파 테스트, CBT 당시에만 존재하던 스킬이었다. 15레벨에 습득하고 1레벨 부터 SP10만[11] 소모했기 때문에 보스전에서 후방으로회피할 목적으로 많이 쓰였다.

2015년 10월 29일 패치 이후로 SP소모량이 감소하였다.
<25→20>
2015년 12월 17일 패치 이후로 지속 대미지가 보스에게 적용되지 않던 현상이 수정되었다.그래봤자 안 쓴다
2016년 2월 4일 패치 이후로 공중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개선되었다.
2016년 8월 25일 패치 이후로 SP 소모량이 감소하였다.
<20→18>

5.2 패시브

5.2.1 데스마크

데스 마크
적의 HP가 30% 이하일 때 가하는 모든 공격에 대해 25%의 확률로 적에게 데스 마크 표식을 새긴다. 데스 마크 표식은 6초 동안 유지되며 대상이 받는 모든 대미지를 10% (15%) 증가시킨다.
습득 레벨22속성암흑
쿨타임-마스터 레벨10
레벨대미지 증가량(%)
110
210.5
311
411.5
512
612.5
713
813.5
914
1015

어쌔신의 모든것
메이플스토리2에서는 데스마크가 어쌔신을 씁니다!
보스 레이드에서 나이트의 스로잉 쉴드와 더불어 양대산맥을 이루는 디버프 패시브.
체력이 30% 미만인 적을 가격할 시 일정 확률로 6초간 데스마크 표식을 새겨 해당 몬스터가 받는 대미지를 증가시키는 스킬이다. 자기 자신에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몬스터에게 적용되기 때문에, 데스마크가 새겨진 적을 상대로 누가 때리더라도 효과를 볼 수 있다. 때문에 보스 레이드에서 엄청난 효율을 보여준다. 레벨 7 기준으로 체력이 30% 미만일 시 대미지 증가량 13%는, 파티 총 딜량이 3.9%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전사의 물약, 마법사의 물약보다도 더 높은 수치이다.
표기되어 있는 발동 확률은 적어 보이지만, 어쌔신의 스킬은 대부분이 다단히트이며 SP 수급기인 럭키 세븐의 공격속도 역시 빠르기 때문에, 파티에 어쌔신 1명만 있어도 데스마크가 끊길 일은 절대로 없다.
어쌔신의 주요 딜링기인 스타 버스트가 적중하면 데스마크가 폭발하며 사라진다. 상향 전에는 데스마크를 터뜨리면 있는 욕 없는 욕을 전부 들어먹었지만 발동 확률 상향 이후 데스마크를 펑펑 터뜨려도 별 지장이 없게 되었다. 터뜨리는 걸 가지고 욕하는 사람은 이제 없다.욕을 하고 싶어도 못 하겠지. 어쌔신 구하기가 힘드니까

언제부터인가 스킬 아이콘과 표식의 모양이 변경되었다. 잠수함 패치인 듯. 해골에서 귀여운 악마로

2015년 8월 20일 패치 이후로 발동 확률이 상향되었다.
2016년 3월 31일 패치 이후로 발동 확률이 상향되고 지속시간이 증가하였다.
<1레벨 발동 확률-10%→25%> <10레벨 발동 확률-14%→25%> <지속시간-5초→6초>오예

5.2.2 어둠의 비기

어둠의 비기
암살자의 비술을 체득하여 회피가 6 (10), 크리티컬 대미지가 1% (10%) 증가한다.
습득 레벨26속성암흑
쿨타임-마스터 레벨10
레벨회피 증가치크리티컬 대미지 증가치(%)
161
22
33
484
55
66
77
8108
99
1010

모든 직업이 하나씩은 가지고 있는 스탯 증가 스킬. 회피율은 조금 오르기 때문에 체감이 덜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크리티컬 대미지. 크리티컬 명중률을 증가시키는 럭이 기본 능력치인 어쌔신에게는 꿀 같은 스킬이며, 후에 배우는 페이탈 어택과의 시너지 효과가 엄청나다.

2015년 12월 17일 패치 이후로 회피 증가량이 상향되었다.
<1레벨 회피 증가량-5→6> <10레벨 회피 증가량-9→10>

5.2.3 어둠의 추적자

어둠의 추적자
암살자의 낙인이 새겨진 적에게 가하는 모든 공격에 대해 50% (100%)의 확률로 주위에 은신해있던 그림자 분신들을 불러 18% (28%)의 암흑 대미지를 4회 입힌다. 그림자 분신들은 소환 뒤 1.5초 동안은 다시 부를 수 없다.
습득 레벨30속성암흑
쿨타임1.5초마스터 레벨10
레벨발동 확률(%)대미지(%)
15018
25519
36020
46521
57022
67523
78024
88525
99026
1010028

분신:다크 블레이더의 보조 스킬. 낙인이 새겨진 적을 공격하면 일정 확률로 추가 대미지를 입힐 수 있다. 1.5초의 쿨타임이 있기 때문에 낙인 지속시간 동안 효과를 자주 보긴 힘들지만, 어쌔신의 DPS를 조금이라도 상승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찍어두는게 좋다.

2015년 8월 20일 패치 이후로 크리티컬로 발동되지 않던 문제가 수정되었다.
2015년 9월 22일 패치 이후로 대미지가 상향되었다.
<1레벨 대미지-10%→12%> <10레벨 대미지-20%→22%>
2015년 10월 29일 패치로 대미지가 상향되었다.
<1레벨 대미지-12%→14%> <10레벨 대미지-22%→24%>
2015년 12월 17일 패치 이후로 대미지가 상향되었다.
<1레벨 대미지- 14%→16%> <10레벨 대미지-24%→26%>
2016년 3월 31일 패치 이후로 대미지가 상향되었다.
<1레벨 대미지-16%→18%> <10레벨 대미지-26%→28%>

5.2.4 킨 아이즈

킨 아이즈
반경 7.5m 영역 내에 적이 한 명만 존재할 때 암살 본능이 극대화 되어 물리 공격력과 마법 공격력이 8% (13%)증가한다
습득 레벨36속성-
쿨타임-마스터 레벨5
레벨물리,마법 공격력 증가량(%)
18
29
310
411
513

반경 7.5m 이내에 적 한명만 존재 할 시 캐릭터 버프창에 킨 아이즈 아이콘이 나오면서 활성화가 된다. 아예 대놓고 보스몹 한정으로 내놓은 패시브인것 같다.
다른 직업군에 존재하는 공격력 증가 패시브에 비해 증가폭이 미묘하게 떨어지는 편이나, 대신에 지속적인 공격 명중을 통한 스택 유지, 체력 비율 유지, 적과의 거리 조절 강요 등의 까다로운 조건이 붙은 다른 직업군과 비교하면 보스 레이드 기준으로 볼 때에 가장 쉬운 충족 조건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실질적인 대미지 증폭량은 비슷하거나 그 이상에 가깝다. 누구는 공격력 증가시키려면 비석을 세울 각오를 해야 하는데 친구야
보스전에서 폭발적인 DPS가 부족한 어쌔신들에게 단비와 같은 패시브 스킬. 마스터하는 것이 좋다.

2015년 9월 22일 패치로 공격력 증가량이 상향되었다.
<1레벨 대미지 증가량-5%→7%> <5레벨 대미지 증가량-10%→12%>
2015년 10월 29일 패치로 공격력 증가량이 상향되었다.
<1레벨 대미지 증가량-7%→8%> <5레벨 대미지 증가량-12%→13%>

5.2.5 냉정한 마음

냉정한 마음
적에게 치명적인 공격을 가할수록 더욱 냉철해진다. 공격이 크리티컬로 발동되는 경우 SP를 1 (5) 회복한다. 냉정함을 가진 뒤 0.5초 동안은 다시 발생되지 않는다.
습득 레벨40속성-
쿨타임0.5초마스터 레벨5
레벨SP 회복량
11
22
33
44
55

공격이 크리티컬로 적중될 때마다 SP를 회복하는 스킬. 페이탈 어택을 발동시키면 최대 150의 SP[12]를 회복할 수 있다.

여담으로 CBT 당시에는 쿨타임이 없었다. 그래서 페이탈 어택을 쓰면 평타가 럭키 세븐이 되는 기적(...)을 볼 수 있었다.

2015년 10월 29일 패치로 쿨타임이 0.5초로 줄어들면서 사실상 2배 상향되었다. 페이탈 어택 발동시 럭부쓰면 SP가 차오른다(...)

정말로 별 상관 없는 소린데, 이게 있으면 주변에 적이 많고 페이탈 어택을 켰을 때 쉐도우 웹을 무한으로 쓸 수 있다. 전혀 도움 안 되지만,

5.2.6 스로잉 스타 마스터리

스로잉 스타 마스터리
표창을 더욱 잘 다룰 수 있다. 표창을 장비했을 때 무기 공격력이 1% 증가한다.
습득 레벨48속성-
쿨타임-마스터 레벨10
레벨무기 공격력 증가(%)
11
21.4
31.8
42.2
52.6
63
73.4
83.8
94.2
105

무기 공격력이 증가한다. 전 직업에 존재하는 패시브이다.
2016년 6월 30일 패치 이후로 무기 최소 공격력에 적용되지 않던 문제가 수정되었다.

5.3 액션

5.3.1 닷지

닷지
EP를 40 소모하여 경공술을 사용해 전방 3.0m (4.5m) 위치로 빠르게 이동한다. 다른 스킬 사용 중에도 이를 취소하고 즉시 발동이 가능하다.
습득 레벨14속성-
쿨타임-마스터 레벨5


레벨이동 거리(m)
13.0
23.3
33.6
43.9
54.5

어쌔신 기동성의 핵심
어쌔신 축지법 쓰신다

사용 후 부가효과가 붙어있는 다른 직업의 회피기와 달리 순수하게 이동만 시켜주는 스킬이지만 이 스킬의 진가는 빠른 선후딜과 엄청난 판정에 있다. 위자드의 텔레포트보다도 선딜이 짧아 회피기의 본래 목적에 가장 충실하여 어쌔씬의 위치 선정을 매우 안정적으로 만들어주는 1등공신이며, 또한 경공술이라는 설정 때문인지 지면 판정이 뜨지 않아 장판을 무시한다. 짧지만 무적시간도 있기 때문에 이 스킬을 이용하여 온갖 기행을 펼칠 수 있다. 마크 52알파/베타의 디비전 모드 장판을 마음대로 넘어다닌다던가, 독액이나 오염된 물을 경공술로 걸어서 넘는다던가, 심지어는 그리폰/그리피나의 메테오를 보고 피하기도 한다. 이 스킬 덕분에 어쌔씬은 가장 생존성이 높은 원딜로 평가받는다.이 스킬 덕분에 헤비거너 마스터 유저가 어쌔신을 플레이하면 가히 유령이 된다, 어쌔신 유저가 헤비거너를 하면 다른 의미에서 유령이 된다.

6 평가

6.1 장점

  • 긴 사거리
아이스 애로우와 애로우 스톰으로 인해 근접을 강요받는 레인저, 그레네이드로 인해 근접을 강요받는 헤비거너, 홀리 익스플로젼의 낮은 사거리와 장판형 힐/버프 스킬들로 인해 근접을 강요받는 프리스트 등등, 원딜의 탈을 쓴 근딜이 넘쳐나는 메이플스토리2에서 어쌔신은 정말로 몇 안되는 순수한 원거리 딜러 이다. 근접했을 때에 효과가 증대되는 스킬은 중요도가 비교적 떨어지는 분신:다크 블레이더를 제외하면 전무하며, 7.5m 이내의 거리만 유지하면 킨 아이즈를 적용받는 동시에 모든 주력기를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때문에 근접해야만 피할 수 있는 패턴이 있을 때를 제외하면 어쌔신은 적에게 근접해야 할 이유가 전혀 없다.
  • 기동성
어쌔신의 기동성은 원거리 딜러 중 독보적이며 근접 딜러인 시프와도 자웅을 다툴 정도다. 가장 선후딜이 짧고 무적시간까지 달려있는 회피스킬 닷지, 은신과 이동속도 증가를 부여하는 다크 사이트, 꼴보기싫은 SP를 속시원히 날려주는 분신:쉐도우 웹의 존재로 인해 메이플스토리2에서 어쌔신보다 필드 장악력이 높은 캐릭터는 존재하지 않는다.
  • 짧은 선후딜
어쌔신은 스킬 선후딜이 짧다. 때문에 적의 공격을 회피하기 위해 포지션을 조정하는 동안에도 딜로스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어쌔신은 생존해 있기만 하다면 어떤 상황에서도 딜링이 가능한 캐릭터로서, 이는 적 보스 몬스터의 패턴이 난해하고 기동성이 높아 포지션을 변경해야 할 때가 많을수록 더욱 장점으로 다가오게 된다.
  • 쉬운 난이도와 단순한 딜 싸이클
어쌔신의 난이도는 어렵지 않다. 난이도 별 2개라지만, 원거리 캐릭터임을 고려하면 버서커보다 쉬운 캐릭터이다. 적의 공격은 닷지로 피하면 그만이고, 딜 사이클은 40레벨 기준 페이탈 > 스타버스트 > 그라인드 > 럭부 > 스타 버스트로 비교적 단순하다. 공격만 잘 피할 수 있다면, 초보의 입문직업으로 적합하다. 1월 28일 패치로 추가된 '콤팩트 키' 덕분에 안 그래도 쉬운 난이도가 더 쉬워졌다. 콤팩트 키에 럭키 세븐과 부메랑 스타를 등록하고 그 단축키를 꾹 누르기만 하면 알아서 럭부가 나간다!
  • 데스마크
적의 체력이 30% 이하일 때 파티원 전체의 딜량을 상승시키는 수준으로, 나이트의 스로잉 실드와 더불어 보스 대상 디버프의 양대산맥으로 자리잡고 있다. 챌린지 모드의 레이드에서 파티 한 자리를 쉬이 꿰찰 수 있게 하는 완소스킬. 동시에 어쌔신은 데스마크밖에 볼 게 없다며 데스마커라는 비하적인 별명을 얻게 되었지만 반대로 생각해 보면 이 스킬의 성능이 그만큼 우수하단 얘기다. 또한 딜량보다 생존이 중시되는 카오스 모드의 레이드에서는 데스마크가 큰 메리트로 작용하지 못했지만 카오스 모드 보스 상향 이후 카오스 모드에서도 데스마크가 활약할 수 있게 되었다.

6.2 단점

  • 전 직업 중 최하위 딜링 기대치
현재 어쌔신의 가장 큰 문제점. 어쌔신은 딜 기대치가 약하다. 주력 스킬인 부메랑 스타의 퍼센트 대미지부터 전 직업 중 최하위를 달리며, 한방기라 볼 수 있는 스타 버스트와 그라인드 스타 역시 다른 직업군에 비하면 SP 대비로 따져도 쿨타임 대비로 따져도 우월하다 보기 힘들다.
또한 어쌔신의 딜링은 상당 부분이 SP 수급기인 럭키 세븐, 노쿨타임 주력기인 부메랑 스타, 그리고 패시브인 어둠의 추적자 발동효과에 의존하는데, 이들이 모두 지속 딜링 스킬이기 때문에 어쌔신은 딜 미터기에서 순위를 순식간에 변동시킬 만한 폭발력이 부족하다. 다른 직업군이 어려운 발동 조건이나 맞추기 어려운 스킬을 통해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을 노리는 것에 비해, 어쌔신은 살아있는 동안 지속적으로 꾸준히 딜을 넣는 로우리스크 로우리턴 형의 딜러라는 것인데, 그것을 감안해도 어쌔신의 딜링능력은 처참하다. 어쌔신의 꾸준딜이 빛을 발하는 던전은 끽해야 보스가 사방팔방 움직이는 피로스 파드 뿐이다.
제한 시간 10~15분 사이의 챌린지 모드의 레이드의 경우, 스타 버스트로 데스마크를 터뜨리는 것보다 파티원 전체에게 댐증 효과를 주는 데스마크를 끊임없이 유지하는 편이 파티 전체의 딜량에 더 이득이 되어 주력기 중 하나인 스타 버스트를 쓰지 못하게 되는데, 이 또한 낮은 딜량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2016년 8월 27일 현재, 어쌔신은 아직도 11개 직업 중 딜링 기대치가 제일 낮다. 이는 어쌔신이 상향받을 때 다른 직업도 똑같이 상향받았기 때문.
  • 유리몸
원딜의 숙명이라면 숙명이겠지만, 어쌔신은 PVE, PVP 불문하고 몸이 매우 약하다. 방어 스킬이 있는 마법사 계열이나 조금이나마 힘이 오르는 궁수 계열에 비해 어쌔신의 보호 수단은 닷지나 회피율 뿐. 보스몹에게 한번이라도 공격을 허용했다간 사경을 헤매게 된다. ???, ??? : 기동성 좋고 회피기 좋으면 땡 아닌가? 시프는 이동기가 네개란다
  • 어려운 SP 관리
어쌔신의 주력 스킬인 부메랑 스타는 15SP를 소모하지만, 럭키세븐과의 연계를 생각하면 실질적인 SP 소모량은 3이다. 한편 스타 버스트와 그라인드 스타는 각각 30SP라는 높은 소모량을 보여주지만, 둘의 쿨타임은 10초/15초로 상대적으로 길다.
때문에 어쌔신은 SP 보유량을 플레이어의 의지대로 조정하기 매우 힘든 캐릭터이다. 스타버스트/그라인드 스타가 쿨타임일 때는 SP를 소모할 수단이 없으며, 반대로 두 기술이 쿨타임이 아닐 때는 너무나도 많은 SP를 한번에 요구한다.
가령 프리스트의 스킬 홀리 심볼 위에 있을 때에, 다른 직업군은 SP를 많이 소모하는 스킬을 마음대로 난사할 수 있겠지만, 어쌔신의 경우 스타 버스트와 그라인드 스타가 빠지고 나면 고작 SP15를 소모하는 부메랑밖에 없기 때문에 차오르는 SP를 소모할 수단이 없어 엄청난 딜로스가 발생한다. 반면 낮은 SP를 유지하고 있다가 스타 버스트나 그라인드 스타의 쿨타임이 돌아오게 되면 단일 대상 SP 수급이 느린 어쌔신은 순간적으로 무력해진다. 때문에 어쌔신은 항상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너무 높지도, 너무 낮지도 않게 고난이도의 SP 관리를 해야 하는 직업이다.
  • 쌍수 무기 사용
쌍수무기는 다른 무기에 비해 장점은 없고 단점만 가득하다. 똑같은 무기를 2개를 낀다고 딱히 더 세지는건 없고 오히려 2개 다 착용해야 몇몇의 스킬들이 온전한 성능을 발휘한다. 럭키 세븐, 서클 오브 스타, 스타 버스트 가 해당된다.[13][14] 무기 옵션에서 이득을 보는거 아니냐 할 수 있는데 양손무기는 애초에 옵션 수치가 2배라 쌍수 무기 2개 다 착용해야 양손 무기랑 똑같다. 그리고 운으로 습득하기에 1개 먹기도 힘든 보스 드랍템도 쌍수 무기는 2번 얻어야 하고, 또 운으로 하는 강화 또한 2번 거쳐야 한다. [15]
  • 떨어지는 유틸성
시즌1, 2 시절에만 해도 어쌔신은 유틸성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들어 왔던 직업이다. 하지만 시즌3 현재 어쌔신은 8개의 직업 중에서 가장 유틸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듣고 있다. 유틸성이 중시된다는 카오스 모드 던전에서 어쌔신이 할 수 있는 역할이 아무것도 없기 때문이다.
시즌1, 2에서 어쌔신의 유틸성이 우수하다는 이야기를 들었던 이유는, 다크 사이트의 은신 및 이속증가와, 닷지의 우수한 선후딜, 그리고 데스마크 때문이였다. 하지만 카오스 모드에서 이러한 것들은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다. 카오스 모드 보스의 체력 상향 이후 어쌔신도 충분히 활약할 수 있게 되었다. 카오스 모드에서 유틸성으로 각광받는 직업들을 살펴보자면
나이트 : 말이 필요없는 최고의 귀족. 기사의 의지 하나만으로도 압도적인 존재감을 자랑한다. 스로잉 실드를 통한 대미지 기여는 덤.
프리스트 : 귀족 2. 시즌3가 되어 높아진 입지와 더불어 본래의 서포팅 성향이 시너지를 이루어 엄청난 존재감을 보여주고 있다.
위자드/레인저/룬 블레이더 : 9개 직업군 중 이 세명만이 얼음 속성과 화염 속성 공격을 겸비한 직업군이다. 때문에 카오스 모드 데보라크 파티에서 취직이 쉽다. 난폭셋 맞추면 어쌔도 중쫄 갈 수 있는데
헤비거너 : 공격 방식의 특이함 때문에 Z축 장악력이 높아 카오스 모드 데보라크에서 1자리는 보장받는다.
버서커 : 볼카닉 슬래쉬 1타를 이동기로 사용하여 카오스 캡틴 모크에서 섬 지역을 건너가서 쫄처리가 가능.
시프 : 우월한 생존능력, 마인드 스틸러의 판정 덕분에 카오스 캡틴 모크에서 섬 지역을 건너가서 쫄처리가 가능.
물론 버서커나 시프도 카오스 데보라크에서는 비슷한 처지지만 실력만 갖추면 메인 딜러로서의 자리를 보장받는 둘에 비해 어쌔신은 이마저도 불가능하며, 카오스 모드의 데보라크든 모크[16]이든간에 최대의 잉여 직업 취급을 받고 있으며, 심지어 딜조차도 최하위권이다. 현재 어쌔신이 카오스 모드 데보라크 파티에서 하는 일들을 살펴보면...
- 그림자 추적자 어그로 대신 끌려주기.
- 헤비거너 대타로 힐쫄 처리하기.
안습

6.3 총평

공격수의 기본기에 충실한 쉽고 안정적인 캐릭터
폭발력은 없지만, 빠른 기동성과 긴 사거리를 통해 살아있기만 하다면 항상 프리딜 타임이 주어지는 딜러
9월 22일 업데이트 이후, 최악의 취업난
3월31일 이후 갓쌔신시즌 1의 재림
이제는 상위 보스에서 반드시 데려가는 직업

원딜의 탈을 쓴 근딜이 넘쳐나는 메이플스토리2에서 위자드와 함께 유일한 진짜 원거리 딜러이며, 또한 위자드와 같이 폭딜을 넣는 누커가 아니라 살아있는 한 계속해서 딜을 넣어야 하는 지속 딜러이다.

뛰어난 기동성, 긴 사거리를 통해 가장 안정적인 캐릭터로 평가받으며, 초보자에게 가장 추천되는 직업이다. 조작과 딜 사이클이 간단하기 때문에, 자신의 캐릭터에 얼마나 숙련되느냐보다는, 상대방의 패턴에 얼마나 숙달되느냐가 더 중요한 관건으로 평가받는다. 즉, 조작 난이도보다는 운영 난이도가 높은 캐릭터라는 이야기.

기동성이 높고 패턴이 난해하여 프리딜 찬스가 잘 나오지 않는 보스들의 경우 사거리가 우월하여 딜을 계속해서 넣을 수 있는 어쌔신이 상대적으로 우위를 가져갈 수 있다. 대표적으로 마크52 시리즈나 그리핀 종족들, 캡틴 모크, 슈슈, 피로스 파드 등이 어쌔신에게 적합한 상대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보스의 움직임이 적어 프리딜 찬스가 많이 나오는 상황일수록 어쌔신은 딜 미터기 순위에서 차츰 밀려나게 된다. 그리고 안타깝게도, 보스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시즌1, 시즌2의 최종보스인 데보라크와 파풀라투스가 바로 이러한 대표적 사례이다.

데스마크라는 걸출한 스킬로 파티의 후반딜에 막대한 기여를 할 수 있지만 끈질기게 딜을 넣어야만 다른 딜러들의 딜을 간신히 따라갈 수 있는 태생적으로 낮은 성능 덕분에 파티당 한 자리 이상 차지하기가 어렵다. 시즌2가 끝날 시기 부터 슬슬 어쌔신을 기피하는 현상이 시작되더니, 시즌3에는 아예 '데스마커'란 별명이 생겨버렸다. 카오스 모드가 생기고 나서는 데스마크로 가지는 파티 기여도 조차 쓸모없게 되어버렸다. 생존능력은 좋은 편이지만 파티 기여도가 낮고, 딜러를 꼭 넣어가야한다면 시프나 버서커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 최종보스 발록에선 데스마크의 중요도가 높아져 한 자리정도는 쉽게 차지할 수 있다. 게다가 12월 17일 패치 이후 카오스 모드 보스들의 HP가 대폭 상승되어 딜부족으로 클리어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도 많아져 데스마크의 중요도가 높아졌기에 약간 숨통이 트였다.

10월 29일 업데이트, 12월 17일 업데이트 이후로 거의 모든 스킬이 버프가 됐다.

그리고 계속되는 패치로 주력기의 딜들이 서서히 상향되어서 결국 3월31일 어쌔는 룬 블레이더의 하향과 동시에 딜 잠재력이 엄청나게 상승되었다.
통칭 갓새신.거기다 최근 챌린지 던전보스들의 피통이 상당히 높아서 데스마크의 중요성이 되게 높아졌다.

시즌 3, 카오스 시즌에는 데스마크밖에 볼 게 없다고 하여 일명 '데스마커'라는 멸칭으로 불렸었다. 위에도 적혀있지만 시즌 3, 카오스 시즌에는 낮은 대미지와 유틸성, 데스마크 때 딜을 못 뽑아냈기 때문에 그야말로 노예가 따로 없었다. 하지만 지속적인 상향으로 어쌔신은 상위 보스에서 1자리 이상은 반드시 보장받는 직업이 되었다. 칸두라, 누타만같이 근딜보다는 원딜이 유리한 던전에서는 어쌔신이 좋을 수밖에 없다. 그리고 던전 내 몹들과 보스의 체력이 많아서 데스마크가 파티에 크게 기여한다. 파티 게시판을 보면 8~9명이 있는 파티에서 어쌔신 1~2명만 구하는 파티도 종종 볼 수 있다.그리고 들어가면 환영받는다

7 기타

  • 게임 내의 방어구 장비들 중 어쌔신의 직업 일러스트와 유사한 디자인의 장비 세트가 존재한다. 이름은 팬텀 세트.
  • 헤비거너와 더불어 게임내 역사에서 가장 짧은 역사를 자랑하는 직업이다.
  • 시즌 1에서는 많이 보이는 직업이였지만 시즌이 넘어갈수록 점점 수가 적어지고 있다.댕댕이 야캐요
  • 커뮤니티 사이트에서의 별명은 댕댕이(...)라고 불린다.
  • 여담으로 버서커처럼 일러스트에서 가슴이 돋보여서 주로 거유로 그려진다. 사실상 투톱 사실 그리는 사람 마음대로다
  • 2차 창작에서는 시프랑 많이 엮이는 편이다. 키워드는 쌍도적.[17]
  • 16년 1월 20일, 최초로 15강 무기 인첸트에 성공한 직업군이다! 댕댕이 안야캐요
  1. 스타 버스트만 화염이다
  2. 서클 오브 스타와 공통 대사
  3. 럭키 세븐과 공통 대사
  4. 7월 30일 패치로 변경.
  5. 농담이 아니라, 메이플 2의 쌍수 무기 평타는 웬만한 스킬 못지 않은 위력이 나오기 때문에 닷지로 기동력, 박치기로 기절, 다크사이트로 이 두 가지에 추가로 은신. 레벨 좀 오르면 보조로 무기 안 따지는 페이탈 어택과 분신들. 종합하면 상당히 쓸만한 네라짐이 된다. 룩딸로서도 블레이드 중 미라클 블레이드는 빼도박도 못하는 일본도라, 도적의 닌자 방어구와 룩이 잘 맞는다. 여기에 쉐도우 월드 특산품인 투명 포션과 스턴 그레네이드를 더하면 현존하는 메이플 직업 중 최고의 은신+스턴 전문가가 된다.
  6. 가장 먼저 적중한 대상만 기절하지 않는다. 은신 중에 발동하는 스킬에 기절이 붙는 것이다.
  7. 물론 이것만 갈긴다는 소리는 아니다. 쿨타임 10초가 있기때문. 하지만 부메랑 스타에 섞기만해도 딜량이 확 늘어난다.
  8. 남성 캐릭터만 나온다. 성우 개그?
  9. 정 어려울 경우에는 그라인드 스타 직후 쉐이드 스플릿을 쓰면 최초 추적자 효과를 날로 먹을 수 있다.
  10. 알파테스트, CBT, 파이널 테스트.서포터즈 알파테스트 제외.
  11. 스킬을 레벨업 할 수록 줄어들었다.
  12. Max레벨 기준 30*5
  13. 럭키 세븐과 스타 버스트는 왼손, 오른손 무기가 각각 대미지를 주고 서클 오브 스타는 쌍수 합댐이기 때문이다.
  14. 참고로 나머지 스킬들은 장비창 왼쪽에 있는 무기 영향만 받는다.
  15. 다만 쌍수의 드랍률은 양손 무기에 비해 높다는 운영자의 언급이 있으며 양손 무기에 비해 강화 재료도 반만 요구하기 때문에 심적인 부담감을 제외하면 별 차이는 없다. 그 심적인 부담감이 문제다
  16. 엄밀히 말하면 어쌔신도 쫄처리를 하러 넘어갈 수는 있다. 이동속도 관련 장비를 착용한 뒤 다크사이트로 이속을 올리고 직접 점프해서... 하지만 누구도 어쌔신에게 그런 역할을 기대하지도 않고 주지도 않는다는 점이 문제다
  17. 실제로 메이플2 관련 팬아트 중 시프X어쌔신을 소재로 한 팬아트들이 상당히 비중이 큰 편이다.